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니케아 신조(A.D. 381)에 나타난 위격들의 관계에 대한 몰트만의 새로운 제안: 사회적 삼위일체론을 중심으로 (Moltmann’s New Proposal on the Relationship of the Persons in the Nicene Creed(A.D.381))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2.09
30P 미리보기
니케아 신조(A.D. 381)에 나타난 위격들의 관계에 대한 몰트만의 새로운 제안: 사회적 삼위일체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33호 / 7 ~ 36페이지
    · 저자명 : 김옥주

    초록

    21세기 에큐메니컬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개혁주의 학자 중의 한 사람인 위르게 몰트만은 동방정통 교회와 로마 카톨릭 교회의 학문적 교류에 힘쓸 뿐 아니라 자신의 사회적 삼위일체론을 통하여 신학적 화해를 모색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몰트만은 특히 교회 안에존재하여 온 단일신론적 하나님 개념에 대조되는 기독교의 구속사적신앙에 그 토대를 둔 삼위일체적 하나님 개념을 확립했다. 또한 성부와성자와 동일한 성령의 동등성과 위격성을 부각시킴으로 서방신학의 성령론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세 위격간의 동등한 관계성과 공동체로서의 하나님 개념에 대해 강조는 다양한 인종과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계층의 사람들이 살아가는 현재 삶의 자리에서 실제적 정의와 평등을 세우는데 공헌할 수 있는 패러다임을 제공하였다.
    반면에 몰트만의 사회적 삼위일체는 몇 가지 문제점을 내포한다. 어떠한 위계적 질서(taxis)가 없는 평등한 위격들의 공동체적(또는 페리코레시스적)“삼위일체 하나님”을 전개하기 위해 몰트만은 삼위일체의구성(constitution of the Trinity)과 삼위일체의 내적 삶(inner life) 사이를 구별하였다. 이러한 구별은 성령의 발현(procession)에 관한 그의해석에서 더욱 명백히 들어난다. 몰트만은 성령이 성자의 아버지로부터나오며, 아들로부터 자신의 양식을 받는다고 제안한다. 그것은 아버지와 아들 각각이 성령과 갖는 관계에 있어서, 성령의 존재가 오직 아버지로부터 나오지만 성령의 위격적 특성은 관계적으로 아들로부터 온다고 강조함으로써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구별을 명확하게 하려고 시도하였다. 성부는 신성의 기원’이란 의미라는 점에서, 삼위일체는 아버지에 의해 형성된다. 아버지의 군주성이나 근원의 관계는 페리코레시스적일체에서는 어떠한 의미도 갖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동방교회 삼위일체론의 중심축으로 간주되는 성부의 군주성(monarchy)을 단순히 삼위일체의 구성에만 한정시켰다. 또한 전자와 연관되어, 위격의실재와 형식을 분리시킴으로 위격들의 절대적 특성을 나타내는 근원의관계(relations of origin)에 대한 이해를 무효화시키거나 축소시켰다.

    영어초록

    Theologians who are more concerned with ecclesial unity are opened to ecumenical dialogue. Their attempts are to both ease theological tension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nd construct alternatives to the western position of the filioque for theological reconciliation. One example of this approach is to be found in the work of Moltmann who seeks to balance and harmonize the two Churches’ concerns by finding common ground. Moltmann works to revitalize the tenuous doctrine of the Holy Spirit and, thus, regain full personhood and genuine equality for the Spirit through developing a social/perichoretic Trinity in the western church.
    However, Moltmann’s proposal is also problematic. While discussing on the Nicene Creed(381), especially the part of the Holy Spirit, he proposes that the Holy Spirit proceeds from the Father of the Son, and receives its form from the Son. It attempts to mak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in their relations with the Spirit in a way in which the existence of the Spirit comes from the Father alone, but the Holy Spirit’s personal character/form is relationally from the Son. This is based on Moltmann’s distinction between the constitution and the inner life of the Trinity.
    As one notices, Moltmann repeatedly stresses that the divine unity is constituted by perichoresis, while the processions from the Father are only bound to the constitution of the Trinity. It consequently leads to the view that neither “the relations of origin” (in the Cappadocians)nor “relations of distinction” (in Augustine) have validity in the eternal life since each person is defined by their own reciprocal relations with the other two. It sounds unconvincing in my view since the inner life of the Trinity would be inconceivable without the constitution of the Trinity. I wonder whether or not Moltmann means that the two processions from the Father point to nothing but the three individual divine beings that need a next stage, namely, the relational perichoresis to become fully “persons.” As the eastern theologian,Staniloae accuses Moltmann of separating “being” from “form,” it seems to me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onstitution of the Trinity and the inner life of the Trinity may not be necessary for building a Trinitarian the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직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