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잃은양비유(마 18:12-14)에 대한 해석학적 연구 (A Hermeneutical Study on the Parable of the Lost Sheep(Mt 18:12-14))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3.09
40P 미리보기
잃은양비유(마 18:12-14)에 대한 해석학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신약학회
    · 수록지 정보 : 신약논단 / 20권 / 3호 / 645 ~ 684페이지
    · 저자명 : 정종성

    초록

    청중들의 구체적인 삶을 겨냥한 적실성 있는 해석학적 연구를 위하여 필자는 세 가지 원리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비유 해석은 “내러티브 안에서” 이행되어야 한다. 비유를 내러티브 안에서 이해한다는 것은 비유 자체를 내러티브의 한 요소나 부분으로 보는 것을 말한다. 둘째, 용어와 개념 그리고 이미지의 현재화이다. 구체적인 행동을 주문하는 해석과 설교에 있어서 그 생명은 현대 청중들에게 적실성이 있는 소통양식을 채택하는 데에 있다. 그것은 설득력이 떨어지는 폐쇄적 형이상학의 세계에서 벗어나 현대적인 관용어와 이미지를 창조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셋째, 관점과 상상력이다. 해석자와 설교자는 개인적 경험과 고백과 상상력을 가지고 텍스트 안으로 뛰어 들어가야 한다. 텍스트 안에서 해석자와 청중이 동시적으로 만나게 되고 궁극적으로 청중들이 소외되지 않도록 청중들의 언어로 해석과 설교는 구체화하게 된다. 그 공간 안에서 해석자와 설교자는 가장 적실성이 있는 관점을 찾게 된다. 마태의 잃은 양 비유는 비유를 공동체의 규범 해석과 집행이라는 틀 속에서 정치적인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신앙공동체의 수평적 관계 속에서는 결코 엄중한 권고나 출교와 같은 극단적 치리행위가 존재할 수 없다는 암시적 해석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것은 마태의 콘텍스트와 18장 내러티브 안의 여러 연결고리를 통하여 발견된 의미이다. 설교자는 마태의 잃은 양 비유에 대하여 18장 내러티브 안에서 제기되고 있는 정의와 용서의 문제를 적실성 있는 설교의 포인트로 이미지메이킹 할 수 있게 된다.

    영어초록

    In order to create a relevant interpretation and preaching of the Biblical parables, I am proposing three stages of the so-called "hermeneutical approach," aiming at the modern audience's practical reception. It embraces both worlds, that is, the text and its realities. The realities, or "the world in front of the text," is related to the prospective audience and their real times and cultures that the interpreters and preachers live in. Employing theological sensitivity and imagination arising in between these two horizons, they act as a praxis-trigger or motivation-driver for the audience. First, the Biblical parables need to be interpreted "in" the narrative. To be interpreted "in" the narrative, the parables should be read as one part or member of a larger unit. Second, the ancient idioms and concepts and images need to be modernized, that is, contemporizing the archaic form for the modern audience. The key in interpretation and preaching as communication, pursued for immediate response by the audience, always lies in ensuring relevance. This means creating and explaining by way of modern idioms and images, and finding an escape from the unpersuasive disclosed dogmatic world. Third, parable interpretation and preaching require "perspectives" and imagination(or "image-making faculty") instead of historical or critical methodologies. Preachers need to thrust themselves into the textual world, accompanied by their own personal experience and confession and imagination. Preachers experience the text with the audience at the same time, and through this they can eventually crystallize the relevant language for the audience without isolating the latter. In the very same time and space encountered by both parties, interpreters and preachers are able to find the most relevant perspectives to the audience. By this hermeneutical method, each of the Biblical parables comes alive characteristically as living Word to the audience. The Matthean parable of the Lost Sheep is used for the community's political purpose in terms of the principle and practice of church discipline. In Matthean context, the Lost Sheep parable is implicitly interpreting and providing a negative message to any critical exhort or excommunication in milieu of a horizontal (and egalitarian) relationship. This meaning is created in the narrative of Mt 18, especially in its context and various connecting languages. In this process, preachers can create his/her own perspectives with image-making the most relevant focus, the problem of justice of forgiveness. As a result, the Matthean "lost sheep" is clarified as the community member(s) who have fallen from church discipline, and at the same time those "miserable" boundary figures that urgently need the "Father's forgiveness." The hermeneutical approach to the Matthean parable of the Lost Sheep becomes now a very relevant vessel for inspiring and consolidating the spirit of true ecumenism in the Chu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약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