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토니 모리슨의 『집』 -트라우마와 치유의 수사학 (Toni Morrison's Home -The Rhetoric of Trauma and Healing)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4.03
29P 미리보기
토니 모리슨의 『집』 -트라우마와 치유의 수사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40호 / 705 ~ 733페이지
    · 저자명 : 조비결

    초록

    본 논문은 미국의 노벨 문학상 수상작가인 토니 모리슨의 2012년 최신작 『집』을 통해 현대인들의 트라우마를 분석해보고 이러한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치유할 수 있게 하는 원천이 사회의 기본단위인 가정과 공동체의 결속력이라는 모리슨의 철학적 함의를 분석해 보는데 있다. 이와 더불어 모리슨이 작품 주인공의 서사를 효과적으로 부각시키는 수사학적 전략으로 함축적인 시어를 사용하거나 다양한 인칭의 서술 방식의 변화를 모색하고 트라우마를 겪고 있는 주인공의 의식을 이텔릭 문체로 표현함으로써 독자들이 소설에 더욱 공감할 수 있도록 미학적, 수사학적 언어 장치를 구사하고 있음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모리슨의 『집』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1863년 링컨의 노예해방선언 이후 미국인이라는 시민권과 인종차별금지를 법적으론 보장받지만, 100여년이 지난 후에도 백인들과 동등한 사회적, 경제적, 교육적 기회를 부여받지 못하는 1950년대 그들의 지난한 삶의 애환을 담고 있는 서사이다. 즉, 이 작품은 노예와 별 다를 바 없이 열악한 경제적, 사회적 여건 속에서 삶을 감내하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부모세대와 교육의 부재와 물질의 결핍으로 정신적, 물질적 트라우마를 겪는 그들 자녀세대들의 타자화된 비존재를 제시함과 동시에 그들이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자존감있는 온전한 사회인으로서 살아가게 되는 여정을 그린 아프리카계 미국인 역사의 서사이다. 글의 중심축은 주인공 프랭크가 결핍과 트라우마의 공간인 고향을 떠나 한국 전쟁 참전 후 전쟁의 비극적인 참상 속에서 고향에서 보다 더욱 더 극심한 트라우마를 겪고 다시 찾은 고향에서 온전한 사회인으로서 자존감을 형성하는 젊은 청년의 성장소설이다. 모리슨은 주인공 프랭크의 고백의 수사학을 통해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노예제도의 폐지 후에 겪는 경제적 궁핍과 더불어 그들을 위한 학교 하나 없었던 당시의 열악한 사회정치적 상황을 재현해 보인다. 또한 작가는 프랭크의 서사를 한 축으로, 고향에서 사랑받지 못하고 타자화된 그의 여동생 씨가 고향을 떠나 자본주의적 속성으로 가득 찬 도시 생활 속에서 겪는 트라우마의 서사를 비애의 수사학을 통해 씨실과 날실처럼 교직시켜 탄탄한 구성력이 돋보이는 글쓰기 전략을 구사한다. 모리슨은 이 남매들의 트라우마를 담은 서사를 통해 전쟁의 잔혹성과 자본주의적 악의 속성, 인종차별의 폐해를 지적함과 동시에 트라우마를 겪은 이들이 정신적으로 성숙한 개인이자 책임감 있는 사회인이 될 수 있도록 보살펴주고 이끌어 줄 수 있는 치유의 공간으로서의 가정과 사회공동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모리슨은 최신작 『집』을 통해 개개인들의 역경 속에서 트라우마를 경험하고 이를 극복하여 정신적으로 성장한 개인과 이들을 돕는 사회공동체의 역할을 강조함으로써 함께 사랑하며 살아가는 인류평등주의적인 작가의 철학적 함의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위와 같이 모리슨의 작품 『집』 속에 나타난 작가의 철학적 함의를 고찰하고, 작가가 주인공들의 트라우마를 이탤릭체를 사용하거나, 1인칭 시점과 3인칭 시점을 오가는 독백체로 서술함으로써 독자들에게 주인공들의 심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수사학적 서술기법을 보이고 있음을 분석함으로써 이 논문이 작가의 서술전략을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기틀을 마련해 주리라 사료된다. 이를 통해 논자는 모리슨이 이 작품 속에 소설의 형식과 내용면에서 그녀만의 완벽한 소설미학을 구현하고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작품 연구가 인문학이 죽어간다는 현 시대에 인문학이 물질적 풍요 속에 정신적 빈곤을 경험하는 우리 현대인들의 자존감을 회복시켜 주는 치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자료가 되길 소망해 본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My goal is to elucidate core concepts like trauma and healing in Toni Morrison's new novel in 2012, “Home,” a story of Frank Money, a traumatized Korean War veteran who returns to the U. S. in the 1950s. I explore that Toni Morrison, a truly egalitarian, posits her philosophical questions on the importance of the solidarity of community as well as the self-esteem of individual in this novel. To convey her perspective on these contents, I go on to examine rhetoric, the art of using language effectively and aesthetically, in terms of her writing strategy.
    First, I examine that Morrison conveys a traumatized protagonist from the Korean war, Frank's psychology to her readers with the rhetoric of confession through monologue by employing italicized writing style to be indicative of his psychological chaotic state as a part of Toni Morrison's writing strategy.
    Home is the odyssey of Frank, a traumatized protagonist from the Korean war, and Cee, his younger sister, another traumatized protagonist from the capitalistic city. After coming back to their hometown, they realize that their hometown is the best place in the world where they are so relieved and secured. Futhermore, their home is the true place that provide them with self-reliance and self-esteem.
    In this context, Toni Morrison elaborates how they are characterized as traumatized victims of war, capitalism as well as racial disparity through rhetoric and poetic stylistic technique.
    In conclusion, Toni Morrison lays out the value of African American communities which help one another to heal their trauma and have a sense of self-esteem. She also employs the rhetoric of confession, sorrow, persuasion in terms of writing strate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