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3막 구조를 활용한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자아실현 서사 분석 -디즈니 애니메이션 <주먹왕 랄프>(2012)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Animated Character’s Self-Actualization Narrative Using The 3-Act Story Structure -Focusing on Disney Animated Feature Film (2012)-)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2.09
25P 미리보기
3막 구조를 활용한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자아실현 서사 분석 -디즈니 애니메이션 &lt;주먹왕 랄프&gt;(2012)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68호 / 37 ~ 61페이지
    · 저자명 : 김예은, 김숭현

    초록

    자아실현은 인간 삶의 궁극적 목적으로 직무 만족, 사회적 삶의 질, 건강 등 행복과 연결되어 인간은 그것을 쟁취하기 위해 끊임없이 나아간다. 그 구성요소로는 스스로 부여하는 자기상의 개인 영역과 타인이 부여하는 자기상의 외부 영역으로 나뉘며, 세부적으로는 자기효능, 존중감, 성취, 수용성, 자발성 등이 있다. 현대 사회는 생존과 관련된 단순한 욕구보다 고차원적인 욕구의 충족이라 할 수 있는 자아실현에 대한 욕구가 나이와 상관없이 형성될 만큼 발전을 이루었으나, 코로나19의 장기화, 과중한 학습 부담과 보호자의 지나친 개입, 심리적·사회적 미성숙, 갱년기와 고령사회에 대한 이해 부족 등으로 자아실현 욕구를 자극받지 못하거나 충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에 따라, 본 논문은 자아실현을 이루어가는 애니메이션 <주먹왕 랄프>에 등장하는 두 주인공의 서사를 3막 구조를 활용해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현실과 경험이 재구성되는 애니메이션의 특성상 감독의 의도와 메시지를 관객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관객이 캐릭터에게 감정이입을 할수록 캐릭터가 성취하는 결과와 교훈을 간접 경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1막에서 랄프는 외부환경이 준 악당이라는 역할에 불만족을 느꼈으며 자신의 고유 능력을 부정하여 자존감이 낮은 상태였다. 대접받길 원하는 내부 자아와 자신을 홀대하고 악당 취급하는 외부환경의 충돌은 랄프가 타인의 인정을 우선시하도록 만들었다. 이에 따라 2막에서 자아실현을 위한 행동을 이어갔으나, 내면적 핵심을 수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진정한 자아실현이라고 보기 어려웠다. 그러나 랄프는 자신의 ‘부수는 능력’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자존감을 북돋아 준 바넬로피와의 관계 덕분에 자신감을 되찾고 타인의 평가에 대한 집착을 버렸으며 결과적으로 3막에서 근본적 자아실현을 이루게 된다. 바넬로피는 랄프와 달리 내부 자아에 대한 확립이 1막에서부터 있었으나 치명적인 오류로 인해 능력을 펼칠 레이싱이 제한되어 있었다. 레이서로서의 자아를 표출하는 자동차는 여러 번 부서지게 되었으나 랄프의 도움으로 다시 고치고 레이싱에서 우승하게 되면서 타인과의 깊은 관계 형성을 이루게 된다. 이렇듯 <주먹왕 랄프>의 서사는 다양한 연령층의 관객에게 재미뿐 아니라 깊이 있는 자아 성찰의 영역까지 제시하면서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역할을 넓히고 현대인의 자아실현 욕구를 자극하는 가능성을 보여 준다.

    영어초록

    Self-actualization is connected to happiness, the ultimate purpose of human life, such as job satisfaction, social quality of life, and health. Human beings constantly move forward to achieve self-actualization. In detail, there are self-efficacy, self-esteem, achievement, acceptability, and spontaneity. The components are divided into the personal area of self-image given by oneself and the external area of self-image given by others. Modern society has developed enough to form a desire for self-actualization, higher level of needs than a simple desire for survival, regardless of age. However, there are problems that the desire for self-actualization is not stimulated or satisfied due to prolonged COVID-19, excessive learning burden, parental intervention, psychological & social immaturity, lack of understanding of menopause, and aging society are occurring.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and analyzes the narratives of the two main characters in the animation <Wreck-It Ralph> that achieve self-actualization by using the 3-act story structure. Since animation reconstructs reality and experience, it allows to convey the purpose and message of the director effectively to the audience. The more deeply the audience sympathizes with the character, the more indirect experience can be obtained such as results and lessons from the character.
    In Act 1, Ralph was dissatisfied with the role of a villain given by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his self-esteem was getting low while denying his unique ability. The conflict between the inner self who wanted to be treated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that treated him as a villain made Ralph obsess with external recognition. Accordingly, Act 2 continued Ralph actions for self-actualization, but it was difficult to see these actions as a true self-actualization because he did not accept the inner core. However, thanks to Ralph’s relationship with Vanellope, who positively viewed his “crushing ability” and boosted his self-esteem, he regained confidence and abandoned his obsession with other people’s evaluations, resulting in fundamental self-realization in Act 3. Unlike Ralph, Vanellope had an establishment of the inner self from Act 1, but due to a fatal error, racing to be recognized her ego was limited. The car representing Vanellope’s ego as a racer broke several times, but Ralph helped to fix it and she was able to win the race. It leads Vanellope to build a true relationship with others. As such, the narrative of <Wreck-It Ralph> presents not only fun but also an area of deep self-reflection to audiences of various ages. It show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role of animation characters and stimulating the desire for self-realization of modern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만화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