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蒼崖 許萬璞의 삶과 한시에 담긴 내면의식 고찰 (Study on Chang-ae Heo Man-bak(蒼崖 許萬璞)’s Life and the Inner Consciousness in his Chinese Poem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7.12
29P 미리보기
蒼崖 許萬璞의 삶과 한시에 담긴 내면의식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56호 / 125 ~ 153페이지
    · 저자명 : 최은주

    초록

    蒼崖 許萬璞(1866~1917)은 진주 지역에서 활동한 한말의 유학자이다. 武科에 급제하여 잠시 武人으로 살았으나, 외세의 침략과 문란한 정치 현실에 비분강개하여 스스로 관복을 벗어던지고 고향인 진주 지수 승산마을로 낙향하였다. 그리고 세상을 마칠 때까지 은둔하다시피 하면서 經史를 탐구하고 스승을 찾아다니며 도학을 강론하였다. 본고는 그 동안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진주 지역의 한말 유학자 창애 허만박을 주목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허만박의 문집을 토대로 그의 삶을 보다 세밀하게 추적해보고 그 자취를 담고 있는 한시를 검토 분석하여 그의 내면의식을 따라가 보고자 했다. 52세의 나이로 비교적 짧은 생을 살다간 허만박은 선조들의 행적이 그러하듯 젊어서부터 은거 지향적 면모를 보이다가 무과 급제 후 관직에 진출해 서울 생활을 시작했다. 그러나 서울에서 보고 겪은 외세의 침략과 국가적 위기에 그는 절망하고 스스로 사직하였다. 그리고 고향으로 내려가 승산 마을의 염창강 가에 은둔하면서 도학의 근본 탐구에 골몰하며 절의를 실천하고자 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의 체결로 인해 스승 송병선을 잃은 허만박은 이후 송병순과 최익현, 전우를 차례로 스승으로 모시며 도학을 강론하고 자제와 후진 교육에 힘을 쏟았다. 이 시절 그는 상소문과 편지 또는 제문에서 혼란하고 무력한 정치 현실과 일본의 침략에 대해 비분강개하며 통탄과 憂國의 심정을 드러내기도 했지만 그와 동시에 거듭되는 집안의 불행으로 위축된 모습과 하루하루 견디는 심정을 표출하기도 했다. 삶의 이력으로 볼 때 그는 폭넓은 교유 관계를 형성하기는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허만박은 자신이 살았던 智水 勝山 마을의 山水를 대상으로 삼아 시를 많이 지었다. 더불어 인근 주변 지역의 승경이나 또는 자연 속의 구체적인 사물들에 대해서도 시적 감수성을 발휘해 시를 짓는 계기로 삼았다. 물론 한시에 묘사된 산수 자연은 허만박의 삶의 흐름과 그에 따른 정서가 스며들면서 시기에 따라 다른 느낌과 이미지를 전달하고 있다. 허만박은 자신의 삶 대부분을 아름다운 고향의 산수에서 은둔하며 조용하게 보냈지만, 당시 나라의 형세가 혼란하고 위급했던 만큼 그에 대한 심정과 감성도 시의 소재나 때에 따라 드러내기도 하였다. 1910년을 전후해 지은 시에서는 나라 잃은 분노와 비통함의 시적 정서가 점점 고조되고 있었으며, 더불어 체념과 자조적 한탄도 뒤섞여 표출되었다. 또 현실과 차단한 채 은거의 즐거움만으로 스스로를 위로하는 의식도 담아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Chang-ae Heo Manbak(蒼崖 許萬璞(1866~1917)) was a Confucian scholar of Jinju region in the late Joseon period. After he passed military state exam(武科), he acted as a military officer(武人) for a while, however he threw off the official uniform and retired to his hometown, Jinju Jisu Seungsan village, resenting foreign invasions and disorderly political situation. Also, lectured moral philosophy, exploring Gyeongsa(經史) and searching teachers through his whole life in seclusion. This research paid attention to Chang-ae Heo Manbak, a Confucian scholar of Jinju region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whom had not been researched in the meantime. This research intended to trace his life in detail based on his literary collections, and follow his inner consciousness by reviewing and analyzing his Chinese poems that include his life. Heo Manbak, who ended his life at the early age, 52, showed seclusion-oriented aspect since young, as the ancestors did, and started life in Seoul after passing military state exam and being appointed to an official post. However, he despaired with foreign invasions and national crisis that he experienced in Seoul, so he resigned. He returned to his hometown, secluding himself in the riverside of Yeomchang river of Seungsan village, and tried to practice fidelity, immersing himself in the fundamental study of moral philosophy. As he lost his teacher Song Byeongseon due to conclusion of Japan-Korea Treaty of 1905, later, he learned from Choi Ikhyeon and Jeonwoo as his teachers and lectured moral philosophy, training future scholars. During this period, he revealed lamentation and concern about the nation(憂國), resenting disorderly and inefficient politics and Japanese invasions in his appeals, letters, and funeral addresses, at the same time, he showed daunted image due to repeated misfortune of family and his heart of barely managing daily life. To see his life, it seemed hard for him to form a wide social intercourse.
    Heo Manbak wrote many poems targeting the landscape(山水) of Jisu Seungsan(智水 勝山) village where he lived. Also, he wrote poems of the beautiful scenery of neighboring area or concrete objects of the nature, exerting poetic sensitivity. Of course, the natural landscape in his Chinese poems delivered different feelings and image according to the phase of Heo Manbak’s life, as the stream of his life and emotion were expressed. Though he lived most of his life in seclusion in the beautiful landscape of his hometown, his feelings and sensitivity appeared along with the material of the poem or period, according to the confusing and critical situation of the nation. In his poems written around 1910, poetic emotion of anger and grief for losing the nation was heightened, also, resignation and self-mocking lamentation also appeared. Also, the researcher could confirm that there was a consciousness to console himself only with the pleasure of retirement secluding himself from the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