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쓰시마(對馬島) 조선어통사의 성립과정과 역할 (Completion Process and Roles of Tsushima's Korean Interpreters)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08.04
48P 미리보기
쓰시마(對馬島) 조선어통사의 성립과정과 역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관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관계사연구 / 29호 / 123 ~ 170페이지
    · 저자명 : 허지은

    초록

    본 논문은 조·r일관계상에서의 쓰시마 조선어통사의 역사, 입지 및 역할 등에 관해 검토한 것이다. 임진왜란 이후 조일간의 외교·무역업무는 왜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언어도 문자도 다른 조선과의 의사소통과 정보수집의 최전선에 있었던 것은 조선어를 이해하고 구사할 수 있는 조선어통사였다. 이들은 조선과의 무역 등에 종사해 온 쓰시마의 특권상인인 60인 상인 출신으로 번의 필요에 따라 동원되어 통사로서 임무를 수행했으며, 왜관내에서의 업무처리를 위해 1693년 이후 왜관에 상주하면서 근무하였다.
    쓰시마에서는 1727년부터 체계적인 교육과정 속에서 통사를 양성하였는데, 그 이유는 1678년 왜관이관으로 일본인들에 대한 통제강화로 조선인과 접촉하면서 조선어를 습득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조선과의 무역량 감소로 商賣를 위해 조선으로 건너가는 인원이 감소되고 조선어학습에 대한 의지를 상실함으로써 조선어수준이 저하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당시 쓰시마에서는 계속되는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아메노모리 호슈 등 儒者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과거 조일간의 통교의 樣態를 명확히 할 목적으로 『朝鮮通交大紀』 『分類紀事大綱』 등의 기록을 정비하였다. 조선관련 정보의 구축을 통해 조선과의 외교·무역교섭의 근거로 삼음과 동시에 교섭을 원활하게 이끎으로써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려 했던 것이다. 이렇게 조선관련 정보를 구축해가는 시점에서 정보수집의 최전선에 있는 조선어통사의 필요성은 더욱 높아졌을 것이다. 따라서 쓰시마에서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조선어통사를 양성하기 시작하려고 했던 것은 번 재정을 재건하기 위해 당시 쓰시마에서 실시했던 조선관련 정보구축이라는 정책 속에서 連動的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조선어통사의 기본업무는 통역이었지만 이들은 이 외에도 조·일간의 외교·무역교섭석상에서 양자 간의 의견을 절충하는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교섭에 주체적으로 관여하기도 하였다. 또한 동래부에서 양역을 통해 왜관에 전달한 傳令의 寫本이 諺文으로 되어 있었고 양역이 통사에게 보낸 문서의 경우 諺文 내지는 한글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통사는 조선식 한문 또는 한글로 되어 있는 문서를 번역하고 작성하는 업무도 담당하였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이들은 조선과의 의사소통과 조선관련 정보수집의 최전선에 있었던 존재로서 쓰시마에서 바쿠후의 지시를 받아 요구하거나 쓰시마 자체의 필요에 의해 요구하는 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들이 수집한 다양한 정보는 이후 쓰시마, 이후 바쿠후의 대조선정책 결정에도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reviews the history, status, and roles of Korean interpreters in Korea-Japan relationships. Sinc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diplomacy and trade business oper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had centered on Japanese Settlements. It was Korean interpreters understanding and speaking Korean who was at the forefront of communication with and information collection from Korea of which language and culture were different from Japanese’s. These interpreters were from the sixty person merchant who had been engaged in privileged trade business with Korea and stationed permanently at Japanese Settlements since 1693. They were selected to carry out the given task as Korean interpreter if needed.
    Tsushima had trained Korean interpreters with systematic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since 1727, of which reason was that learning Korean language through contacting Koreans had become hard due to the heightened control of Japanese after the transference of Japanese Settlements in 1678.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Japanese to go over to Korea for trade business decreased due to the decrease of trade amount, and also Japanese’s will to learn Korean was depressed down, Korean language level declined accordingly. At that time, Tsushima consolidated the records such as ‘Bunruikizitaikou’ and ‘Cyousentsuukoutaiki’ for the purpose of clarifying past Korean-Japanese trade patterns in order to overcome the long-lasting economic difficulty in Tsushima according to the advices from the Confucian scholars such as Amenomori hosyu. They intended to overcome the economic difficulty by making it foundation for diplomacy and trade business with Korea and also leading the negotiations smoothly. Thus, at this period of Korea-related information building, the needs for Korean interpreters at the frontline of information collection would have increased more. Therefore, the effort to train Korean interpreters with systematic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in Tsushima is thought to be administered parallel with the Tsushima’s policy of Korean-related information building at that time.
    On the other hand, the primary duty of Korean interpreters was translation, but they performed the role of mediating the ideas of Korea and Japan in diplomacy and trade business meeting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also occasionally played the initiative role in the negotiations. In addition, since not only the official message that the person on duty sent to Korean interpreters but also the one that Dongnae-Bu sent to Japanese Settlements via the person on duty were written in nbun, Korean interpreters also performed the duties to translate and write the documents in Korean-style Chinese. Above all, however, they most importantly played the role to collect and provide information required for Tsushima itself or by the Shogunate. It is understood that the information that they collected would have influenced later on the policy-making toward Korea of the Shogunate.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관계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