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용목(李容穆)의 백석만성가(白石謾成歌)를 통해 본 19세기 말 국문시가 창작의 한 국면 (A Study on the Writing of Korean Classical Poetry in the late 19th century in Paeksuk-mansungg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2.01
32P 미리보기
이용목(李容穆)의 백석만성가(白石謾成歌)를 통해 본 19세기 말 국문시가 창작의 한 국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연구 / 55권 / 121 ~ 152페이지
    · 저자명 : 박영민

    초록

    백석 이용목은 사대부의 의식과 취향을 지녔으나 갑오개혁 등의 사회 변동을 겪으며 더 이상 예전과 같은 지위를 유지할 수 없었던 인물이다. 이 논문은 이용목이 73세 되던 1898년에 『백석만성가』를 짓게 된 내적 동력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로써 19세기 말 국문시가 창작과 향유의 한 국면을 구체화할 수 있기를 기대했다.
    『백석만성가』에 수록된 18편의 시가는 길어야 22행, 짧으면 5행에 불과하여 가사라 하기도 어렵고 시조라 하기도 어렵다. 이렇듯 어중간한 형태의 국문시가가 산출된 것은 조선 후기에 장르 인식이 옅어져 간 결과일 것이다. 그런데 이용목이 이러한 경향에 발맞춘 동력을 묻는다면 ‘만성/희작’의 태도를 표방하며 내키는 대로 가볍게 지었다고 하면서 당시에 유행한 시조를 수용하거나 시가의 관습적 표현을 활용하되 자신의 처지와 인식을 투사한 것이 눈에 띈다. 곧 이용목이 국문시가를 창작하는 과정은 19세기 말 시가 문화를 향유하는 과정이기도 했는데, 이와 같은 창작 태도가 그 장르 규정을 모호하게 하는 동력이 되었을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용목은 『백석만성가』 곳곳에서 자기 자신을 처사로 규정하며 세상과 거리를 둔 채 백운동 주변의 자연에 묻혀 살고자 하는 삶의 자세를 드러낸다. 흥미로운 점은 처사로서의 자기 인식이 치산과 부귀에 대한 비판적 태도와 결부된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용목의 현실 비판은 당시의 현실에 기반을 둔 감화와 설득의 전략을 갖추지 못한, 당위적 비판에 지나지 않았다. 결국 본인이나 잘해야 한다는 식의 체념과 비탄에 젖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그러므로 이용목은 못마땅한 현실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정립하지 못한 채 처사라는 이상적 형상에 기반하여 삶의 근거를 마련하려 한 조선 후기 처사의 한 면모를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백석만성가』는 처사를 자처한 이용목이 만년에 느낀 무력감과 고독감을 토로한 시가집이다. 곧 예전과 다른 인심과 세사를 비웃고는 있으나 그것을 어찌할 수 없는 데서 비롯한 무력감과 세상과 거리를 둘수록 늙어서 쇠한 몸, 홀로 남은 처지로 인해 깊어졌을 고독감을 노래했다는 것이다. 이용목에게 국문시가는 여전히 시여로서 그 시름을 푸는 창구가 된 것으로 파악된다. 이렇듯 무력하고 고독하게 혼란한 세월을 견뎌야 했던 이용목이 내키는 대로 가볍게 창작에 임하면서 자신의 목소리를 낸 것은 시가의 가창과 연행이 활발해지고 가집의 편찬과 보급이 활성화된 19세기 말의 문화적 토대에 기반을 둔다. 따라서 백석 이용목의 『백석만성가』는 전근대의 시가 양식이 1898년까지 지속, 변모한 하나의 국면과 당시의 문화적 기반이 국문시가의 창작과 향유에 미친 영향을 구체화하는 단서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nal driving force behind Baekseok(白石) Lee Yong-Mok(李容穆) writing the 『Paeksuk-mansungga(白石謾成歌)』 in 1898 when he 73 years old.
    The 18 poems included in 『Paeksuk-mansungga』 are only 22 lines at the longest and 5 lines at the shortest, making it difficult to say that they are Gasa(歌辭) or Sijo(時調). He wrote poems lightly as he wanted by advocating the attitude of ‘play(戲作)’, and this means that such a creative attitude may have been a driving force that obscures the genre regulations.
    Lee Yong-Mok defines himself as a recluse(處士) throughout the 『Paeksuk- mansungga』 and reveals his attitude of life to live in the surrounding nature around Baekun-Dong(白雲洞), keeping a distance from the world. However, it can be considered that Lee Yong-Mok shows an aspect of reclus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tried to lay the foundation for life based on the ideal form of recluse without establishing his position in an unfavorable reality.
    『Paeksuk-mansungga』 is a collection of poems in which Lee Yong-Mok, who claimed to treat himself, expressed the feeling of helplessness and loneliness he felt in his later years.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pre-modern poetry style until 1898 of giving a voice to the Lee Yong-Mok is in the situation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singing/ performance culture developed and collection of poems was compiled and distribu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