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麻線 高句麗碑의 書體와 金石學的 問題點 (A Study on Calligraphy and Epigraphy about Maxian Monument of Goguryeo)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4.03
19P 미리보기
麻線 高句麗碑의 書體와 金石學的 問題點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예학연구 / 24호 / 5 ~ 23페이지
    · 저자명 : 한상봉

    초록

    이 글은 2012년 6월 하순 中國 集安 麻線河에서 발견된 麻線碑에 대한 중국측 “集安博物館” 발표와 한국에서 “韓國古代史學會”와 여러 학자들이 발표한 내용과 논문들을 살폈다.
    특히 書體와 金石學적으로 지금까지 논의된바 없는 글을 논제로 삼았다.
    중국의 발표에 처음부터 의혹과 僞碑에 대한 논쟁이 일어났다. 중국 耿鐵華의 주장과 달리 그동안 철저한 검증이 없었고, 발견일자와 서체 금석학적 문제점에 대하여 필자는 깊은 의문을 제시하였고 마선비에 대한 공개적인 검토를 주장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고대사학회와 일부 학자들은 碑.石에 의문을 제기한 소수학자들의 여론과 여러 가지 정황증거와 拓本에 대하여 최소한의 확인조차 하지 않았다. 전문학계의 연구자들이 아니라는 이유로 지금까지 철저히 무시당해 왔다. 반면 그들은 중국측 경철화의 논리만 일방적으로 지지하고 추종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이러한 모순점에 대하여 필자가 직접 집안 현지를 답사하였고, 최초 발견자와 대화, 그 주위의 환경과 채석장 등에서 상세하고 주도면밀하게 파악한 모든 상황을 근거하여 僞碑로 단정 짓게 되었다. 또 마선비의 서체 분석과 특정에 대하여 논하고 마선비의 탁본을 제시하여 중국 “文物報拓本”과 비교 검토도 하였다.
    한국 관광객이 촬영한 동영상도 확인하였다. 필자 소장 탁본(중앙일보 2013. 3.13. 발표) “丁卯年 刊石 戊子”에 대한 文句는 張福有의 논증과 일치하여 模本이 아님도 확인되었다. 그리고 비석의 석질과 금석학적 해석, 아울러 한·중간의 歷史性에 대한 양국의 상호 다른 인식과 견해에 대하여 그 차이점을 설명하였다.
    이상과 같은 내용을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지금 신 집안박물관에 전시된 마선비는 原形이 심하게 훼손되고 마석하여 原碑의 실체를 알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그리고 마선비는 아직까지도 중앙정부와 고구려사의 권위있는 연구자들로부터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같은 사실은 비석에 대한 해석이 중국의 학자들 간에도 논리가 정리되지 않아 최초 발표에 신뢰를 잃었다. 또 다투어 공명심을 쫓다보니 그들 스스로가 불신의 씨를 키웠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is thesis, it shows the various contents and theses about the Maxian Monuments discovered in the latter part of 2012 at the near Maxian riverside, Ji'an between the opinions of the Chinese Ji'an Museum Authorities and those of many Korean scholars of the “Academic Institute for Korean Ancient History." And especially it indicates that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Chinese calligraphy and different styles of epigraphy that have not been discussed up to now.
    From the beginning, we know that there have been a lot of doubts and arguments about the false monument in the Chinese publications. On the other hand, I have persistently insisted, contrary to Chinese Kyung Chul-haw's claims, that there should be many doubts about the date discovered and calligraphy itself and “Stone and metallography' inscrived in the Monument and that the Maxian Monument should be publicly reexamined by the Authorities. I also claimed that there should be a thorough investigation of the various problems of - characters inscribed and its calligraphy on the Maxian Monument published in Chinese official publication, “文物報", showing the Chinese characters inscribed in a copy of Maxian Monument.
    Seeing a photo taken by a Korean tourist and a copy of my characters inscribed (published by Juang Daily Newspapers on the date of March 1st, 2013), the phrases “丁卯年刊石 戊子", were exactly matched to the evidence presented by 張福有 one another. It proves that my characters inscribed was found “not genuine."I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quality of a stone and metallic translation and also emphasized that there must be the mutual differences and deep misunderstandings about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China and Korea.
    According to the overall result of the above-mentioned judgement, it proves that the original form of Maxian Monument now exhibited at Ji'an is badly damaged and worn away and we can assume there is no possibility to distinguish the genuine from the false. And moreover, the Maxian Monument itself has not been acknowledged by the authorized historians of Koguryo and the Chinese central government authorities.
    Thus, we can understand, on account of the various opinions among the Chinese scholars, that there are plenty of different kinds of arguments among the Chinese scholars themselves and that they have finally lost their mutual trust from the Chinese scholars. It seems that, owing to their exceeding desire for fame, they have finally come to the mutual distru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예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