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비달마불교의 심소법 연구 (A Study of Caitta-Dharma in Abhidharma Buddh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07.12
45P 미리보기
아비달마불교의 심소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18호 / 263 ~ 307페이지
    · 저자명 : 수산

    초록

    불교에서는 우리 마음을 心王과 心所로 설명하고 있는데, 심왕은 곧 우리 마음의 주체이고 심소는 우리 마음의 작용을 의미한다. 즉, 心法이라 함은 일체의 정신적 현상을 총괄하며 色法의 상대어로 사용한다. 심법은 다시 심왕과 심소로 나뉘는데, 심왕은 심법의 주체이고 심소는 심왕에 수반되는 것으로 심소유의 법이다.아비달마불교시대의 설일체유부 이론에 의하면 모든 존재요소는 미래의 영역으로부터 현재에 나타나며, 다음 순간에는 과거의 영역으로 사라져간다. 그리고 마음도 이와 같은 존재이지 영원불변한 최고 존재는 아니다. 또한 현재에 나타나는 마음은 시각적인 인식청각적인 인식 등 6가지의 인식 가운데서 어느 한 가지의 양상을 취하고, 반드시 여러 종류의 심리작용과 동반한다. 그 마음은 善惡無記의 3가지로 구별되는데, 무기의 마음에는 올바른 지혜의 발생을 방해하는 것으로 더럽혀져 있는 것과, 순수한 무기로서 더럽혀지지 않은 것이 있다.심법의 주체인 심에는 대개 세 가지 다른 이름이 있다. 아함경에서 심을 心意識이라는 세 가지 이름을 사용하고 육식을 설하고 있지만, 심의식에 대한 차별성이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지는 않다. 다만 심의식의 세 가지가 이름은 다르지만 그 체는 하나라는 것이 아함의 교설이다.아비달마의 논사들이 종래의 6식 가운데 제6식 이외에 다른 心性이 있어서 중생의 생명을 유지시켜 주고 또 업력도 보존하여 주며 인연에 따라 모든 결과까지도 나타내는 것이라고 생각한 마음의 주체를 각 부파에서는 다각도에서 탐구하여 각자의 심체를 주장하였다. 그러한 의미에서 우리의 의식작용의 본체로서 객관대상에 대하여 그 일반상을 인식하는 정신작용을 설명하는 것을 心體說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불교에서의 사물에 대한 인식문제는 초기불교시대부터 그 유래가 시작된 것으로, 이는 초기 경전인 gama과 Nikya에 잘 나타나 있다. 이들 경전에서는 ‘根’과 ‘境’과 ‘識’이라는 인식의 기본조건을 설정하고, 이 세 가지의 화합으로써 인식이 일어난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아직 구체적인 심리작용인 ‘心’과 ‘心作用’ 즉, ‘心所’의 문제는 구체적으로 논의되고 있지 않다. 이러한 초기불교의 인식에 대한 문제가 아비달마불교를 거치면서 보다 세분화되는데, 이것이 바로 불교의 心所論이다.아함경에서는 일체의 법을 존재를 구성하는 다섯 가지 요소인 오온과 십이처 그리고 십팔계로 분류하여 교설하고 있으며, 이후 아비달마불교에서는 이를 더욱 논리적으로 분별하고 체계화하여 色心心所심불상응행무위 등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다섯 가지 분류는 이후 唯識에까지 이어져 일체법을 분류하는 하나의 체계가 되었다.초기불교의 인식에 대한 문제가 아비달마불교를 거치면서 보다 세분화되는데, 이것이 바로 불교의 심소론이다. 물론 초기불교에서도 심소에 대하여 언급한 부분들이 다소 있지만, 그것은 심소를 어떠한 분류로써 규정한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아비달마불교에서는 이들 심소를 각각으로 분류하고, 그 정의를 명확하게 하여 인식에 의하여 야기되는 심리상태를 각각의 심소를 통하여 밝혀내고 있다.우리의 심리작용에 대하여 불교에서는 반드시 두 가지 요소의 결합으로 성립한다고 한다. 하나는 마음이요, 다른 하나는 마음의 작용이다. 이러한 심과 심소의 관계는 일반적으로 主從의 관계로 부르는데, 심은 主요 심소가 從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심리작용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심과 심소가 상호 불가분적인 인과관계를 가져야만 하는 것이다. 결국 아비달마불교에서 인간의 마음의 작용을 심소법으로 구분하고 다시 더 세분하여 75가지 내지 100가지로 설명하고 있는 것은, 바로 우리 인간의 번뇌의 작용을 바로 알고 그것을 끊음으로써 해탈의 경지에 이르기를 바라는 의도였다고 보인다.

