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얀 리본〉: 진실은 우물 속에서 몸을 반쯤만 드러낸다 (〈White Ribbon〉: The truth reveals its body only half out of the well)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2.04
32P 미리보기
〈하얀 리본〉: 진실은 우물 속에서 몸을 반쯤만 드러낸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수록지 정보 : 씨네포럼 / 41호 / 105 ~ 136페이지
    · 저자명 : 김철권

    초록

    <하얀 리본>은 마치 우리가 자면서 꾸는 꿈의 형성 기법으로 만들어진영화다. 억압된 것의 회귀에 해당하는 것이 바로 영화에서의 사건으로, 사건은 우리가 꾸는 꿈-내용(꿈)에 해당된다. 반면 사건을 야기하는 원인으로서의 진실, 혹은 억압된 것은 꿈-사고에 해당되는데, 이것은 그 모습을 그대로 드러내지 않고 변형 왜곡되어 표출된다. 이때 가장 흔히 사용되는 기법이 압축과 이동이다. <하얀 리본>에서는 꿈-내용(꿈)에 해당하는 사건을보여줄 때 꿈-내용(꿈)의 형성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기전인 압축과 이동 작용을 특징적으로 보여준다. <하얀 리본>은 사실주의 기법을 적용한 영화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감독이 꿈에서의 심리적 검열자인 자아처럼 압축과 이동 기제를 사용하여 시퀀스와 시퀀스 사이를 생략하고 건너뛰고 삽입하고 의도적으로 흐릿하게 만들고 복선을 깔고 암시를 주는 방식으로모든 사람이 범인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동시에 그 누구도 범인이 아니라는 식으로 영화를 끌고 간다. 영화 속의 사건들은 무의식적으로 억압된 것이 회귀한 것이다. 감독은 여러 가지 사건을 통해 억압된 것을보여주는데 그 과정에서 이동과 압축을 통해 변형 왜곡된 형태로 보여준다. 그래서 관객은 억압된 것의 본래 모습을 선명하게 알 수 없고 단지 어렴풋하게 짐작만 할 뿐이다. 감독은 영화에 내레이터를 도입하고 사건의원인을 밝히기 어렵게 만드는 꿈의 형성 기법을 통해 진실은 결코 완전히밝혀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영화가 사건의 진실을 추적하는 내용이라면, 그 진실의 모든 것은 감독이 짜놓은 진실의 각본이다. 진실이 미궁에 빠지는 것은, 사건의 전모가 밝혀지지 않는 것은 감독의 촬영과 편집 기법이 그러하기 때문이다. <하얀 리본>은 꿈의 형성에 작용하는 압축과 이동 기제를 통해 진실의 속성인 반쯤 드러나기를 잘 보여준다. 영화에서 감독은 마치 범인이 범죄를 숨기고 위장하는 방식을 그대로 쓰고 있다. 결국감독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진실은 부분적으로만 모습을 드러날 뿐 끝끝내 완전히 드러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진실은 우물에서 몸을 반쯤만 드러낸다. 이것을 영화 속의 사건에 적용하면, 사회적 보편적 억압의 진실은 사건 밖으로 몸을 반쯤만 드러내고, 영화에 적용하면 영화의 진실은 영화 밖으로 몸을 반쯤만 드러낸다. 그것이 곧 진실의 진실임을 감독은 <하얀 리본>에서 보여주고 있다.

    영어초록

    <White Ribbon> is a film made by the technique of dream formation which acts on our dreams. The incidents in the film correspond to the returning of the repressed, and the contents of our dream. On the contrary, the truth or the repressed as a cause which gives rise to incidents corresponds to dream-thought. It is not revealed itself as it is, but expressed into incidents in a modified form. In the film, condensation and displacement are the most commonly used techniques for transformation and distortion. In <White Ribbon>, when incidents corresponding to dream-content (dream) appear, they characteristically show the mechanisms of condensation and displacement that are most important in the process of forming dream-content (dream). <White Ribbon> seems realistic and concrete like films with realism. In fact, the director, like the psychological censor in dreams, the omits, skips, inserts, blurs scenes deliberately, obfuscates the meanings, and indicates something beforehand in sequences, using condensation and displacement mechanisms. As a result, the movie unfolds in such a way that everyone can be the culprit and no one is the culprit at the same time.
    Incidents in the film correspond to the thing that has been repressed unconsciously and returned. The director shows the repressed in a transformed and distorted form using condensation and displacement in various incidents. Therefore, the audience can not clearly see the original appearance of what is repressed, but only guess it vaguely. The director shows that the truth never reveals itself completely, introducing narration and using dream-formation techniqu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incidents. If this film is about chasing the truth of incidents, everything about it is a script of the truth that the director has woven. The truth falls into mystery and the whole story of incidents does not reveal itself because of the director's filming and editing techniques. <White Ribbon> shows the trait of truth, revealing its body only part by part, through the mechanism of condensation and displacement that act on dream-formation. The director produces the film in the same way criminals hide and disguise the crime. In conclusion, what the director intends to tell is that the truth only appears partially, but not reveals itself completely. The truth reveals its body only half out of the well. When this is applied to incidents in the film, the truth of universal, social oppression reveals its body only half out of the event, and when applied to the film itself, the truth of the film reveals its body half out of the film. The director shows it is the truth of truth in <White Ribb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