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동일성 해체 서사 - 로트만의 장편소설 『5월, 6월, 7월』을 예로 들어 (Zum Identität-abbauenden Erzählen in der Postmoderne - Anhand von Jürgen Lottmanns Roman Mai, Juni, Juli)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0.12
30P 미리보기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동일성 해체 서사 - 로트만의 장편소설 『5월, 6월, 7월』을 예로 들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독일어문화권연구 / 29호 / 87 ~ 116페이지
    · 저자명 : 인성기

    초록

    소설 내용에서 주인공은 소설가다. 그는 소설가로서 성공하기 위해 다양한장르로 소설을 창작해보지만 언제나 실패한다. 1인칭 화자로서 그 모든 실패의 경험에 대해서 보고할 수 있을 뿐이다. 작품은 23편의 에피소드 형식으로구성된다. 본 논문은 그가 소설쓰기에 실패하는 이유를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으로 분석한다.
    작품에서 주인공은 소설의 진정성을 추구하므로 현실에서 경험에 입각한사태들만 서사를 하길 원한다. 하지만 서사는 실패한다. 이유는 그의 삶의 경험이 진부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는 독자의 흥미를 끌만한 경험을 쌓기위해 주변사람들을 관찰한다. 그러나 그들의 삶도 그와 다름없이 진부하다는것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본고는 그의 서사 실패를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사회문화적 현실의 리얼리즘적 반영이라는 관점으로 설명한다. 현실에서도그가 동일시할 수 있는 거대서사의 내러티브들이 해체된 탓이다.
    해체는 관성력으로 미시서사들마저도 해체한다. 그래서 그가 발견하고 싶었던 여러 감동서사의 패러다임 예컨대 포르노문학, 사회비판문학, B급 감성문학, 기행문학 등의 패러다임도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되었다. 일체의 서사패러다임의 소멸은 후기내러티브 시대의 특징이다. 그러나 작품은 그럼에도불구하고 서사를 계속 이어간다. 그 이유는 아마도 현실에서도 서사 없이는삶에 대한 조망과 의미 확보가 불가능하기 때문일 것이다.

    영어초록

    Es wird hier das Erzählverfahren von Jürgen Lottmanns Roman Mai, Juni, Juli aus der Sicht des Postmoderne-Diskurses untersucht. Im Roman ist der Protagonist ein Romanautor. Er schreibt Romane in verschiedenen Genres, um sich als Schriftsteller durchzusetzen, aber leider efolglos. Der Roman besteht aus 23 Episoden, in denen der Protagonist von seinen Erfahrungen des Scheiterns als werdender Schriftsteller berichtet. Die vorliegende Arbeit führt den Grund seines Scheiterns auf den Diskurs der Postmoderne zurück.
    Im Werk versucht der Protagonist beim Schreiben der Romane zu einer Authentizität des Schreibstils zu gelangen. Seine Sprache soll nämlich seiner Lebenserfahrung entsprechen und überzeugend wirken, aber ein Problem ist, dass er keine berichtswürdige Lebenserfahrung hat. Er will die Lücke füllen, indem er seine Nachbarn und Freunde besucht und ihre Handlungen beobachtet. Aber das gelingt ihm nicht, weil ihr Leben auch nicht anders ist. Sie sind nämlich keine Helden mehr. Sein Erzählen von ihnen erscheint daher klischeehaft.
    In der Postmoderne wird ein Abgang von Grossnarrativem überall postuliert, was wohl dazu führt, dass auch in J. Lottmanns Werk keine Heldenwelt gezeigt wird, wo ein affektisches Erzählen zu einer authentischen Erfahrungswirkung führen könnte. Weder Grossnarrative wie Nation oder Geschichte noch Kleinnarrative wie Familie oder Freundschaft existieren im Alltagsleben.
    Das Werk nimmt das Problem der Postmoderne wahr und beweist es anhand verschiedener literarischer Muster: sozialkritischer Literatur, Pornografieliteratur, emotionaler Literatur der B-Klasse und Reiseliteratur sowie dem Künstlerroman. Die vorliegende Arbeit vergisst bei der Untersuchung nicht zu betonen, dass trotz des Problems der Postmoderne die Praxis des Erzählers wohl nie aufgegeben wird, da es ohne Erzählen auch kein sinnvolles Leben geben kan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일어문화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