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돈황 막고굴 제285굴의 마혜수라천 연구 (Study on Mahyesuracheon in Cave #285 of the Magao Cav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4.06
28P 미리보기
돈황 막고굴 제285굴의 마혜수라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42호 / 93 ~ 120페이지
    · 저자명 : 김성훈

    초록

    돈황석굴 285굴은 서위 538, 539년에 개착된 석굴로 서벽에 초기밀교관련 벽화가 존재하여 흥미를 끌고 있다. 서벽은 본존을 중심으로 각종 힌두교신중이 배치되었는데 상단의 일월신과 마혜수라천, 나라연천, 구마라천, 비나가야천 등에 이르고 있다. 이중 마혜수라천은 힌두교의 삼대신인 시바를 이르며 5세기 후반 운강석굴에 처음 등장하였고 호탄지역의 6-7세기의 사원지에서도 출토되어 당대에 상당히 인기 있는 신중으로 존숭되었음이 짐작된다.
    마혜수라천은 불교뿐만 아니라 조로아스터교에서도 풍신Veshparkar로 숭배되었는데, 이와 같은 힌두교 신중이 타종교에 전입되는 현상은 2-3세기의 쿠샨왕조시기의 종교행태와도 관련이 있으며, 마혜수라천의 전개부분에 중앙아시아의 상권을 장악한 소그드인이 주목되고 있다.
    돈황석굴 285굴의 마혜수라천 도상의 연원은 카니시카시대의 동전에 기록된 ‘Oesho’며 ‘Oesho’는 시바의 도상을 차용하였고, 불교에서는 마혜수라천으로, 조로아스터교에서는 풍신Veshparkar로 숭배되었다고 볼 수 있다. 285굴의 마혜수라천의 머리에 그려진 풍대를 메고 있는 풍신 ‘Oado’는 이와 같은 힌두교의 시바와 불교의 마혜수라천, 그리고 조로아스터교의 풍신의 관계를 규명할 수 있는 사례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Cave #285 of the Magao Caves, which is a grotto cut in Year 538 and 539 of the Western Wei Dynasty, is drawing people’s attention as it has a mural on its west wall that is related to early esoteric Buddhism. On the west wall were deployed various Hindi guardian deities centering on the main image including the sun and moon gods on the top, Mahyesuracheon, Narayeoncheon, Kumaracheon, and Binagayacheon. Among them, Mahyesuracheon is Shiva, one of the three greatest deities in Hinduism and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the Yungang Grottoes in the 2nd half of the 5th century. As it was excavated from 6th‐7th‐century temple sites in the Hotan area, it is believed to have been a very popular guardian deity revered by contemporary people.
    Mahyesuracheon was worshipped not only in Buddhism but also in Zoroastrianism as god of wind Veshparkar. Such a transmission of a Hindi deity to other religions is related to religious practices during the period of the Kushan Dynasty in the 2nd‐3rd centuries, and the spread of Mahyesuracheon involved the Sogdian people who held commercial power in Central Asia.
    The origin of the icon of Mahyesuracheon in Cave #285 of the Magao Caves is ‘Oesho’ inscribed in coins during the reign of King Kanishka, and ‘Oesho’ borrowed the icon of Shiva, which was worshipped as Mahyesuracheon in Buddhism and as god of wind Veshparkar in Zoroastrianism. God of wind ‘Oado’ with a wind belt on the head of Mahyesuracheon in Cave #285 is believed to be one of cases explaining the relationship among Hindi Shiva, Buddhist Mahyesuracheon, and Zoroastrian god of wi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