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觀者의 시각경험을 통해 본 大足 大佛灣 20호 석각의 특징과 그 의미 (Rethinking the Carving No. 20 at Dafowan, Baodingshan,Dazu Visual Experience of the Viewer)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8.12
26P 미리보기
觀者의 시각경험을 통해 본 大足 大佛灣 20호 석각의 특징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300권 / 300호 / 255 ~ 280페이지
    · 저자명 : 조충현

    초록

    이 글은 觀者의 시각경험을 재구성하여 大足 大佛灣 20호 석각의 특징과 그 의미를 탐색해보려는 시도이다. 석각과 그것을 살펴보는 관자의 물리적 관계에 주목한다면 이전과는 다른 성격의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방법론상의 전제가 이 글의 출발점이다.
    대불만 내의 다른 석각과는 달리 20호 석각은 상하 두 개 층으로 나뉘기 때문에 이곳에서 관자는 동일한 석각을 두 차례 살펴보는 특이한 경험을 하게 된다. 관자는 우선 20호 석각의 동쪽에 자리한 18, 19호 석각에서 이어지는 좁은 길을 따라 석각의 상층으로 들어온 후, 왔던 길을 돌아 나와 18호 석각 앞에 마련된 계단을 내려와서야 훨씬 넓은 공간을 앞에 둔 하층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와 함께 20호 석각의 부조상과 명문이 관자의 이동 방향(동–서)과 대응하는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는 점은 흥미롭다. 이는 20호 석각 내의 여러 부조 장면이 분명 관자의 시선과 움직임을 고려하여 조성되었음을 알려준다. 그리고 이러한 관자의 시선과 움직임은 상하층 두 개 공간의 물리적 상황에 따라 차이를 보이기 마련이다. 그렇지만 이제까지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거의 주목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상을 염두에 두고 1단(하층)과 2단(상층)의 지옥, 파계 장면과 명문을 분석한 결과 상층과 하층의 그것이 각각 다른 방식으로 관자를 상대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층에서 두드러지는 화면 밖을 향한 옥졸의 모습과 읽는 자(관자)를 직접 언급하는 명문의 話法은 이곳 지옥 장면의 구성이 화면 자체만이 아니라 관자의 존재를 통해 완성된다는 점을 말해준다. 반면 하층에서 관자는 破戒 장면, 지옥 장면, 명문을 함께 비교해가며 파계와 지옥 사이의 인과관계라는 내러티브를 파악해야 한다. 요컨대 상층에서 관자가 지옥 장면의 참여자라면, 하층에서는 파계와 지옥 장면의 관찰자의 위치에 서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하층의 지옥(및 파계) 장면은 같은 석각 내의 다른 공간에서 각각 다른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론은 또한 20호 석각 1, 2단의 지옥을 아울러 ‘十八地獄’이라는 하나의 단위로 파악하던 기존의 인식에 대한 재고를 요구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n attempt to re-evaluates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Carving No. 20 at Dafowan, by reconstructing the visual experience of the viewer. It firstly focuses on examining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No. 20 and its viewer which can widen the scope of discussion.
    Unlike other cliff carvings at Dafowan, the No. 20 has two storeys, offering a unique experience of visiting it twice for the viewer. Following the pilgrim route at Dafowan, the viewer enters the upper storey of the No. 20 along a narrow path from the No. 18 and No. 19 situated to the east of it. After looking through it to the west, the viewer returns by the same path and walks down the stairs at the No. 18, and then proceeds eastward to the wider space in front of the lower storey of the No. 20.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relief scenes and inscriptions in the No. 20 are arranged from the east to the west, the same as the viewer's movement direction in both storeys. This suggests that the structure, relief scenes and inscriptions of the No. 20 were designed with consideration of the viewer’s eyes and movements, which depends on the spati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storeys.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rarely reflected on this fact.
    On the upper storey, there are ten hell scenes, which show many jailers whose gaze and gesture face the outside of the frame, and inscriptions referring to the reader (i.e. viewer). It indicates that the composition of them is based on the existence of a viewer. On the other hand, on the lower storey the viewer is placed in a situation where he/she needs to grasp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cenes of the hell and the activities of violating Buddhist precepts (Ch. jie), by connecting the various scenes and their inscriptions. In short, the viewer is a participant to the scenes of hell in the upper storey, whereas he/she becomes a witness in the lower stores. It reveals that the scenes and inscriptions work in distinct ways in the upper and the lower storeys respectively, and therefore necessitates a re-examination of a previous assumption that the scenes of hell in both storeys together represent the Eighteen Hells in the Buddhist scrip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