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 신학의 기독교 공동체 이해와 그 방향성에 관한 제언: J. 몰트만, L. 보프, 그리고 M. 볼프의 삼위일체적 공동체 이해를 중심으로 (Proposal on the Understanding and Orientation of Christian Community in Contemporary Theology: Focusing on the Trinitarian Community Represented by J. Moltmann, L. Boff, and M. Volf)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3.03
27P 미리보기
현대 신학의 기독교 공동체 이해와 그 방향성에 관한 제언: J. 몰트만, L. 보프, 그리고 M. 볼프의 삼위일체적 공동체 이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영산신학저널 / 63권 / 175 ~ 201페이지
    · 저자명 : 안수정

    초록

    기독교 공동체를 논하고자 한다면 “삼위일체”라는 개념은 도출될 수밖에 없으며 그것은 동일한 개념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통찰할 수 있다. 그런데 과거의삼위일체론은 신학적으로 다양한 변증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적용이 어려운 비실제적인 교리로 인식되곤 하였다. 그런 이유로 중세 이후에는 더욱 관심을 받지 못하다가 근대 이래로 다시 신학적 논의가 뜨겁게 대두되는 중이다. 현대에이르러는 특별히 삼위일체의 경륜적 차원에서 그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즉 오늘날의 삼위일체론의 신학적 관심은 인간과 피조 세계의 구원 실현에대한 실제적인 이론으로서, 관계의 그물망으로 이뤄진 모든 피조세계 안에서도삼위일체 하나님의 ‘관계성’을 적용할 수 있는 이론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현대 신학자들이 모든 관계 안에서 삼위일체의 관계성을 추구하는 근거는세 위격의 동등한 ‘관계성’에 기인한다. 그리고 이를 하나님과 인간, 인간과 인간, 인간과 사회, 그리고 인간과 피조세계의 관계성에까지 대입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가 가능한 것은 현대 삼위일체론이 성령의 존재론적인 위격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성부, 성자, 성령의 친교적 ‘페리코레시스’를 통하여 사랑과연합의 일치를 실현하는 삼위일체론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페리코레시스란 인격적인 사랑의 관계성을 함의한다. 이러한 공동체는 자신을 상대방에게 내어줄 수 있는 사랑이 수반된 인격적인 관계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삼위일체의 원리가 기독교 공동체를 넘어 피조세계 전체에 그대로 투영될 수 있음을 삼위일체의 “인격적 사귐의 관계성”을 통해 고찰한다. 아울러 인간 소외와 갈등으로 고통받는 현시대에 대하여 삼위일체의 사랑의 관계성을 변증 및 적용하는 것은 현대 기독교 신학의 중요한 과제라 본다. 이에 본 논문은 현대 신학자인 J. 몰트만, L. 보프, 그리고 M. 볼프의 삼위일체적 공동체 신학의 현대적 조명을 통하여 삼위일체의 원리가 공동체 안에서 관계적 공동체, 사회적 공동체, 그리고 인격적 공동체로 풍성히 실현 가능하다는것을 고찰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Discussing the Christian community, the concept of the Trinity is inevitably derived, and it is feasibly linked to the same concept. In the past, however, Trinitarianism was often perceived as an impractical doctrine that was difficult to apply, despite various theological apologetics and efforts. For this reason, it has not been widely discussed since the Middle Ages, but it is currently experiencing a resurgence of interest in the modern era. As we move into the contemporary era, there has been a heightened recognition of the significance of the dimension of the Economic Trinity, in particular. Thus, the current theological discussion regarding the Trinity aims to present a practical theory for the realization of salvation in both the human and the created world, applying the concept of the ‘relationship’ of the Triune God to all relationships within the created world.
    The rationale for contemporary theologians’ pursuit of the relationality of the Trinity in all relationships is based on the equal ‘relationality’ of the three divine Persons. As such, they aim to apply this to the relationships between God and humanity, between humans and humans, between humans and society, and even between humans and the created world. The attempt is possible since contemporary Trinitarianism recognizes the significance of the ontological Person of the Holy Spirit, which seeks to realize the unity of love and communion through the communal ‘perichoresis’ of the Father, Son, and Holy Spirit. ‘Perichoresis’ implies a relationship of personal love. Such a community can establish an interpersonal relational community accompanied by one’s love given to others.
    Consequently, this paper argues that the principle of the Trinity can be projected beyond the Christian community to the entire created world through the “relationality of personal communion.” Furthermore, it is an essential task of modern Christian theology to apply the relationality of the love of the Trinity to contemporary issues of human suffering from alienation and conflict, and to vindicate the ways in which Christian theology may have contributed to such issues, is an essential task of modern Christian theology. This paper, thus, seeks to prove that the principle of the Trinity can be fully realized as relational, social, and personal communities within a single community through the contemporary illumination of the Trinitarian community theologies demonstrated by J. Moltmann, L. Boff, and M. Vo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산신학저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