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트라우마와 치유의 관점에서 본 크리스타 볼프의 『메데이아. 목소리들』 (Christa Wolfs Medea. Stimmen aus der Perspektive von Trauma und Heilung)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8.03
29P 미리보기
트라우마와 치유의 관점에서 본 크리스타 볼프의 『메데이아. 목소리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어독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어독문학 / 59권 / 1호 / 73 ~ 101페이지
    · 저자명 : 조성희

    초록

    크리스타 볼프의 『메데이아. 목소리들』(1996)은 에우리피데스 이래 메데이아에게 덮어 씌워진 희대의 악녀라는 오명을 씻어내고 그녀를 가부장적 질서가 지배하는 남성 중심 사회의 희생양으로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이 작품에는 메데이아 이외에도 지배세력의 권력 유지를 위해 폭력에 희생당하고 고통받는 인물이 여럿 등장하는데 이들의 관점에서 보면 볼프의 『메데이아』는 트라우마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작가는 메데이아 신화를 재해석하면서 에우리피데스의 비극에서 단지 부수적 인물로 언급될 뿐인 글라우케를 근원적인 정신적 상처를 지닌 인물로, 그리고 메데이아는 자신의 열정과 복수를 위해 남의 목숨을 빼앗는 파괴자가 아니라 아픈 사람을 돌보고 타인의 생명을 구하는 치유사로 재창조한다. 본고에서는 가부장적 권력의 희생양으로서 정신적 상처를 지닌 두 여성 인물, 즉 글라우케와 메데이아를 중심으로 크리스타 볼프의 『메데이아. 목소리들』을 다시 읽는다. 우선 글라우케가 보이는 트라우마의 전형적인 증상들을 살펴본 다음, 메데이아가 글라우케의 정신적 상처를 치유해나가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며 마지막으로 글라우케의 독백이 지닌 모순적이고 양가적인 성격과 함께 그녀가 상당한 수준으로 치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파멸에 이르게 되는 과정과 그렇게 될 수밖에 없는 이유를 논한다.

    영어초록

    Christa Wolfs Roman Medea. Stimmen(1996) befreit die Protagonistin vom Stigma der beispiellos bösen Frau, das ihr seit Euripides zugeschrieben wurde, und beschreibt sie als Sündenbock der androzentrischen Gesellschaft, in der die patriarchalische Ordnung herrscht. In diesem Werk erscheinen neben Medea viele Figuren, die für die Machterhaltung der Herrscher der Gewalt geopfert und gequält werden. Aus der Perspektive dieser Figuren ist Wolfs Medea auch eine Geschichte von Traumata. Bei der Neudeutung des Medea-Stoffs inszeniert die Autorin Glauke, die in der Tragödie von Euripides nur als Nebenfigur erwähnt wird, als eine schwer traumatisierte Figur, und Medea nicht als Zerstörerin, die für ihre Leidenschaft und Rache Anderen das Leben raubt, sondern als Heilerin, die Kranke pflegt und Leben rettet. Im vorliegenden Beitrag wird eine neue Lektüre von Christa Wolfs Medea. Stimmen vorgelegt, in der die beiden traumatisierten Frauenfiguren Glauke und Medea als Sündenböcke der patriarchalischen Macht im Mittelpunkt stehen. Zunächst werden die typischen Symptome des Traumas, die Glauke zeigt, beschrieben. Dann wird der Prozess, in dem Medea die psychischen Wunden Glaukes heilt, präzise analysiert. Schließlich wird auf den paradoxen und ambivalenten Charakter des Monologs von Glauke und darauf näher eingegangen, wie und warum sie zu Grunde geht, obwohl sie fast geheilt w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어독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