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큐멘터리 영화의 가해자 트라우마 서사화 -<바시르와 왈츠를>, <아르마딜로>, <액트 오브 킬링> (Perpetrator as a Witness in Waltz with Bashir, Armadillo, and The Act of Killing)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7.05
40P 미리보기
다큐멘터리 영화의 가해자 트라우마 서사화 -&lt;바시르와 왈츠를&gt;, &lt;아르마딜로&gt;, &lt;액트 오브 킬링&g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현대영화연구 / 13권 / 2호 / 281 ~ 320페이지
    · 저자명 : 조혜영

    초록

    전쟁이나 집단학살과 같은 역사적 트라우마를 다룬 2000년대 이후 다큐멘터리 영화에서 ‘가해자 중심 서사’의 부상은 전 세계적으로 주목할 만한 현상이 되고 있다. 이 글은 최근 가해자를 사건의 주요한 서술자이자 목격자로 내세울 뿐만 아니라 가해자의 트라우마를 시청각적으로 충실히 재현해 논쟁을 일으킨 <바시르와 왈츠를>, <아르마딜로>, <액트 오브 킬링>를 중심으로 최근 전쟁 다큐멘터리의 새로운 경향을 살펴볼 것이다. 흥미롭게도 이 영화들은 소재와 서사적인 측면에서 윤리적인 논쟁을 야기하는 가해자를 주요한 목격자로 내세우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가해자의 주관적인 내면과 시점을 묘사하기 위해 가장 잘 알려져 있는 전통적인 다큐멘터리의 규범을 넘어 허구와 비허구의 경계를 흐리면서 감독의 적극적인 개입을 주저하지 않고 주관적이고 표현적인 재구성에 많은 부분을 투여하는 공통점을 갖는다. 각 영화들은 애니메이션, 일인칭 슈팅(FPS) 비디오 게임의 시점, 공포, 뮤지컬, 느와르, 갱스터 같은 허구적 장르를 차용한다. 본고는 위의 세 영화를 통해 가해자 중심 서사화를 둘러싼 쟁점들, 즉 가해자와 피해자의 이분법적 경계가 흐려지는 양상, 다양한 양식과 장르를 활용한 고통과 트라우마를 스펙터클하게 시각화하는 다큐멘터리 재현, 대학살과 전쟁을 다루는 다큐멘터리 영화의 윤리적 태도, 정보의 급증으로 인한 서사의 무한경쟁 등을 탐구한다.

    영어초록

    This essay proposes a new regime of representational aesthetic in the recent documentaries which tell the traumatic events such as war or massacre: the perpetrator as a primary witness of the tragic events. Narrations driven by a perpetrator as a primary witness allow the viewers to look into the perpetrators’ internal or psychic aspects such as a sense of guilty, emotion and memory, trauma, or perception. As a matter of fact such representation had seemed to be a kind of taboo or the unrepresentable in the Holocaust representation of documentary because it might bring about some moral controversies by leading audiences to be identified with perpetrators or uncritically accept his or her perspectives and excuses. However, this essay suggests that this current shift from victims to perpetrators as a primary witness is emerging under a new condition of identity politics, visual culture and narrativization. In other words, overlapped and complex identities, more complicated and networked social structure, a disappearance of meta-narratives, the loss of the indexical bond in the digital age and so on have an effect on the emergence of a new war-documentary film driven by a perpetrator as a primary witness. Such tendency can be especially found in three internationally successful documentaries: Waltz with Bashir (Ari Folman, 2008), animated documentary about Israeli veteran’s lost memory of Sabra and Shatila Massacre, Armadillo (Janus Metz Pedersen, 2010) about Danish soldiers in the war in Afghanistan, and The Act of Killing (Janus Metz Pedersen, Christine Cynn, 2012) about the gangsters Anwar Congo and Adi Zulkadry who were promoted from selling black market movie theatre tickets to leading the most notorious death squad in North Sumatra, as part of the Indonesian killings of 1965–66. These documentaries commonly break the distinction between a victim and a perpetrator, between fiction and non-fiction,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time, between here and there, between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between the personal and the collective, between the fantasmatic and the real and so on. In doing so, they ask some political and aesthetic questions in today’s condition: what is (un)representable, what a condition of narrativization in a catastrophe representation such as war or massacre is, and whether the trauma of the perpetrator indeed exis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