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호흡 증상만으로 발현된 미숙아의 비전형적 경련 (Partial Seizures Manifesting as Apnea Only in Preterm Infant)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3.02
7P 미리보기
무호흡 증상만으로 발현된 미숙아의 비전형적 경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신생아학회
    · 수록지 정보 : Neonatal medicine / 20권 / 1호 / 106 ~ 112페이지
    · 저자명 : 전자경, 문청준, 김순주, 윤영아, 이주영, 이현승, 이정현, 성인경, 김소영

    초록

    목적: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미숙아를 대상으로 하여 2차적인 원인의 무호흡증을 감별하여 교정하고 아미노필린을 투여한 후에도 반응하지 않는 무호흡증이 있는 신생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특징을 알아보고 EEG 결과비정상소견을 보인 미숙아와 정상소견을 보인 미숙아들을 비교함으로서 무호흡증으로 발현된 신생아경련 환아의특징 및 그 요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빠른 진단을 내릴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에서 재태주령 37주 이전에 출생한 신생아들 중 무호흡 증상을 보이면서 패혈증, 폐렴, 질식(asphyxia), 체온 불안정, 빈혈, 저혈당 및 전해질 장애, rota virus 감염 등의 바이러스 감염 등 2차적인 원인의 무호흡증을 감별하여 교정하고 아미노필린을 투여하여도 반응하지 않는 미숙아를 연구 대상으로 의무기록지를 통한 후향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대상 미숙아는 총 37명 이었으며 그 중 32.4%가 비정상 뇌파소견을 보였다. 재태주령, 출생체중, 성별, 1분 아프가점수, 뇌파검사 검사시 재원일, BPD, NEC, PDA, IVH 등 합병증의 동반유무, 뇌초음파 검사상 grade I, 2의 IVH와MRI 결과에 따른 EEG 정상여부가 뇌파검사 결과 정상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5분 아프가 점수는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EEG 정상 여부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5분 아프가 점수가 EEG 정상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경련을 일으킬 만한 뚜렷한 원인질환이 없는 미숙아에게 무호흡증이 생기고 아미노필린에 반응하지 않은 경우 뇌파검사 결과 비정상으로 무호흡의 증상만으로 표현된 비 전형적인 미숙아 경련일 경우는 32.4% 이었으며 남아가신생아 경련에 이환될 확률이 높았다. 이들 환아 중 5분 아프가 점수 가 EEG 정상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Purpose: Extremely-low-birth-weight infants (ELBWIs), especially those ≤24 gestational weeks (GW), presented extremes in IWL and changes of water balanc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retrospectively investigate fluid and electrolyte balance in infants of ≤24-GW during the first postnatal week under high humidification.
    Methods: Medical records of extremely-low-birth-weight infants (ELBWIs) who were born and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t Samsung Medical Center during March 2004-September 2010 were reviewed. Fluid intake, urine output, insensible water loss (IWL), and electrolyte balance of 22-GW (n=14), 23-GW (n=40), and 24-GW (n=67) infants nursed in high humidity (95%) were compared with ≥26-GW (n=65) infants nursed in 60% humidity.
    Results: Survival rate until discharge was 33%, 82%, 75%, and 89.3% in 22-GW, 23-GW, 24-GW, and ≥26-GW infants, respectively. Fluid intake and IWL was higher in 22-GW and 23-WG, but not different in 24-GW, than in ≥26-GW infants. At postnatal days (P) 3-5, the urine output was significantly lower in ≥26-GW infants than in the other age groups. Serum sodium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22-, 23-, and 24-GW (P1-2) than in ≥26-GW infants. Hypernatremia (>150 mEq/dl sodium) was more frequent in 22-GW (71%), 23-GW (41%), and 24-GW (21%) than in ≥26-GW infants (14%).
    Conclusion: High-humidity environments significantly decreased fluid intake and improved electrolyte imbalance in 24-GW, but not 22- and 23-GW, infants. Increased IWL in the latter might be related to more immature skin, and implicates the need for additional nurturing condi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Neonatal medicin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