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둔황 막고굴 제220굴〈서방정토변>의 해석에 대한 재검토 (On the Problems of the Scriptural Sources of the Western Paradise bianxiang in Dunhuang Mogao Cave 220)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0.10
26P 미리보기
둔황 막고굴 제220굴〈서방정토변>의 해석에 대한 재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와 시각문화 / 9호 / 28 ~ 53페이지
    · 저자명 : 김혜원

    초록

    근래의 돈황 변상(變相)에 대한 연구에서 각광을 받아온 경전 외적인 요소에 대한 관심에서 눈을 돌려 그림과 경전의 복잡한 관계에 새롭게 주목한 글이다. 연구 대상은 7세기 중엽에 제작된 둔황 막고굴(莫高窟) 제220굴의 <서방정토변(西方淨土變)>과 이에 대한 기존 연구이다. 우선 특정 경전과의 연관성을 부각시킨 기존의 ‘아미타경변(阿彌陀經變)’, ‘무량수경변(無量壽經變)’, ‘관경변(觀經變)’과 같은 용어가 지닌 문제점을 서방정토 신앙을 설하는 경전과 당대(唐代, 618-907)의 관련 기록과의 연관 속에서 논한다. 또한 일본 학계에서 특히 주목한 서방정토의 표현에서의『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의 역할을 검토하고, 이러한 경향이 후대 일본에서 창안된 중국 ‘정토종(淨土宗)’에 대한 인식과 당마만다라(當麻曼茶羅)의 대두의 영향 속에서 시대착오적으로 적용되었을 가능성에 대해 논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ist sutras and the bianxiang (transformation tableaux) in Dunhuang Mogao Caves by means of examining previous scholarship on the Western Paradise bianxiang in Mogao Cave 220 dated as 642. While a great emphasis has been put on various non-textual factors such as social, political, ritual aspects in recent scholarship to extend our understanding of the logic behind the Dunhuang bianxiang, this paper purposes to draw a new attention on some overlooked problems in discursive practices regarding the textual sources of bianxiang.
    The first part of the paper examines different textual references given in previous discussions to explain the Western Paradise bianxiang in Cave 220, and also its various designations such as Amituofojingbian (bian of the Shorter Sukhavativyuha Sutra), Wulianshoujingbian (bian of the Longer Sukhavativyuha Sutra), and Guan Wulianshoujingbian (bian of the Contemplation Sutra), each of which singles out a certain sutra among the so-called Pure Land Sutras as the major source of the painting. These term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perception of such paintings during the Tang found in Lidai minghua ji (Records of Famous Paintings in Successive Dynasties), Sita ji (Records of Temples and Pagodas), and Quan Tang wen (Complete Collection of the Tang Prose). The contemporary writings show that this type of paintings was regarded largely as paintings of Amitabha’s Western Paradise and that no particular association was made between the painting and a certain sutra. In this sense, it seems reasonable to say that it is misleading to regard a single sutra as the main textual source.
    The second part deals with the particular emphasis on the role of the Guan Wuliangshou jing (Contemplation Sutra) in creation of the Western Paradise bianxiang. This is found mostly in the writings of Japanese scholars since Matsumoto Eiichi’s influential study of Dunhuang paintings in the 1930s. Considering that there remains no evidence for the recognition of the Western Paradise in relation with Guan Wuliangshoujing during the Tang, and that Taima Mandala was often referred to as a pictorial template in analysis of the contents and compositions of the Tang examples,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 term such as Guang Wuliangshoujingbian is subject to an anachronistic view derived from the new recognition of Taima Mandala after the establishment of Pure Land Buddhism in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와 시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