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80년대 중후반 아파트 거실의 사물 배치에 대한 연구 -여성지 『샘이깊은물』의 「볼만한 집치레」를 중심으로 (The Arrangement of Objects in the Living Room of Korean Apartments in the mid to late 1980s)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8.11
13P 미리보기
1980년대 중후반 아파트 거실의 사물 배치에 대한 연구 -여성지 『샘이깊은물』의 「볼만한 집치레」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학연구 / 31권 / 4호 / 189 ~ 201페이지
    · 저자명 : 박해천

    초록

    연구배경 1980년대 중후반, 한국의 중산층 일부는 경제 호황을 바탕으로 아파트 단지를 삶의 터전으로 삼아 새로운 형태의 일상문화를 일궈 나가고 있었다. 여성지 『샘이깊은물』의 고정 칼럼 「볼만한 집치레」는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주목하면서 중산층 내 상위 집단의 주거 공간을 취재하고 그들의 취향과 안목을 소개했다. 이 칼럼은 나름의 편집 방향에 따라 선별·축적된 디자인 아카이브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볼만한 집치레」라는 렌즈를 통해 당시 중산층 내 상위 집단이 거주하던 아파트 거실 경관을 세밀하게 살펴보면서, 아파트를 둘러싼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그들이 시도한 사물 배치의 내적 역학과 논리를 분석한다. 아파트 실내 공간의 질서가 만들어내는 ‘거실의 프레임’은 여기에서 중요한 분석의 도구로 활용된다.
    연구결과 아파트를 중심으로 입식문화가 확산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사물 배치 전략이 등장한다. 「볼만한 집치레」의 사례를 중심으로 보자면, 박물관화 전략, 갤러리화 전략, 극장화 전략 등 세 가지 전략을 구분해볼 수 있다. 특히 이 전략들에 있어 거실의 프레임은 아파트 거주자들이 실내 공간을 응시하는 시선의 프레임이면서, 동시에 공간 분위기 연출에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사물 배치의 좌표계였다.
    결론 「볼만한 집치레」에 소개된 아파트 거주자들은 장 보드리야르가 『사물의 체계』에서 정의한 '배치하는 인간형'과 유사한 면모를 보여준다. 그들은 자기 소유의 사물을 그저 소비하는데 그치지 않고 사물을 배치하고 정돈하고 통제하면서, 실내 공간의 분위기를 특정한 방향으로 연출한다. 거실의 프레임은 이들이 일상 소비문화의 새로운 주체로 자리를 잡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In the mid to late 1980s, the middle class in Korea rapidly grew based on the economic boom, and started to build a new everyday culture by designating apartment complexes as a place for living. 「A House Worth Seeing」, a fixed column for the women's magazine 『Saemigipunmul』, covered the housing spaces of the upper segment of the middle class and introduced their taste and design sense. The articles and photos in these columns have an important meaning as design archives selected and accumulated according to editorial direction.
    Methods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nal dynamics and logic of the arrangement of objects in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surrounding apartments, by taking a closer look at the living rooms introduced in 「A House Worth Seeing」. 'The frame of the living room' created by the organization of interior space is used as the main analysis tool.
    Results Various types of object arrangement strategies emerged around apartments. Based on the examples introduced in 「A House Worth Seeing」, three strategies can be distinguished: museumization, gallerization, and theatricalization. The frame of the living room was a field of vision in which apartment dwellers gazed at their interior spaces, and at the same time a coordinate system of object arrangement which they must consider in order to fomulate their own organizational strategy.
    Conclusions Apartment dwellers appearing in 「A House Worth Seeing」 shared similar aspects to "the arranging man" defined by Jean Baudrillard in 『The System of Objects』. They not only consumed their own objects, but also created an interior atmosphere in a particular direction, by placing, arranging and controlling objects. The framework of the living room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them as a new subject form of consumer capit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