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安史의 亂 以後 內地藩鎭 設置와 幕職官 構成과 役割의 擴大 (The Establishment of Inner Provincial Governor and Extension of the Secretary’s Organization and the Role after The An-shih Rebellion)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6.08
37P 미리보기
安史의 亂 以後 內地藩鎭 設置와 幕職官 構成과 役割의 擴大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사연구 / 103호 / 41 ~ 77페이지
    · 저자명 : 이영철

    초록

    唐 玄宗 天寶14載(755) 11월 安綠山의 거병으로 시작된 安史의 亂이 唐代 社會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玄宗 開元 初期를 전후하여 변경지역에 설치되었던 藩鎭의 설치지역이 安史의 반란 기간 동안 內地까지 확대되어 소위 ‘藩鎭體制’가 출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던 것은 반란으로 나타난 다양한 변화 중의 하나이다. 天寶14載(755) 安史의 亂을 피해 四川으로 피난길에 올랐던 玄宗은 이듬 해 7월 普安郡에 도착하여 반란에 대응하기 위한 制書를 내렸다. 이를 통해 새로운 번진이 설치되었고, 절도사들에게는 필요한 官屬을 자율적으로 辟召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었다. 이는 반란에 대응하기 위해 내려진 불가피한 조치이긴 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자신의 의사와 상관없이 황제에 오른 肅宗을 견제하기 위한 조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 때 내려진 조치가 반란에 얼마나 효과적으로 대응하였는지는 명확치 않으나, 이후 唐朝의 역사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普安郡에서 制書가 내려진 肅宗 至德元年 7月을 전후하여 적어도 16개의 새로운 번진이 內地에 설치되었고, 이후 安史의 亂이 끝나는 肅宗 廣德元年(763)까지 8년 동안 35개 번진이 설치되었다. 이처럼 많은 번진이 설치되고, 번진에 자율적으로 벽소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 것은 이후 왕조에게 큰 부담이 되었다. 번진에서 이루어지는 인사에 중앙이 개입할 수 없는 구조는 번진을 통제하기 어렵게 했고, 번진에서 지방관 및 막직관을 임의로 벽소하게 되자 지방 행정에도 관여하는 것이 쉽지 않게 되었다.
    때문에 肅宗 至德2年(757)부터 번진에 부여한 벽소권을 중앙으로 회수하기 위한 시도가 시행되어 代宗과 德宗朝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代宗시기에 이르면 번진의 속료인 막직관의 벽소까지 제한하려는 시도로 이어졌다. 代宗 大曆12年(777) 4월 中書門下에서 업무가 중복되는 막직관을 폐지하자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이는 5월에 봉록을 지급하는 막직관의 수를 줄이는 것으로 이어졌다. 이어 德宗 시기에 이르면 조정의 관료만이 참여하던 冬薦에 막직관도 참여할 수 있게 하여 막직관을 官僚化하려는 시도로 이어졌다.
    이처럼 唐朝가 번진에서 이루어지고 있던 벽소를 제한하려했던 것은 安史의 亂을 거치면서 번진의 막부구조가 확대되고 막직관의 역할과 職權이 강화되었기 때문이다. 반란 기간 동안에 內地에도 번진이 설치되면서 번진은 변경방위를 위해 설치되었던 군사기구로서의 성격에서 탈피하여 民政과 財政을 아우르는 행정기관으로 변모하였다. 이로 인해 번진이 처리해야할 行政量이 많아지면서 번진의 막직관 구조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복잡해졌다. 그렇지만 중앙에서는 막직관 구조를 축소하고 제한하려는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중앙의 간섭이 나타나자 번진에서는 임시직적 성격을 지닌 攝職을 운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또한 번진에서 막직관 구조의 확대는 막직관의 역할과 직권을 강화시켰다. 安史의 亂 이후 지방 행정에 번진의 영향력이 강화되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는 왕조가 번진 권력을 제어할 만큼 강력한 권력을 행사하지 못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安史의 亂으로 인사체제가 무너져 지방관 인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지역도 많았다. 또한 지방관 인사가 이루어졌던 지역에서도 번진의 견제로 인해 임무 수행이 제대로 이루어지질 못하는 지역도 많았다. 이와 같은 지역의 행정은 번진의 막직관에 의해 수행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지방 행정을 포기하고 방기할 수 없는 중앙에서는 지방 행정을 실질적으로 담당하고 있던 막직관을 이용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德宗 貞元9年(793) 막직관을 포함한 새로운 동천의 시행으로 일정부분 가능해지게 되었다고 하겠다. 즉, 唐朝가 막직관을 관료와 동일한 방식으로 관리하고, 궁극적으로는 막직관을 관료화함으로써 막직관을 통하여 지방 행정에 관여하는 것이 가능해졌던 것이다. 이처럼 중앙에서 번진의 막직관을 이용하여 번진 행정과 지방 행정에 관여하고자 하였던 것은 唐朝의 藩鎭政策의 일환으로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t is a well known fact that , in the Tian-bao(天寶) 14th year of Emperor Xuan-zong(玄宗), Anlushan(安綠山) raised an army in November, and it caused the An-Shi Rebellion(安史의 亂), which led to a lot of changes in the society of Tang(唐). Around Emperor Xuan-zong's early Kai-yuan(開元), the location of Fanzhens(藩鎭) which were established around Emperor Xuan-zong's early Kai-yuan within borderland expanded to inland and provided the foundation of the so-called the System of Fanzhen(藩鎭體制) which is one of the various changes after the An-Shi Rebellion.
    The fact that Fanzhen, which was originally for the defense of the boundary, expanded to inland seems to have been deeply associated with the urgent political condition from November in the Tian-bao 14th year to July next year. Emperor Xuan-zong who took refuge to Sichuan(四川) announced a countermeasure against the rebellion on July 15 in Zhideyuannian(至德元年) of Emperor Suzong(肅宗). That announcement was a result of the particular and inevitable situation following the An-Shi Rebellion, but it became the concrete basis where expanded Fanzhen exercised a huge power by the expansion to inland and granting the right to select local government officials.
    After the An-Shi Rebellion, the central government had tried to withdraw the right to select the officials and the Secretary(幕職官). Nonetheless, Fanzhen could continually select new officials and the Secretary. Through the An-Shi Rebellion, the expaned Fanzhen played various administrative roles as well as military ones. Thus that made the administrative structure of Fanzhen more complex and increased the number of administrative officials and varied the kinds of the Secretary of Fanzhen.
    As a result, it is a understandable fact that while the leverage of the central government on local administration was weakened, the roles of Fanzhen was much strengthened. Particularly, since the Secretary of Fanzhen did the administrative tasks of their own Fanzhen, and also played the role of local officials, they were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by both the central government and Fanzhen itself. In other words, in order for Tang government to be involved in local administration, it needed their cooperation, and within Fanzhen, Fanzhen and local administration by them was treated significantly so that Fanzhen could strengthen their authority. Thus Tang government tried to take part in local government by using them and continually tried to bureaucratize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