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30년대 미디어성(メディア性)의 벽소설(壁小說) 연구 ‒고바야시 다키지(小林多喜二)의 작품과 평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Wall novel of Mediality in the 1930’s -Focusing on the works and criticism of Takiji Kobayashi-)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0.08
14P 미리보기
1930년대 미디어성(メディア性)의 벽소설(壁小說) 연구 ‒고바야시 다키지(小林多喜二)의 작품과 평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근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근대학연구 / 69호 / 185 ~ 198페이지
    · 저자명 : 김대양

    초록

    본고는 미디어(メディア)적 성격을 띤 고바야시 다키지의 벽소설을 평론「벽소설과 『짧은』단편소설」과 함께 살펴보았다. 고바야시 다키지가 전략적인 도구로써 실제적 효과를 목적으로 수용한 벽소설은 문학의 기법으로 형식만을 취하고 일반적인 소설과는 달리 ‘운동’이라는 성격으로 문맥의 의존도가 강한 새로운 표현 형식이다. 그리고 벽소설은 현실의 절박한 문제들을 빨리 인식하여 그 문제 해결에 대중을 추동하는 호소성이 강한 아지프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고바야시 다키지의 벽소설은 모두 약자의 눈을 통해서 쓴 것인 만큼 시선을 낮추고 빈곤의 사회성이나 전쟁의 비인간성을 호소하고 있다. 이런 사회의 현실적 상황을 담은 호소력 있는 메시지를 통해 정치적 현실 속에서 민중들을 결집시켰고, 이런 전략을 통해 프롤레타리아 운동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실제로 당시의 사회주의자들은 대부분 경찰의 검거로 투옥되거나 지하로 스며들어 갔는데, 이런 사회주의 운동의 당위성을 교도소나 지하에서 확인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현실의 절박한 문제를 강조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그것이야말로 고바야시 다키지가 말한 ‘전위의 눈(前衛の眼)’이 실현되는 조건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akiji Kobayashi’s wall stories, which display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along with the critique of “On Wall Stories and ‘Short’ Short Stories.” Takiji Kobayashi’s wall stories, which Kobayashi adapted as a strategic tool for practical effect, only appear as a form of literary devices while, unlike novels, they are actually a new form of expression that strongly depend on the contex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what is called “movement.” Also, wall storie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n agitprop, which strongly appeal for the public to quickly recognize the imminent issues of reality and solve them. As much as Takiji Kobayashi’s wall stories were written through the eyes of the weak, they lower their gaze and appeal to the social nature of poverty or inhumanity of war. Such pleading messages, which convey the reality of society, brought people together and such strategies effectively convey the purpose of the Proletarian revolution. In fact, the majority of socialists at the time were imprisoned by the police or went into hiding underground. However, the reason the desperate issues of society simply had to be emphasized despite the situation of having no choice but to confirm the legitimacy of socialist movements in prison or underground is in fact, as Takiji Kobayashi put it, because of the condition that ‘The Eyes of Vanguard’ come tr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근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