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연결사회 안의 팬데믹 트라우마 : 통전적 영성을 추구하는 원예 활동을 통한 치유 (Pandemic Trauma in a Hyper-connected Society: Horticultural Therapy in Pursuit of Holistic Spiritualit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4.10
34P 미리보기
초연결사회 안의 팬데믹 트라우마 : 통전적 영성을 추구하는 원예 활동을 통한 치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134호 / 369 ~ 402페이지
    · 저자명 : 한혜현

    초록

    이 연구는 팬데믹의 트라우마로 인해 3가지 차원의 소외 현상-자기 소외 현상, 사회적 단절, 신과의 단절-을 경험하는 한국인들이 초연결사회 안에서 추구해야 할 통전적 영성 훈련으로서의 원예 활동을 제안한다. 인간의 편리함 을 위해 탄생했고, 팬데믹의 시대로 인해 가속화된 초연결사회는 인간과 인간, 인간과 사물, 그리고 사물과 사물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태를 의미하는 개념 이다. 한 인간이 가진 존재의 물리적 한계와 집중력의 한계로 인해 어떤 대상과 의 연결은 필연적으로 다른 대상과의 단절을 불러오게 된다. 초연결사회의 온라인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순간, 우리는 오프라인 세계와의 단절을 경험하 게 되고, 우리가 머물러 있는 물리적인 공간과 그 안에 존재하는 타인과는 분리 되게 된다. 더 나아가, 온라인의 세계에 몰입하는 순간 연결의 주체인 자기 자신을 망각하게 되면서 자신과 분리되고, 단절되는 현상을 경험하게 된다.
    원예 활동을 통해 실현되는 통전적 영성은 초연결사회와 팬데믹 트라우마 로 인해 야기된 문제점들에 대한 다양한 차원의 해결책을 제공한다. 윌키 오 (Wilkie Au)에 따르면 통전적 영성은 인간의 존재 안에서 이원론적인 이해를 극복한 통합된 영성의 개념을 포함하는 동시에, 한 사람의 삶 속에서 하나님과 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웃, 창조 세계와의 연결이 회복된 상태를 의미한다. 빠른 변화의 흐름에 휩쓸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초연결의 세계에 점령되기보다, 창조 세계와의 소통을 통한 통전적인 영성을 추구하며 발전된 기술을 필요한 곳에 적절하게 사용하고,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는 주체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proposes horticultural therapy as a practice of holistic spirituality for Koreans who live in a hyper-connected society and are experiencing three dimensions of alienation due to the trauma of the Covid 19 pandemic: self-alienation, social isolation, and resentment toward God. A hyper-connected society is one in which humans and other humans, humans and objects, and objects and other objects are connected through a online network. However, due to our physical limitations, connection with some beings and objects inevitably leads to isolation from others. We experience isolation in the offline world, and also become separated from the physical space in which we live and from those who exist in the same space. Furthermore, we forget ourselves, even if we are the subjects of the connection.
    Horticultural therapy in Pursuit of holistic spirituality offers a sol- ution for the problems of a hyper-connected society and the con- sequences of pandemic trauma. According to Wilkie Au, holistic spiri- tuality is a form of integrated spirituality that overcomes a dualistic un- derstanding of human existence. Such a spirituality implie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with neighbors and the created world is restored because both connections are centered on a relationship with God. Instead of being preoccupied with isolation and separation in this hyper-connected world, we need to recover our subjectivity in the spirit of holistic spirituality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기독교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