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피터브룩《배틀필드(Battlefield)》안의 설화에 나타난 다르마(Dharma)의 의미 (Parables in Peter Brook's 《Battlfield》and The Meaning of Dharm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0.08
28P 미리보기
피터브룩《배틀필드(Battlefield)》안의 설화에 나타난 다르마(Dharma)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예술 / 48호 / 55 ~ 82페이지
    · 저자명 : 김기정

    초록

    영국의 세계적인 연출가 피터 브룩(Peter Brook)은 1985년 인도의 대서사시 『마하바라타』를 공연하여 전세계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서양 현대 사회의 위기를 자각하고, 그 답을 동양의 ‘다르마(Dharma)’에서 찾고자하였다. 그 후 30년이 지난 2015년 브룩은 《배틀필드(Battlefield)》로 인도의 대서사시를 새롭게 무대화한다. 연극은 정적이며 서사적인 스타일의 공연이었으며, 극의 주제인 ‘다르마’를 설명하기 비유설화의 방식을 사용한다. ‘다르마’의 뜻은 법, 의무, 삶의 목적 등으로 다양하여 한 단어로 정의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비유설화를 통해 그 의미를 용이하게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극에서는 세 가지의 비유설화가 나오는데, 각각의 설화들은 ‘운명’, ‘정의’, ‘죽음’이라는 주제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사상과 문화가 결합된 인도 문학의 특성상 세 설화와 같은 불교설화를 찾아 비교, 분석함으로써 설화의 의미를 폭넓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불교의 『전생담』,『육도집경』,『불설비유경』 등에서 세 설화와 같은 설화들을 찾을 수 있었으며, 설화의 의미를 불교적인 관점에서 파악하고, 각 설화에 대입하여 봄으로써 ‘다르마’의 의미를 명확히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차원에서 설화를 분석한 결과, 피터브룩이 말하고자 하는 ‘다르마’는 ‘자신을 자각하고 반성하는, 인간으로써 가야할 올바른 길’이라는 것에 가까웠으며, 그것이 그가 오늘날 『마하바라타』를 통하여 세상에 전하고자 하는 답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동양의 예술정신은 오늘날 급변하는 세상 속 인간의 불안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함을 확인한다.

    영어초록

    Peter Brooke, a world-renowned British director, created worldwide interest by performing the Indian epic 『Mahabarata』 in 1985. He was aware of the crisis in modern Western society and wanted to find the answer in the Eastern Dharma. Thirty years later, in 2015, Brook will stage a new epic in India under the name of Battlefield. The play was a static and epic style of performance, and uses a metaphorical parable way of explaining the theme of the play, 'Dharma'. Dharma is difficult to define as a word, such as law, duty, and purpose of life, so it is intended to convey its meaning easily through analogy. That is why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parables in order to get a clear picture of the subject of the play.
    There are three parables in this play, each of which talks about the themes of 'destiny', 'justice' and 'death'. In this study, due to the nature of Indian literature combined with diverse ideas and cultures, the meaning of the parables was widely understood by finding, comparing, and analyzing Buddhist tales such as the three parables. The three parables were found in Buddhism scriptures 『Jataka』, 『Sutra on the Collection of the Six Perfections』, and 『Sutra of Parables』. The meaning of the parables was grasped from a Buddhist point of view. And by applying this to each narrative, the meaning of 'Dharma' could be clarified. An analysis of the parables at this level showed that Peter brook's 'Dharma' was closer to 'the right path as a human being to self-awareness and remorse' and that was the answer he wanted to convey to the world through 『Mahabharata』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