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방조제 건설이후 아산만 대형저서동물 군집 구조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Variables on Macrobenthic Communities after Dike Construction in Asan Bay, Korea)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1.12
19P 미리보기
방조제 건설이후 아산만 대형저서동물 군집 구조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물학회
    · 수록지 정보 : 환경생물 / 29권 / 4호 / 326 ~ 344페이지
    · 저자명 : 유옥환, 이형곤, 이재학

    초록

    아산만 인근해역은 최근 20여년 넘게 실시된 각종 방조제 공사가 저서동물의 군집구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충분치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화옹방조제 건설 이후 아산만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을 분석하였다. 대형저서동물 채집은 2007년 8월과 2008년 2월에 아산만 주변 해역 22개의 정점에서, 스미스 맥킨타이어 그랩(Smith McIntyre Grab, 표면 면적: 0.1m^2)을 이용하였다. 화옹방조제 주변에서 유기물 함량은 상대적으로높았고, 수심이 낮았으며, 퇴적물 입자는 방조제 주변에서 펄의 함량이 높았다. 그러나 방조제에서 남양만 외측으로 갈수록 수심이 깊어지고 모래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조사 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317 종이였으며, 평균서식밀도는 1,155 개체 m^(-2)로 지금까지 조사된 결과와 비교했을 때 매우 높았다. 본 조사에서 퇴적물내 유기물 오염이 진행된 지역에서 다량 출현하여 예비 오염지시종으로 알려진 다모류 H. filiformis가 가장우점하였으며, 세립질 퇴적물이 많이 분포하고 유기물함량이 높은 화옹방조제 주변에서 높은 서식밀도를 보였다. 반면에 오염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는 다모류 A.
    arctica와 극피동물인 A. squamata 등은 화옹방조제에서먼 거리에 위치한 아산만 내측과 남양만 외측에 서식밀도가 높았다. 대형저서동물의 군집은 방조제에 인접한지역과 그 외 지역으로 크게 구분되어졌으며, 퇴적물의입자 (펄 함량 또는 평균입도)와 균질상태 그리고 유기물함량 등이 군집구조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그러므로이 연구에서 아산만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방조제 건설이후 유기물 함량의 증가와 퇴적상의 변화에 의해 크게영향을 받는 것으로 여겨진다.

    영어초록

    Although anthropogenic disturbance of 20 years duration affects benthic habitats, few studies have examined its effects on the macrobenthic communities of a ba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variables on the macrobenthic communities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Hwaong dike. Macrobenthos were collected at 22 sites using a Smith McIntyre grab (0.1 m^2) in August 2007 and February 2008. Total organic content was very low around the Hwaong dike. Sediment grain size increased from the Hwaong dike to the outer bay.
    In total, 317 species of macrobenthic fauna were collected and the mean density was 1,155 ind. m^(-2),both of which were higher tha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 dominant species, Hetermastus filiformis, known to be a potential pollution indicator, was more abundant near the Hwaong dike.
    Conversely, species sensitive to organic pollution, such as the polychaete Ampharete arctica and the ophiuroid Amphioplus squamata, exhibited higher mean densities in areas distant from the dike. A cluste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acrobenthic community was divided into two distinct groups: group I near the dike and group II in the outer bay, which were affected by sediment grain size and total organic content. This study suggests that variations in sediment grain size and organic content after dike construction are important factors controlling the macrobenthic community in Asan B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환경생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