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루살렘과 데가볼리가 무슨 상관이 있는가?: ‘군대귀신 들린 자’ 사건(막 5:1-20)에 대한 선교학적 분석 (“What has Decapolis to Do with Jerusalem?”: A Missi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Miracle of the Swine, Mark 5:1-20)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5.07
23P 미리보기
예루살렘과 데가볼리가 무슨 상관이 있는가?: ‘군대귀신 들린 자’ 사건(막 5:1-20)에 대한 선교학적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교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선교신학 / 39호 / 69 ~ 91페이지
    · 저자명 : 김상근

    초록

    이 논문은 구약성서와 유대주의, 그리고 시오니즘(Zionism)에 나타나 있는 배타성이 기독교 선교의 공격성과 어떤 연관관계가 있는지를 선교 역사적으로 고찰한 연구이다. 기독교 신앙은 유대교에 뿌리를 두고 있는 종교이고, 그 유대교는 타민족에 대한 배타적 선민(選民) 사상을 뿌리에 두고 있기 때문에, 이 문제는 기독교 신앙의 정체성뿐만 아니라, 기독교 신앙을 믿지 않는 사람들, 즉 선교 현장의 타자(他者)를 대하는 우리들의 선교적 입장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문제이다. 더 협소하게 논의를 전개시켜 나간다면, 이것은 선교학과 구약신학 간의 대화를 통해서 해소되어야 할 신학적 쟁점이고, 이 논문 역시 이러한 목적으로 연례 구약학회에서 발표되었다.
    따라서 이 논문은 구약성서의 ‘전사로서의 하나님’에 대한 개념을 먼저 살펴보고, 그 결과 나타난 유대주의의 공격성과 배타성을 역사적으로 규명한다. 이런 전통에서 배출된 예수 그리스도의 ‘군대귀신 들린 자’ 사건(막 5:1-20)은 유대주의의 공격성과 배타성을 극복할수 있는 성서학적이며 선교학적인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거라사(제라시)에서 군대 귀신들린 자를 축사하신 그리스도는 그를 유대의 땅으로 초청한 것이 아니라 고향 데가볼리로 돌려 보내셨다. 이것을 필자는 유대주의의 배타성과 공격성에서 벗어나 그리스-로마 문명과 공존할 수 있는 선교적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라 보았다. 이런 개방성으로서의 초대야말로 다원화되고 글로벌화 된 세상을 향한 선교적 복음의 미래라고 해석하였다.

    영어초록

    Judaic tradition has shown its exclusive attitude against other religious traditions and ethnic others. Their violent attitudes toward others were demonstrated through many religious and ethnic conflicts not only in the Old Testaments but also in the political history of modern Israel. Our dilemma is simple: how can we recognize the God of the Jewish people as our God since the Jews’ God seems too much ethnic and sometimes violent?(Joshua 10:4) The present paper, which has been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Old Testament scholars for the promotion of theological dialogue between Mission studies and Biblical studies, tries to set an alternative solution for this dilemma by going back to the first missionary event which is reported in the Gospel of Mark, 5:1-20.
    The place where Jesus expels the unclean spirit of the Legion out to the swine is Gerash. Gerash belongs to Decapolis where Alexander the Great’s Greek culture has been dominant. When Jesus met the person, Gerash was a thriving city of the Greek-Roman culture. His meeting with the person was inter-cultural and missionary. When the person was cured, he begged to go with Jesus to the land of the Judaic tradition, i.e., Jerusalem and the region of Judaea. However, Jesus ordered him to go back to his country, i.e., Gerash among the Ten Cities (Decapolis) where the Greek-Roman culture was dominant and thriving. The present paper tried to interpret this Bible passage with a missiological perspective. Jesus shows the new way of mission: Leave Jerusalem and proclaim in the Decapolis!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Jerusalem and Decapolis in the new way of Jesus’ mi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교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