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해삼정걸립치기’ 농악의 양식적 면모와 보전 의의 (The Performance Style and Preservation Significance of Gimhae Samjung Gulripchigh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7.06
32P 미리보기
‘김해삼정걸립치기’ 농악의 양식적 면모와 보전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양음악(구 민족음악학) / 41권 / 181 ~ 212페이지
    · 저자명 : 양옥경

    초록

    본고는 김해시 삼정동에 위치한 삼정걸립치기보존회에서 전승하고 있는 삼정걸립치기의 음악 적 특성을 규명하고, 아울러 이 민속예능의 전승 의의를 찾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농악의 예능을 구성하는 대요소들이 음악 이외에도 춤, 놀이, 연극적 요소 등이 있고, 그들의 상호 결합형태들을 종합적으로 살필 때 특정 농악의 예술적 성격을 종합적으로 논할 수 있겠지만 본고에서는 음악을 중심으로 조망하는데 집중하였다. 본 연구대상의 음악적 성격은 농악기 쇠가락과 고사소리를 채 보하여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였다. 요컨대, 삼정걸립치기는 비교적 지역성을 잘 담지한 고형에 가까운 안택고사굿을 전승하고 있는 것으로 귀추가 주목된다. 그 음악적 전거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어름가락을 절굿가락으로 쓰고 있다. 어름가락을 절굿가락으로 쓰는 양상은 전국에 분포 하는 마을굿(제사굿) 양식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난다. 둘째, 혼소박형 길굿가락을 행악(行樂)으로 연주한다. 단, 경기지역의 길군악 칠채나 호남우도 농악의 오채질굿 등과 같이 4겹장단이나 5겹장단이 모인 긴 길이의 리듬형이 아니라 서로 다른 장단형의 두 장단이 가락 한 짝을 이룬 상대적으로 단형의 질굿가락을 쓰고 있다. 여러 사회문화 적 맥락에 따라 음악적 면모가 매우 발전한 지역농악들을 제외하고, 마을굿의 소박함이 그대로 전승되는 지역의 길굿은 대체로 두 겹 장단구조로 이뤄진 질굿가락을 많이 연행한다는 점에서 고형의 질굿가락을 보유, 전승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삼정걸립치기에서는 대동판굿이나 전문걸립형 판굿과 같이 별도로 분리되어 있는 그것 이 아닌, 안택고사굿 안에 하나의 거리로 구성되는, 고형의 마당판굿 형태를 볼 수 있다. 넷째, 삼정걸립치기 고사소리는 음악 문화지리적으로 메나리권역에 속하는 음조직과 선율진행 상의 관습을 보여주고 있다. 즉, 라를 기음으로 하여 미-라-도 세 음을 주요 구성음으로 사용하고, 하강 선율에서 ‘라솔미’로 솔을 거쳐서 음계 최저음으로 떨어지는 관습, 악구 종지와 최종종지 모두 라로 마치는 점이 그것이다. 여기에 추성과 퇴성의 출현 양상도 특징적인 면인데, 모두 자진 속도의 장단구조로 된 음악에서 나타난다. 추성은 라에서 도로 진행할 때, 퇴성은 라음이 시가가 길 때 나타나는 규범을 보인다. 삼정걸립치기는 한 공간에서 오랜 시간동안 전통사회와 현대사회를 잇는 긴 시간적 축적을 보유한 농악으로서, 마을공동체에 의해 형성되고 전승되어 온 역사성이 뚜렷하다. 특별히 경상도 를 비롯하여 현재 대한민국에서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농악 대부분은 ‘판굿’이라는 공연양식과, 전문걸 립패에 의해 전승, 전파 되어 온 전문 걸립양식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에서 마을 제사굿 성격의 농악 공연양식을 고스란히 전승하고 있는 삼정걸립치기의 상대적 보전 가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삼정걸립치기는 농악의 ‘기악’과 ‘성악’이라는 농악의 음악적 두 중요 요소 중에서 성악적 요소를 매우 풍부하고, 온전하게 보유하고 있어서, 한국 농악의 문화적, 예술적 다양성을 입증하는데 있어서도 삼정걸립치기는 매우 중요한 근거자료라 하겠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amjeong Gulripchighy which is handed down at the Samjeong Gulripchighy Preservation Society located in Samjeong - dong, Gimhae city, and to find the meaning of the tradition of this folk entertainment. In addition to music, dance, play, and theatrical elements are the major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performing arts of Nongak music. While collectively examining their mutual combination forms, it is possible to discuss the artistic character of a specific Nongak music comprehensively, Focused on the preservation value perspective. The musical personality of this study was discussed by analyzing percussive music and Gosagut song melodies. It is noted that the Samjeong Gulripchighy is handed down to prototypical shape of Antaegosagut, which carries a comparatively local character. The Music Featur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rumgarak is used as a god worship rhythm. It is common thing in the form of the village ritual Nongak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Secondly, they play the Gilgut Garak(a rhythmic pattern) as a Hangak(gonggak), which is a mixed irregular length of beats. However, it is not a long rhythm type of 4-ply or 5-ply rhythm such as Gilgunak Chilchae Garak in Gyeonggi province or Ohchae Gilgut Garak in Honam Udo area, but rather a rhythm type with a relatively short shape. Local Nongak have been developed their musical aspect according to various socio-cultural contexts, Samjung Gulripchighy can be seen that they are handed down the simple village Gut(Nongak). Third, Samjeong Gulripchighy show the yard pangut play form which of as an part in whole Antaekgosagut. This form is quite different from the form commonly known as Daedongpangut or the professional entertainment Pangut. Fourth, Samjung Gulripchighy ritual songs take the form of music geography belonging to the Menari area and shows the custom of progressing the melody. In other words, it is a custom to use the Mi-La-Do three sounds as the main compositional root sound of La, to fall from the descending melody to the lowest sound through the brush with La- Sol-Mi. Here, the aspect of appearance of Chuseong and Degradation is also a characteristic aspect and all 'Ra-Mode' of which appear in the music is of the volitional structure. Chusung is seen when on the raising road from La to Do' and Degradation is seen on the long length of La sound at the edge of music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음악(구 민족음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