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춘자의 남경』조선족 위안부의 트라우마 서사와 윤리적 성찰 (Trauma Narratives and Ethical Reflections of Korean Chinese Comfort Women in Chunja's Nanjing)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3.12
22P 미리보기
『춘자의 남경』조선족 위안부의 트라우마 서사와 윤리적 성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93호 / 227 ~ 248페이지
    · 저자명 : XIAO DU

    초록

    중국 현대 조선족 작가 김혁의 대표작인 『춘자의 남경』은 일본의 중국 침략 전쟁 당시 조선족 위안부가 겪은 고난을 그린 작품으로, 조선족의 전쟁 트라우마와 민족적 아픔을 여실히 드러내고 전쟁 기억에 대한 작가의 윤리적 성찰을 보여주었다. 김혁은 조국 해방을 향한 열망, 기근과 학살로 인한 생명의 위협, ‘과경민족(跨境民族)’의 언어 상실에 대한 우려 등 각도로 조선족 특유의 전쟁 트라우마를 보여주었다. 전시 성폭력의 현장인 여성의 신체는 전쟁의 트라우마와 기억을 연결시켜 필연적으로 전쟁 기억을 전달하는 매개체가 된다. 몸이 느끼는 동질성은 한·중·일 3개국 여성들이 전시와 전후에 비슷한 경험을 공유할 수 있게 하고 시간과 공간, 민족의 경계를 넘어 서로 다른 민족 간의 상호 이해를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전쟁의 기억이 전승될 수 있게 한다. 김혁은 문학작품을 통해 전쟁 기억에 전쟁을 직접 경험한 자들의 죽음과 함께 전쟁이 역사 속에 묻히면 안 되며 젊은 세대들은 전쟁의 역사를 직시하고 사랑으로 평화로운 미래를 함께 만들어나가야 한다는 미래 지향적 관점을 부여했다.

    영어초록

    Chunja's Nanking, a masterpiece of contemporary Korean Chinese writer Jin Ge, depicts the suffering of Korean comfort wome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China, reveals the war trauma and national pain of the Korean Chinese, and expresses the author's ethical reflection on the memory of war. Jin Ge presents the unique war trauma of the Korean Chinese in terms of their yearning for the liberation of their homeland, the threat to their lives from famine and massacre, and their concern about the loss of the national language. The female body, as the site of wartime sexual violence, strings together the trauma and memory of war and inevitably becomes the carrier of war memory. The homogeneity of bodily sensations makes it possible for Chinese, Japanese, and Korean women to share similar experiences during and after the war, crossing the boundaries of time, space, and nationality, and making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different ethnic groups possible; thus, the memory of the war is passed on. Through his literary writing, Jin Ge gives a future perspective to the memory of the war. The death of those who lived through the war does not bury it in history, and the younger generation faces the history of the war and builds a peaceful future with lo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