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李萬敷의 『南風』에 나타난 嶺南士人의 歷史認識 (A Study on the Historical Awareness of Scholars from Yeongnam Province Reflected in "Nam Pung" by Lee Man Bu)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1.02
42P 미리보기
李萬敷의 『南風』에 나타난 嶺南士人의 歷史認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32권 / 32호 / 207 ~ 248페이지
    · 저자명 : 김주부

    초록

    息山 李萬敷는 숙종 시대 남인과 노론의 정치적 부침을 체험하고 재야학자의 길을 걸어간 17세기 명문가의 후예였다. 조부 李觀徵은 허목의 뒤를 이어청남계의 영수가 되었고, 아버지 李沃은 이민구와 조경에게 시와 문을 인정받았던 문장가였다. 식산은 在京시절 조부와 부친으로부터 가학을 전수받고허목 계열의 박학을 배운 뒤 영남으로 이거하였다. 영남에서 생활한 후반기는고전과 성리학에 침잠하여 『息山志書』와 『道東編』을 저술하며 학자로서 두각을 드러내었다. 특히 영남지역의 사인들과 폭넓은 교유와 오랜 여행을 통하여 축적한 국토와 역사의 지식을 『지행록』과 『남풍』으로 정리했다.
    본고는 식산의 문학사상이 응축되어 있는 『남풍』을 분석하여 체제와 창작배경을 고찰한다. 그것을 바탕으로 식산이 지니고 있었던 영남에 대한 의식과역사인식을 규명하고자 한다. 『남풍』의 구성은 「序文」, 5언고시 14수, 「後識」순으로 되어 있다. 서문과 시는 식산이 1730년 전후에 지었고 「후지」는 李敬儒가 1810년 쯤에 지었다. 『남풍』의 형식은 오언 고시체이고 분량은 5언 4구에서 5언 18구까지 다양하다. 유형은 『해동악부』 계열의 영사악부에 속하며, 특히 운을 사용할 때 환운하여 내용의 역동성과 음악성을 추구하였다. 표현법은 한 작품 안에 여러가지 사실이나 인물을 서술하였다. 서술한 시대는 단군조선에서 임진왜란까지이다. 삼국시대 이전은 삼한과 신라를 중심으로 서술하였고, 통일신라 이후는 고려와 조선의 역사와 인물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내용은 고금의 연혁,산천의 형승, 물산과 도로, 인물과 풍속, 정치의 득실, 상서와 災異 가운데후세에 귀감이 될 만한 것을 선택하였다. 1728년에 일어난 戊申亂으로 영남은 반역의 고을로 낙인찍혀 반세기 동안 관계진출이 봉쇄당하였다. 그러나 식산은 반란군 진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1729년 戊申倡義의 공적으로 조정에 천거되어 벼슬을 제수 받았다. 이러한 시점에 창작되었기에 『남풍』은 18세기 영남남인의 역사인식을 규명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식산은 무신란 이후 영남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인식되어 오던 국왕과 집권세력의 편견을 불식시키기 위해 많은 저술 활동을 하였다. 특히 이러한 조정의 차별의식에 대응하기 위하여 영남의 역사와 인물을 재해석하여 『남풍』을창작하였다. 그 속에 삼한정통론과 人才府庫論 등의 역사인식을 피력하였다.
    영남의 역사와 인물을 긍정적으로 묘사하여, 침체된 영남인사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실추된 명예를 회복시키고자 하였다. 영조 시대는 줄곧 영남에 대한부정적인 인식이 바뀌지 않았다. 식산의 이러한 인식을 계승한 손자 李承延은정조 때 「嶺對」란 작품을 창작하였다. 「영대」는 『남풍』에서 다루지 못한 조선후기 영남의 산천, 물산, 풍속, 인물, 문장, 도학, 古今 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표현하였다.

