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에서 몰트만의 수용과 이해 (A Study of Reception and Understanding of J. Moltmann in Ko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3.06
34P 미리보기
한국에서 몰트만의 수용과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35호 / 189 ~ 222페이지
    · 저자명 : 신옥수

    초록

    본 논문은 몰트만이 한국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이해되어왔는지를분석하고 평가하는 연구이다. 먼저 한국에서 이루어진 몰트만에 관한소개와 연구를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몰트만과 한국교회 및 신학과의교류와 대화의 내용과 방식을 분석한 후, 최근까지 몰트만 신학사상이한국 신학자들과 한국 신학 형성에 어떻게 수용되고 이해되어왔는지를살펴본다. 특히 본 연구는 몰트만 신학의 6가지 핵심적 특성과 공헌들-역사책임적인 신학으로서 정치신학과 평화신학, 이해할 수 있는삼위일체론과 삼위일체 신학의 실천성, 삶과 생명을 위한 메시아적 신학, 생태학적 우주적 신학, 종말론의 새로운 지평과 만유구원론, 하나님나라를 지향하는 공적신학-이 한국교회와 한국 신학에 어떻게 영향을미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고찰한다. 결론적으로 몰트만이 한국의 교회와 신학에 미친 영향을 평가하고 미래방향성을 전망한다.
    몰트만의 다양하고 독창적이며 통전적인 신학은 현대신학 논의에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을 뿐 아니라 한국교회와 신학에 지대한 영향을미치고 있으며, 21세기 세계신학 형성을 위해 유익한 통찰력과 방향을제시해준다. 한국교회는 그 어느 신학자보다도 몰트만을 가깝게 여기며그의 신학을 수용하고 이해하는 일에 적극적이었다. 몰트만 역시 한국교회를 사랑하며 한국 신학과 한국 신학자들에 대한 남다른 관심과 애정을 보여주었다. 몰트만은 오랫동안 한국인의 정치적 고난과 민중의고통을 이해하고 연대하였다. 또한 한국교회의 열정과 선교, 활기찬 영성에 감동하면서 이를 자신의 신학 안에 수용하기도 하였다. 몰트만의신학은 한국의 민중신학, 여성신학, 오순절신학, 통전적 신학 등에 큰영향을 끼쳤다. 몰트만과 한국교회와 한국신학은 지속적으로 깊은 교제와 연대를 통해 함께 성장해왔으며, 21세기 세계교회와 신학을 위해서도 함께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몰트만의 수용과 이해에 관한 역사적 고찰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신학적 분석과 평가를 비교적 종합적으로 다룬 연구로서의 가치를 지님으로써앞으로 전개될 몰트만 신학 연구의 초석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evaluate how J. Moltmann has been received and understood in Korea. The presentations and researches on Moltmann conducted in Korea are first considered historically,then, the exchanges, dialogue contents and methods between Moltmann and Korean churches and theology are analyzed. Lastly,how Moltmann’s theological thoughts have been received and understood until recently by the Korean theologians in the formation of Korean theology are examined. This research particularly looks at the six core characteristics and contributions of Moltmann’s theology in details-Political theology and Peace theology as historically responsible theologies, the doctrine of the Trinity that can be understood and the practicability of the Trinity, Messianic theology for life, ecological and cosmic theology, a new prospect of eschatology and the universal salvation, Public theology aiming toward the Kingdom of God-and especially how these characteristics have affected the Korean churches and theology. In conclusion, this article evaluates how Moltmann has influenced Korean churches and theology and puts future directions into perspectives.
    Moltmanns’ various, ingenious, holistic theology not only has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discussions of contemporary theology, but also had a profound effect on Korean churches and theology and presented valuable insights and directions for the formation of twenty-first century’s global theology. The Korean Church has had a regard for Moltmann than any other theologians and has been very enthusiastic in receiving and understanding his theology. Moltmann also loves the Korean Church and has shown special attention to and affection for the Korean theology and theologians. For a long time, Moltmann has understood and acknowledged the political sufferings and pains of Koreans. Moreover, he was moved by the passion, mission, and energetic spirituality of Korean churches, which he has accepted into his theology. Moltmann’s theology has made a great impact on the public theology, feminist theology, Pentecostal theology, and the Holistic theology of Korea.
    Moltmann and Korean churches and theology have been growing together through a long-continuing understanding and solidarity, and together,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ecumenism and theology of the 21st century. This study includes not only the historical considerations on the reception and understanding of Moltmann in Korea,but the comprehensive theological analysis and evaluation is valuable in research. They are expected to be a groundwork for the future study on Moltmann’s theology that will unfo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직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