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명’과 ‘야만’의 서사를 통한 재‘만’ 조선인의 신분 상승의 욕망 (The Barbarous' in the Korean Immigrant Novels of Manchukuo: Korea's desire to improve the status of "The Civilized" and "The Barbarous" narrative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1.09
40P 미리보기
‘문명’과 ‘야만’의 서사를 통한 재‘만’ 조선인의 신분 상승의 욕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통일인문학 / 87권 / 193 ~ 232페이지
    · 저자명 : 왕원원, 이해영

    초록

    이 논문은 ‘문명’과 ‘야만’의 대립적 서사를 통해 재‘만’ 조선인 소설에서 조선인의 신분 상승의 욕망이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일본인과 같은 반열에 오르려는 환상을 품었으나 진정한 국민으로 취급 받지 못한 조선인에게 ‘문명’은 우위, ‘야만’은 하위라는 민족적 위계 질서가 내포되어 있는 ‘문명론’은 신분적인 낙차를 없애는 차선책이 되었다. ‘문명론’에 의해 조선인은 본민족의 ‘문명’과 우월성을 나타낼 수 있는 ‘야만’적인 ‘만주’를 발견하였고 조선인의 신분 상승의 욕망은 ‘만주국’이라는 특별한 공간에서 구현되었다.
    이러한 조선인의 신분 상승의 욕망은 재‘만’ 조선인 소설의 하나의 주제로 표출되었다. 한찬숙의 「초원」은 ‘문명’을 대표하는 조선인과 ‘야만’을 상징하는 몽골인 사이에 형성된 ‘문명’화 정도의 대비를, 또한 일본인의 부재를 이용하여 조선인은 ‘만주’ 토착민 몽골인의 우위에 서고 일본인과 동등해지려는 욕망을 그대로 나타냈다. 김현숙의 「참회」는 ‘만주국’내 일본인은 우위, 조선인은 하위의 민족적 위계 질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야만’적인 조선인이 ‘문명’한 일본인에 의해 구원을 받고 문명인으로 신분 상승의 가능성을 획득하는 서사를 통해 위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조선인의 욕망을 우회적으로 표출하였다. 박영준의 「밀림의 여인」은 ‘야만’적인 적대세력 공산당을 교화하는 서사를 통해 조선인 전체를 ‘만주국’ 체제에 편입시킴으로써 조선인 신분 상승의 욕망을 반영하였다. 비록 소설에 따라 욕망의 구현 형태가 다르지만 이것은 ‘문명론’을 통해 조선인의 ‘문명’과 우위를 확보하고자 했던 재‘만’ 조선인의 식민주의적 무의식이 만들어낸 허상이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how the desire to improve the status of Koreans was fulfilled through the contrasting narratives of "the civilized" and "the barbarous" in the Korean immigrant novels of Manchukuo.
    For Koreans who were eager to obtain equal status with the Japanese but had never been treated as Japanese nationals, the hierarchical "theory of civility," which holds that "the civilized" occupies the upper position and "the barbarous" is placed in the lower position, had become the alternative choice to eliminate their status differences. With the help of the "theory of civility," Koreans found that Manchukuo's, a "barbaric" place, highlights their national civility and status superiority; this has become one of the central themes of Manchukuo novels. Han Chan-sook's Grassland used a comparison of the degree of civility between the Koreans who represented civility and the Mongols who symbolized barbarism, as well as the absence of the Japanese, to manifest the desire of Koreans to stand above the Manchukuo original inhabitants-Mongols and to obtain a status comparable to the Japanese. Kim Hyeon-sook's Confession told a story about "barbaric" Koreans who were saved by the "civilized" Japanese, which provided the opportunity to improve their status as civilized persons while maintaining the national hierarchy in Manchukuo, where the Japanese were superior and the Koreans were inferior. This story implicitly shows Koreans' desire to improve the hierarchy. Park Young-joon's Woman in the Jungle embodied the desire to improve the status of Koreans by incorporating all Koreans into the "Manchukuo" system through a narrative that edified the "barbaric" hostile forces-the Communist Party. The desires depicted in these novels, albeit with different manifestations, were illusions created by the colonial unconsciousness that internalized the "theory of civility" to confirm the civility and superiority of Kore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통일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