    영어초록

    In Buddhism, they explain our mind using citta, as the subject of mind, and caitta, as the function of mind. Citta-dharma generalizes the whole mental phenomenon, and it is used as an antonym of rūpa-dharma. Again, citta-dharma is divided into citta and caitta, and inhere, citta is the subject of citta-dharma and caitta is an accompaniment of citta, which is also a dharma for attribute of mind.
    According to sarvāstivādināḥ theory in abhidharma buddhism era, every existing factors come from the future and appear in the present. And at the next moment, it disappears into the past. Mind is just like such existing factors, it is not the supreme being that exists forever. Besides, the mind appears in present life assume one of the aspects from 6 recognitions including visual recognition⋅auditive recognition and so on, and always accompany various types of psychosis. The mind is differentiated into three factors, good, evil and nescience[nivṛta]. In the mind of nescience, there is a thing that is disgraced by a thing that obstructs occurrence of righteous wisdom, and there is a pure nescience that is not disgraced by anything.
    There are three different names for the subject of citta-dharma, mind. In Āgama, mind is called by three different names, mind⋅thought⋅consciousness(心⋅意⋅識), and although there are some opinions about ṣaḍ-vijñāna, but the differentiation between mind⋅justice⋅conscious is not clear. Āgama's teaching simply implies that although the three names for mind⋅justice⋅conscious are different, the subject of them is same.
    The suggestion made by abhidharma theorizers that among the 6 conscious, there are other minds that maintain mankind's life, preserves retribution and presents every results according to karma, was studied by other denominations from various angles and they suggested their own view on mind and body individually. In this way, we are able to explain the mental operation that recognizes general conception of an object as the reality of conscious operation as theory of mind and body.
    Recognition issue on the objects in Buddhism was originated at the early stage of Buddhism era, and this is clearly specified in the primary Sutra, 『Āgama』 and 『Nikāya』. In these Sutra, they set up a basal condition for recognition called ‘[Indriya]’, ‘[Viṣaya]’, and ‘[Vijñana],’ and explains that recognition occurs when these three combine together. However, herein the concrete psychosis of ‘[Citta]’ and ‘[Citta-vṛtti]’, in other words, problem of ‘[Cetasika, caitta]’ is not discussed concretely. Such recognition problems in early Buddhism is subdivided by undergoing abhidharma Buddhism, and this is the theory of caitta in Buddhism.
    In Āgama, they teach their Sutra by dividing five factors that compose existence of the whole law, and this includes pañcāḥskandha, dvādaśāyatana and aṣṭādaśadhātu. Later, abhidharma Buddhism distinguish this more logically and systematically, and explained about it by dividing it into rūpa, citta, caitta, citta-viprayukta-saṃskāra and asaṃskṛta. Such five classifications were continued to vijñapti-mātra and became a system that divides whole things.
    Recognition problems in early Buddhism is subdivided by undergoing abhidharma Buddhism, and this is the theory of caitta in Buddhism. Of course, early Buddhism also mentioned about caitta in some parts, but the caitta in early Buddhism doesn't seem to be stipulated as a classification. However, in abhidharma Buddhism, they divided caitta separately, clarified the definition for each of them, and used caitta to identify mental state which is aroused by recognition.
    In Buddhism, they say our psychosis is always established by a combination of two factors. One of them is mind, and another one is operation of mind [caitta]. Such relation between mind and caitta is generally called as relation between master and servant, and in this case, mind represents master and caitta represents servant. Therefore, for psychosis to occur, mind and caitta must have an inseparable interaction of cause and effect. After all, the purpose of abhidharma Buddhism to divide human's mind operation into law of caitta and once again subdivide it into 75 or 100 explanations, is because they want humans to understand the operation of agony and become delivered from the s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