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松沙 奇宇萬의 학문 활동과 蘆沙 性理說의 계승 (A Study on the Academic Activities and Nosa(蘆沙) Ki Jeong-Jin(奇正鎭)’s neo-Confucianism Succession of Songsa(松沙) Ki Woo-Man(奇宇萬))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1.09
36P 미리보기
松沙 奇宇萬의 학문 활동과 蘆沙 性理說의 계승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71호 / 257 ~ 292페이지
    · 저자명 : 박학래

    초록

    본고는 奇正鎭(1798-1879) 사후에 蘆沙學派의 嫡傳으로 평가받으며 세 차례에 걸쳐 진행된 『蘆沙集』 간행을 주도하는 등 노사학파의 결집과 확산을 주도한 松沙 奇宇萬(1846-1916)의 학문 활동과 蘆沙學 계승 면모가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그의 성리설을 분석 정리한 것이다.
    기존의 기우만에 관한 연구는 대체로 그의 의병 활동 내지는 문학 활동에 초점이 맞추어져 그의 생애 및 활동도 학문 활동보다는 의병 내지 문학 활동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하지만 기정진 사후인 19세기 말부터 기우만은 호남 유림을 대표하는 인물로 평가받는 등 학문적 영향력이 상당하였을 뿐만 아니라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강학을 통해 수많은 문인을 배출하며 노사학의 계승 및 확산에 주력한 인물이었다. 특히 영남과 호남을 넘나들며 펼친 그의 학문 활동은 理를 중심으로 한 노사학의 계승 면모가 뚜렷하게 드러나는 것이었다.
    본고에서는 기존에 상대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던 기우만의 학문 활동과 그의 성리설에 초점을 맞추어 그 구체적인 내용을 정리 분석하였다. 성리설과 관련한 별도의 저작을 남기지 않았고, 『노사집』 三刊 당시에 노사의 성리설을 둘러싸고 전개되었던 기호학계의 논쟁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자신의 성리학적 입장을 표명하지 않을 정도로 신중한 태도를 견지하였지만, 기우만은 문인과의 강론 과정에서 지속해서 자신의 성리학적 입장을 구체적으로 드러내었다. 특히 그는 리의 실현에 초점을 맞추어 실천 지향적인 심성론을 제시하여 도덕 실천 및 의리의 구현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그의 성리학적 입장은 새로운 이론적 모색이나 변론이 아니라 善의 실현을 위한 방향에 주안점이 두어졌으며, 이것은 당시 혼란한 세태를 극복하고 유학적 질서의 회복과 국난을 극복하기 위한 방향점으로 제시된 것이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다각적으로 전개된 그의 학문 활동과 성리설을 통해 그의 위상은 노사학파의 핵심이자 근현대 호남 유학의 상징적인 학자라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Songsa(松沙) Ki Woo-Man(奇宇萬) was evaluated as a representative literary figure of the Nosa school(蘆沙學派) after the death of Nosa(蘆沙) Ki Jeong-jin(奇正鎭), and led the publication of the Nosajip(蘆沙集) that was conducted three times. Through this process, he developed academic activities that led to the gathering and spread of Nosa school, and presented neo-Confucian theories that show the succession of Nosa Studies(蘆沙學). The existing studies on Ki Woo-Man were mainly focused on his righteous or literary activities, and his life was not relatively interested in academic activities. However, sinc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fter the death of Ki Jeong-jin, Ki Woo-Man was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of Honam Confucian Scholars and had a considerable academic influence. In addition, he was a person who focused on the succession and spread of Nosa Studies by producing numerous literary people through systematic and continuous lecture. In particular, he has been engaged in academic activities across Yeongnam and Honam areas, and the succession of Nosa studies centered on principles has been clearly revealed.
    This study summarizes and analyzes the specific contents of Ki Woo-Man's academic activities and his Confucian theories, which were not relatively significant in the past.
    He did not leave a separate work on neo-Confucianism in the Songsajip(松沙集), and he maintained a cautious attitude so that he did not express his position on Confucianism theory in detail even in the process of controversy in Kiho academia that was developed around the theory of Confucianism at the time of the third publication of Nosajip. However, he continued to express his views on Confucianism in the course of his lecture with his disciples. In particular, he emphasized the implementation of moral practice and righteousness by presenting a theory of practical mind-oriented mind-set focusing on the realization of principles. In this regard, his view on neo-Confucianism theory was not a new theoretical search or argument, and the focus was on the direction for realizing the Confucianism, which was presented as a direction to overcome the confused situation at the time and to overcome the restoration of the Confucian order and the national crisis. Through his various academic activities and neo-Confucianism, his status can be regarded as the core of the Nosa school and a symbolic scholar of modern and contemporary Honam Confuci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