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동체적 실천으로서의 설교에 관한 기독교윤리학적 이해: 캠벨의 비폭력적 저항과 부르그만의 대안적 해석을 중심으로 (A Theo-ethical Reading of Preaching as a Communal Practice toward Making New Relations: Focusing on Campbell's Nonviolent Resistance and Brueggemann's Alternative Interpretation)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0.02
27P 미리보기
공동체적 실천으로서의 설교에 관한 기독교윤리학적 이해: 캠벨의 비폭력적 저항과 부르그만의 대안적 해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68호 / 169 ~ 195페이지
    · 저자명 : 박우영

    초록

    설교는 하나님이 섭리하는 현실을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역사 속 하나님의 행위에 대한 해석을 바탕으로 신앙공동체 구성원들이 세상에 책임적으로 응답하도록 이끄는 과제를 늘 안고 있다. 그렇기에 설교는 교리 중심으로 획일적인 해석과 답변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지배적 가치를 넘어서서 대안적 삶의 방식을 꿈꾸는 세계 이해에 기초해야 한다. 본 논문은 기존의 지배적 관계성들이 갖는 폭력성들을 비판적으로 읽어내고 전혀 다른 상호적 관계성을 꿈꾸고 실천하도록 이끄는 동인으로서 설교를 공동체적 실천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캠벨은 설교 행위가 갖는 윤리적 의미를 비폭력적 저항으로서 강조한다면, 부르그만은 기존 사회의 지배적 해석을 넘어서는 하나의 대안적 해석으로서 설교의 내용에 관심한다. 캠벨은 설교가 행해지는 컨텍스트로서 친구들의 사귐의 공동체를 중시하면서, 서로 정의를 탐구하는 동등한 관계성을 공동체의 특징으로 삼는다. 이 공동체의 상호적 관계성 가운데서 설교자는 권위를 부여받게 된다. 부르그만은 설교자와 회중이 텍스트를 중심으로 대립할 것이 아니라, 텍스트에 대하여 설교자와 회중이 함께 공동체의 실천의 방향과 의미를 탐구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세상 권세의 지배체제에 대한 비폭력적 저항과 대안적 해석을 바탕으로 전혀 다른 삶의 방식을 강조하는 실천은 사회의 소외되고 억눌린 이들의 삶에 초점을 맞추고 그들의 목소리를 대변한다는 지점에서 만나게 된다.
    이와 같은 설교 이해에 대하여 기독교윤리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이해할 때, 1) 비폭력적 저항으로서의 설교는 폭력적 지배구조의 비도덕성을 드러내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하지만 비폭력적 저항은 결국에는 폭력적 상대와의 연합까지 지향해야 한다. 2) 비폭력적 저항으로서의 설교는 설교자와 공동체가 폭력의 구조와 공모할 수 있음을 인정하고 자기 비판력을 확보해야 한다. 3) 설교자는 공동체와 함께 텍스트에 참여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안적 삶의 관계성을 꿈꾼다. 공동체를 통한 동등한 상호적 관계성의 추구는 지배적 사회구조에 저항하는 분명한 방식이다. 4) 지배적 현실 해석에 저항하는 설교는 가시적 사회적 변화에 평가될 수 없고, 공동체의 지속적인 실천을 이어가는 힘으로서 평가된다. 5) 설교는 소외되고 눌린 자들에게 힘을 부여하는 윤리적 실천이어야 한다.

    영어초록

    The task of preaching is to critically read the reality upon which God acts, and to interpret and respond to God’s actions in history. To do so, preaching is not to provide the answer based on the fixed dogma but to envision an alternative way of life in new relations beyond dominant values of this world. The article tries to consider preaching itself as a moral communal practice of critically reading and unmasking violences of the Domination System. While Charles L. Campbell emphasizes preaching as a nonviolent resistance against powers of this world, Walter Brueggemann focuses on what preachers may deliver by considering preaching a way of providing a sub-version of interpretation beyond mainline versions. Campbell points to a community of friendship in which justice-making process is being made together. Based on the relations of friendship, an authority can be given to preachers in the community. Brueggemann suggests to us a new relation between a preacher and his/her congregation by exploring together biblical texts instead of having a hostile relation. Campbell’s and Brueggemann’s different understandings of preaching can be convergent on the fact that preaching has to listen carefully to the marginalized and the oppressed and empower them to have their own voices.
    From the critical perspective of Christian ethics, 1) preaching as a nonviolent resistance has an effective way of unmasking oppressors’ immorality. However, preaching should finally go toward including oppressors in the community. 2) Preaching as a nonviolent resistance has to have a self-critical power all the time, because it could fall into a violent system of this world. 3) Preachers participate in the text with the congregation and envision together an alternative way of life, that is, totally new relations of the society through communal practices. The envisioning itself can be a resistance against dominant social systems. 4) Preaching that resists dominant interpretation of the world can be evaluated not by visible results of social changes but by a radical power to make a community continually participate in active struggles against injustices of the society. 5) Preaching should be an ethical praxis to empower the marginaliz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0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