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이코지만 괜찮아>, 사이코패스 캐릭터의 해체적 독해 (, Deconstructive reading of Psychopathic Character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2.09
31P 미리보기
&lt;사이코지만 괜찮아&gt;, 사이코패스 캐릭터의 해체적 독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론집 / 91권 / 239 ~ 269페이지
    · 저자명 : 김강원

    초록

    2000년대 들어 언론을 통해 접하는 범죄의 수위는 매우 높아졌으며 도저히 ‘정상’적인인간의 범주에서는 설명할 수 없는 폭력성과 잔혹성을 띄는 경우들이 늘어갔다. 그리고 이에 대한 불안은 문화예술의 범주에도 자연스럽게 반영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 영화는 새로운 장르물에 대한 시도로 캐릭터와 사건의 측면에서 사이코패스를 적극 활용하였는데, 영화로 전유되는 사이코패스에 대한 의미는 사회적, 병리적 측면과는 차이를 갖는다.
    한국 TV드라마 역시 이 무렵은 추리나 스릴러와 같은 장르물의 성장을 도모하던 시기였기 때문에, 사이코패스는 놓칠 수 없는 화소였다. 그러나 영화에 비해 TV드라마에서 사이코패스는 범죄/추리/스릴러 장르의 악역 클리셰로 축소되어 활용되어왔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담론의 의미는 휘발되고 오락영화의 선정적 시선만이 TV드라마에서 차용된다.
    <사이코지만 괜찮아>는 기존의 장르드라마들과 결을 달리하여 전형적 악역 캐릭터로서의 평면적 활용을 벗어나 보다 예술지향적인 영화들이 취하는 방식을 확보하고 있다는점에서 기존의 TV드라마들과 구분된다. 그리고 이러한 극적 재현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의미가 현재 한국사회가 갖는 문화적 징후를 예민하게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이작품은 더 큰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작품의 전반에서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는 매우 모호하게 제시된다. 비정상의 존재는 제목에서 지칭하듯 ‘사이코’로 호명되는데, 서사가 전개될수록 비정상의 존재들은 ‘이상한’, ‘낯선’ 존재로 순화된다. 극의 초반, 정상과 비정상의 구분에 대해 해체적인 화두를 던지며서사되는 작품은 결국은 선과 악의 담론으로 치환되었고, 치유를 통해 더 이상 문제적 행동을 하지 않게 됨으로써 ‘착한’ 정상인이 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에 그치고 있다. 궁극적 악인으로 설정된 문영의 엄마가 모성애를 갖춘 어머니상에 대한 전형에서 탈피한 사이코패스 안타고니스트라는 점은 이 작품이 노린 가장 큰 반전의 지점이다. 그러나 이러한의외성이 결국 괴물로서의 악역이라는 전형으로 회귀된다는 점에서 모성과 가족 담론에대한 긍정적 회의는 한계를 갖는다. 오히려 그 과정에서 어머니의 사랑을 받지 못한 아이들이란 결국 망가진 상태의 비정상 인간이 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강조하게 된다.
    한편 이 작품에서 잔혹동화는 동화작가인 문영이라는 캐릭터의 설정 요소를 넘어 서사적으로, 그리고 영상적 미장센으로 적극 활용되고 있는데, 메타포를 매력적인 방법으로 시각화하는 연출로서는 가치를 가지지만, 한층 내밀하게 서사의 측면에서 기능하는 부분은크지 않다는 점에서 아쉬움을 남긴다.

    영어초록

    In the 2000s, the level of crime that the media encountered increased substantially.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of unexplained violence and brutality have been included in the category of “normal” human behavior. Anxiety about this is also naturally reflected in the culture and art. Korean films actively use psychopathic characters and occurrences in an attempt to create new genres. The meaning of psychopathic exclusive to movies differs from its social and pathological aspects. At this time, Korean TV dramas also sought the growth of such genres as mysteries and thrillers, so psychopaths were an element of the story that could not be excluded. Compared to movies, there are depictions of psychopaths in TV dramas, being depicted primarily as villains in crime, mystery, and thriller genres. In the process, the meaning of various discourses have been volatilized, and only the sensational gaze of entertainment films has been borrowed from TV dramas.
    However, It’s Okay to Be Psycho is different from these genre dramas. Beyond its simply use as an incendiary villain character, it has secured a more art-oriented film position. Additionally, the various meanings of the process of dramatic reproduction are more meaningful in that they reveal particular aspects of contemporary Korean culture.
    Throughout this TV series, the line between the normal and abnormal is highly vague. The existence of abnormality is called psycho, as the title suggests. As the drama and story progress, abnormal beings are purified into “strange” beings.
    Mental illness is an abnormal condition, but it is like a disease. Mental illness is also because “it’s okay” can help with healing and recovery in the TV series.
    At the beginning of the TV series, it asks a deconstructive question about the distinction between normal and abnormal. However, the TV series is limited to showing the process of becoming a “good” normal person by eventually replacing.
    It’s Okay to Be Psycho with a discourse of good and evil and no longer engaging in problematic behavior through healing.
    The actual psychopath in It’s Okay To Be Psycho is not the author, Moon-young, but Moon-young’s mother. Moon-young, Kang-tae, and Sang-tae are brothers who suffered at the hands of these psychopaths when they were children.
    Moon-young's mother is not typical of a mother. She's a violent killer and a real psychopath in this drama. The image of a monster villain is stronger than the meaning beyond the typical maternal discourse. Therefore, positive skepticism about maternal and familial discourse is impossible. Rather, this emphasizes that children who have not been loved by their mothers are doomed to become abnormal human beings who are broken.
    Brutal fairy tales are actively used the elements of the story and the visual elements, This is very effective in that the protagonist is a brutal fairy tale writer.
    In It’s Okay To Be Psycho, fairy tales have value in the way they visualize metaphors. However, it is regrettable that the value as a discourse is not grea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론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