    영어초록

    Lee Man Bu with the nom de plume of Sik San is a 17th-century scholar from a prestigious family with lots of academic achievements who experienced the historical vicissitudes of Nam In and No Ron, ones of political factions, in the reign of King Sukjong, ending in living his life as an out-of-office scholar. Lee Gwan Jing, his grandfather, succeeded Heo Mok as a leader of Cheong Nam Gye (a branch of Namin), and Lee Ok, his father, was quite a writer whose poetry and prose was acknowledged by Lee Min Gu and Jo Gyeong. He was initiated into disciplines inherited from his father and grandfather when he lived in Hanyang (the then capital of Chosun Dynasty), and then learned "Bak Hak"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research) of "Geun Gi Nam In" School from Heo Mok before moving to Yeongnam Province later. During the first half of his life,his learning was mainly affected by Heo Mok, while, during the remaining half of his life in which he lived in Yeongnam Province, he was devoted to classics and Neo-confucianism. This devotion enabled him to write 『Sik San Ji Seo』(息山志書) and 『Do Dong Pyeon』(道東編) so that he cut a conspicuous figure as scholar. In particular, he compiled into 『Ji Haeng Rok』(地行錄) and 『Nam Pung』(南風) his knowledge of history and territory he had accumulated while making inclusive exchanges with scholars in Yeongnam Province and traveling around lots of pl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Nam Pung』(南風) (an essence of his ideas about literature) and contemplate its structure and background to identify his understanding of Yeongnam Province and his historical awareness he had kept to himself.
    『Nam Pung』(南風) consists of three parts: 「Preamble」, 14 classical Chinese verses with five-character line stanzas, and 「Hu Ji」(後識). The former two parts (i.e. 「Preamble」 & 14 ancient poems with five-character lines) were written around 1730 by Lee Man Bu, and the latter part (i.e. 「Hu Ji」) were written around 1810 by Lee Gyeong Yu. 『Nam Pung』(南風) takes on the style of classical Chinese verses with five-character line stanzas (including five-character four line stanzas to 18 line stanzas).
    The type of 『Nam Pung』(南風) belongs to "Yeong Sa Ak Bu"(詠史樂府) of 『Hae Dong Ak Bu』(海東樂府). Especially, its rhyming patterns are so changed to lead to the creation of dynamics and musicality. Also, various facts and figures are described even in a single work, and time coverage include Tan-gun's Chosun (i.e. 2333 B.C.) to the Imjin War; for the parts covering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including Silla, Goguryeo and Baekje) or earlier, its description focuses on Silla, with a focus on Korea and Chosun for the parts corresponding to United Silla and later. It addresses various contents, including (the history of) old and current times, beautiful mountains & rivers, local products & roads,figures & customs, gains & losses of politics, and others that would be a model for coming generations.
    For half a century since 1728 when military vassals' riot broke out in Yeongnam, the province had been branded a so-called "Place of Traitors" so that no one from the same place could get in government office. However, since he played an active role in suppressing the riot raised by those rebels, Lee Man Bu was recommended for government office in 1729; the rebels recognized him as a public enemy against their cause. 『Nam Pung』(南風) written around this time serves as an important clue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awareness of Namin in Yeongnam Province in the 18th century. That is, he tried to realize the switchover of awareness by re-translating the history and figures of the province through 『Nam Pung』(南風). 『Nam Pung』(南風) is the collection of classical Chinese verses written to restore the lost honor of Yeongnam by wiping out the privilege of the king and other forces in power against the province that had bee negatively acknowledged since the riot raised by military vassals. Their negative awareness of the province continued even in the reign of King Yeongjo. In the reign of King Jeongjo, Lee Seung Yeon, his grandson who inherited the awareness of such an attempt of his described in 「Yeong Dae」 in detail mountains & rivers, local products, manners & customers, figures, writings, Taoism, history, etc. in Yeongnam in the later Chosun Dynasty etc. not covered in 『Nam Pung』(南風).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