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열왕기와 역대기의 산헤립 담화 분석 - 히스기야 텍스트(왕하 18:14-16, 19:35-37과 대하 32:1, 21-23)에 나타난 관점(약속과 진실)에 따른 산헤립의 죽음의 의미를 중심으로 (Analysis of Sennacherib's discourse in Kings and Chronicles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the two authors' writings and the meaning of Sennacherib's death, in the Hezekiah text)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4.03
34P 미리보기
열왕기와 역대기의 산헤립 담화 분석 - 히스기야 텍스트(왕하 18:14-16, 19:35-37과 대하 32:1, 21-23)에 나타난 관점(약속과 진실)에 따른 산헤립의 죽음의 의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 수록지 정보 : 구약논집 / 28권 / 32 ~ 65페이지
    · 저자명 : 이신웅

    초록

    이 논문은 열왕기와 역대기의 산헤립 담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히스기야 텍스트(왕하 18:14-16, 19:35-37과 대하 32:1, 21-23)가 선택되어 두 저자의 기술 관점을 먼저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헤립의 죽음이 어떻게 비교되는지 제시한다. 이 목적을 위해 구문 분석(syntax analysis)과 담화 분석(discourse analysis)의 방법론이 사용된다. 제2장에서는 열왕기와 역대기의 두 저자가 자신의 저술 관점을 제시하는 텍스트가 각각 왕하 18:14-16, 19:35-37과 대하 32:1, 21-23임을 밝힌다. 제3장에서는 두 저자의 저술 방식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밝힌다. 먼저, 열왕기 저자는 아하스와 히스기야를 비교하기 위해 ‘약속’ 모티프(motif)를 자신의 저술 방식으로 택하고, “조공 기사”(왕하 18:14-16)를 통해 본격적으로 히스기야와 산헤립을 비교한다. 다음으로, 역대기 저자는 ‘진실’ 모티프를 자신의 저술 방식으로 택하고, 그것으로 곧바로 히스기야와 산헤립을 비교한다. 그 후, 이 분석들을 종합하여 산헤립의 죽음을 비교한다. 먼저 열왕기에서는 산헤립에 대한 조공 약속을 잘 지킨 히스기야와 철수 약속을 안 지킨 산헤립을 비교한 뒤, 산헤립의 죽음은 약속을 지키지 못한 결과임을 보여준다. 즉, 약속을 잘 지킨 히스기야는 생명이 지속되고, 약속을 어긴 산헤립은 생명이 중단되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역대기는 야훼의 역사적 신학적 진실성을 무시하고 비방한 결과로 산헤립이 죽었다고 말한다. 동시에 야훼께 대한 히스기야의 진실성 지속 여부에 의문을 제기하며 그의 죽음을 암시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 히스기야 텍스트에 대한 열왕기와 역대기 저자들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지금까지의 분석들을 정리한다. 결론에서는 산헤립의 죽음에 대한 열왕기 저자와 역대기 저자의 다른 저술 방식을 언급하고, 이 관점들은 “다른 시각”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인 시각”임을 제시한다. 결국 이 연구는 열왕기와 역대기를 정경적으로 이해하는 주석적 도움을 줄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 시대에서도 어떻게 성경으로 성경을 해석해야 하는지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of Sennacherib’s discourse in Kings and Chronicles. For this reason, the Hezekiah texts (2 Kings 18:14-16, 19:35-37 and 2 Chr. 32:1, 21-23) are selected to analyze the two author’s descriptive point of view first, and based on this, it is propose how Sennacherib’s death is compared. Additionally, methodologies of syntax analysis and discourse analysis are used. In Chapter 2, it compares the composition of Hezekiah's texts in the Kings and the Chronicles, which introduces the differences of the interest between the two authors. Revealing the texts in which the two authors present their perspectives. In Chapter 3, it shows the writing style of them. First, the author of the Kings chooses the motif "promise" as his method of writing to compare Ahaz and Hezekiah, and then compares Hezekiah and Sennacherib in earnest through "tribute account" (1 Kings 18:14-16). Next, the author of Chronicles chooses the motif "truth" as his method of writing, and immediately compares Hezekiah to Sennacherib. In Chapter 4, it compares the death of Sennacherib. Firstly, the Kings compares Hezekiah who kept his promise of tribute to Sennacherib, with Sennacherib who did not keep his promise to withdraw, and shows that Sennacherib's death was the result of failing to keep his promise. On the other hand, Hezekiah who kept his promise, was allowed to live and Sennacherib who broke his promise, had his life interrupted. Next, the Chronicles says that Sennacherib's death was as the result of ignoring and slandering Yahweh's historical and theological truth. At the same time, it calls into question the continuation of Hezekiah's truthfulness to Yahweh and alludes to his death. In Chapter 5, it summarizes the analysis so far of the Hezekiah text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Kings and Chronicle authors. In a conclusion, this refers to the different writing methods of the two authors on Sennacherib's death, suggesting that these perspectives are not "different perspectives" but "complementary perspectives." Ultimately, this study will provide exegesis help in understanding of Kings and Chronicles canonically. Also, we can get hints about how to interpret the Bible in our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약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