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라마 이야기 전통에서 뜨리자따의 변모 양상과 다르마 (Literary Transformation of Rākṣasī Trijaṭā in Rāma-kathā Tradition and Dharm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8.12
30P 미리보기
라마 이야기 전통에서 뜨리자따의 변모 양상과 다르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54호 / 241 ~ 270페이지
    · 저자명 : 이동원

    초록

    본 논문은 라마 이야기(Rāma Kathā) 전통에서 락샤씨(Rākṣasī, ‘여성 락샤사(Rākṣasa)’) 뜨리자따(Trijaṭā)가 보여주는 존재 양식과 기능 및 역할의 변모 양상과 그 의미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라마 이야기는 다르마(dharma)의 이야기로, 다르마와 다르마가 아닌 것, 즉 아다르마(adharma, ‘비(非) 다르마’) 사이의 대립과 다르마의 승리를 그린다. 이때 라마(Rāma)는 다르마를, 라바나(Rāvaṇa)와 그의 수하에 있는 락샤사들은 아다르마를 각각 표상한다. 라마 이야기에는 여러 보조인물들이 등장하는데, 그 중에서 뜨리자따는 다르마를 아는 락샤씨다. 발미끼(Vālmīki)의 『라마야나』(Rāmāyaṇa)에서 뜨리자따는 납치되어 아쇼까 정원에 갇힌 씨따에게 라마의 승리를 예견한 꿈을 들려주고, 그녀를 괴롭히던 락샤씨들을 내쫓았다. 또한 전장에서 심한 상처를 입고 쓰러진 라마와 락슈마나(Lakṣmaṇa)가 죽었다고 생각하는 씨따가 마음을 다잡을 수 있게 이성적인 조언으로 그녀를 달랬다.
    후대 라마 이야기에서 뜨리자따는 종종 비비샤나(Vibhīṣaṇa)의 딸이나 누이로 등장한다. 이와 함께 그녀의 기능과 역할은 보다 확대되고, 다른 인물의 자리를 대신하기도 한다. 뜨리자따라는 인물 형상화 양상의 변화에는 다르마가 강력한 기제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락샤씨임에도 불구하고 다르마를 따른다는 뜨리자따의 역설적 특성을 뒷받침하기 위해 가장 다르마에 가까운 락샤사이자 뿔라스땨(Pulastya)의 후손인 비비샤나와의 관계성이 요구되었고,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기능과 역할이 확대된 것이다.

    영어초록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literary transformation of Rākṣasī Trijaṭā in Rāma-kathā Tradition 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it and dharma. Rāma-kathā, which literally means Rāma’s story, is the phrase by which scholars refer to the basic narrative of Rāma’s marriage, exile, and battle with Rāvaṇa. The theme of Rāma-kathā is dharma which is a key concept with multiple meanings in Indian thoughts. The main plot of Rāma-kathā is Rāma’s victory over Rāvaṇa; in other words, the victory of dharma over adharma. There are several minor characters in Rāma-kathā; among them Trijaṭā is a rākṣasī on the side of dharma.
    In Vālmīki’s Rāmāyaṇa, Trijaṭā reprehended rākṣasīs who were threatening and frightening Sītā; she then proceeded to tell them about her dream foreshadowing the fall of Rāvaṇa and the triumph of Rāma, and made them apologize to Sītā. The other intervention of Trijaṭā takes place after the first major incident of the war. Sītā along with Trijaṭā had been sent by Rāvaṇa to view the battlefield, where Rāma lay helpless. At this sight, Sītā began to lament piteously, and Trijaṭā put heart into her assuring her that Rāma were alive.
    Rāma-kathā has been handed down over centuries, across regions, and among different communities, by different types of media. Several cultural/linguistic groups in India have shared this story which became a symbol of national unity and integration. Rāma-kathā has been told hundreds of times in diverse ways; its diverse set of tellings is called ‘Rāma-kathā tradition’. Trijaṭā’s characterization has been changed in later Rāma-kathās. She is generally depicted as Vibhisana’s daughter or sister. Her function and role have been enlarged; sometimes have replaced other characters’. Dharma is a strong machinery of this literary transformation of Trijaṭā.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