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령여성노인들의 비만 유무가 체중분포와 계단 내려가기 보행동작에 미치는 기전분석 (Kinematic Analysis of Weight Distribution and Stair Descent Gait Motions Between Obese group and Non obese group of Elderly Women)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2.09
10P 미리보기
고령여성노인들의 비만 유무가 체중분포와 계단 내려가기 보행동작에 미치는 기전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코칭능력개발원
    · 수록지 정보 : 코칭능력개발지 / 14권 / 3호 / 95 ~ 104페이지
    · 저자명 : 김건도, 김성섭, 한길수

    초록

    본 연구는 고령여성노인들의 비만유무가 계단 내려가기 보행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령이 70세 이상인 고령자 여성노인들을 대상으로 체중분포와 측정을 통해 체질량지수(BMI)가 25kg/m² 이상인 비만군 7명, 정상군 7명을 대상으로 계단 내려가기 보행동작 시 지지기 동안 소요시간, 신체중심 변위, 발목관절 각, 발목관절의 모멘트를 SPSS 1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비만군은 정상군에 비해 힘의 중심을 후방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계단 내려가기 보행 소요시간에도 빠르게 보행하고 좌우 움직임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체변위의 속도 둔화로 이어져 다음 동작으로의 움직이는데 있어 추진력이 약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정상군은 비만군에 비해 서있을 때 힘의 중심을 전방자세를 취하고 계단보행 동작 시 더 느리게 내려가고 좌우 움직임의 흔들림도 적어져 이는 자세의 안정에도 영향을 주어 다음 동작으로의 행동을 신속하게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고령자 여성노인들에게 있어 비만은 정상인에 비해 자세의 안정을 위해 힘의 중심을 좀 더 후방으로 유지하려는 경향을 보였고, 계단 내려가기 보행동작 시 빠른 보행속도와 좌우 밸런스의 큰 흔들림 등으로 이어져 이는 낙상에 대한 불안감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for weight distribution and performance of stair descent gait motions associated with obesity index in elderly women over 70 years old. Fourteen subjects (obesity group(BMI: 25kg/m²): n=7, non obesity group: n=7) participated on this study. Both group was measured for front heels and back heels twice using by the Tetrax Portable Multiple System and Lower extremity joint angles was observed during the support period of stair descent gait motions. Independent t-test in the SPSSWIN 15.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following results showed that the obese group had more weight load on back heels while non obese group put weight load on front heel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p>.05). Both groups were found to generate plantar flexion moment till the middle of stance period. The obese group were found to keep bigger dorsi-flexion moment until the feet took off.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Overall, obese group according to weight distribution tended to maintain their center of force more backwards by increasing the lordosis degree with abdominal distension and Lower extremity extensor muscles in the obese group could not support the upper body weight sufficiently at the early phase of support period compared non obese group in general case. Due to fear that they might fall while walking down stai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코칭능력개발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