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그림을 만지다― 觸覺을 통한 조선시대 그림 감상 (Tactile appreciation of painting during Joseon period)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3.09
28P 미리보기
그림을 만지다― 觸覺을 통한 조선시대 그림 감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123호 / 43 ~ 70페이지
    · 저자명 : 고연희

    초록

    전근대기 동아시아 그림, 특히 조선시대 그림이 ‘觸覺’의 차원에서 중시된 매체였음을 논하고자, 이 연구는 서구에서 연구된 촉각의 가치 및 전근대기 동아시아 회화 형태가 요구한 촉각적 측면을 먼저 살피고, 조선시대 그림 감상의 기록에서 그림을 ‘만졌다’(撫’, ‘摩挲’, ‘摸’)고 한 감상의 기록을 조사하고 분류하였다. 그 결과, 그림을 만지는 이유는 관계의 매체로서의 감상과 예술작품으로서의 감상이라는 두 유형으로 대별되었다. 그림을 ‘사회적 관계의 매체’로 대하는 유형에서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감상자가 화가, 소장자, 혹은 그림 속 인물과 관계를 가지는 경우이다. 이러한 그림의 가치는 예술성에 앞서 관계적 의미로 결정되며, 감상자가 일으키는 비애감의 정도가 매우 깊다. 여기서의 관계란 가족, 벗과 같은 직접 경험의 관계, 사라진 명나라의 인물과 같이 역사 맥락적 관계이기도 하다. 그림의 주제를 학습 경험에 의거한 학문적, 문학적, 도덕적 내용으로 이해하는 것도, 유사한 학습 경험을 가진 지적 공동체에서의 학문적 공감대 속에서 소통의 감동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관계적 유형에 해당된다. 또 다른 유형은 ‘예술적 작품성’을 평가하며 만지는 것이다. 작품의 표현과 묘사에서 실감의 감동과 즐거움을 느끼는 감상, 매우 귀한 작품을 만지며 가졌던 소유의 대리적 즐거움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두 번째 유형에서는 뛰어난 화가의 우수한 작품을 대상으로 하며 기쁨을 느낀다는 공통점이 드러난다. 이상에서 살핀 바 두 가지 유형의 감상에 나타나는 비애감이나 기쁨은 그림을 만지는 행위로 배가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논의는, 전근대기 그림이 근대적 예술 인식에서 주장하는 ‘視覺’적 대상에 국한되지 않고 풍부한 감각의 차원에 있었음을, 특히 촉각의 차원이 중요하게 작동하였음을 알려준다.

    영어초록

    In order to discuss that East Asian painting of pre-modern period, especially of Joseon era, has been appreciated in tactile sense, this study showed valuable cultural properties of touch that has been studied in the West and the tactile forms of the pre-modern paintings in East Asia, and then investigated the cases of tactile appreciation through literary records in th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is survey, the reasons for appreciation of touching paintings wer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as communication media and as art works. When dealing with painting as a social communication medium, the viewer has a deep relationship with the artist, the collector or the person drawn in the painting. The value of the painting was determined in the meaning of the viewer’s social relationship. Or, when understanding the subject of painting as academic, literary, and moral contents based on learning, it is impressive to communicate with academic consensus in an intellectual community with similar learning experiences. The other type is to touch paintings as artworks. The viewers expressed delight at the excellent drawing skills of famous artists. In addition, the very precious works were touched with the vicarious pleasure of owning the work. In the two types above, the feeling evoked from appreciation were multiplied through touching the painting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appreciation method of premodern East Asian painting was not limited to the ‘visual’ sense under the modern perception, but was in the dimension of a richer sense, such as ‘tact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