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전쟁기 유항림의 「진두평」의 장르에 관한 논쟁 -소설이냐? 전투 실기냐? (Controvery over the Genre of Yu Hang-lim's “Jin Du Pyeong” during the Korean War, Is It a Short Story or a Real Story of Battl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1.03
33P 미리보기
한국전쟁기 유항림의 「진두평」의 장르에 관한 논쟁 -소설이냐? 전투 실기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81호 / 143 ~ 175페이지
    · 저자명 : 배개화

    초록

    1951년 8월 유항림은 “조선인민공화국 영웅” 칭호를 받은 진두평에 대한 소설 「진두평」을 발표하였다. 1952년 초 「진두평」에 대해서 안함광은 전투 실기에 가깝다고 평가하였다. 반면에, 이원조는 공화국 영웅을 잘 형상화한 소설로 평가했다. 7월 열린 문예총 연구회는, 이태준과 김남천의 주도로 「진두평」이 기록성이 강한 소설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그런데, 1952년 9월 초 김일성이 모스크바에서 스탈린으로부터 홀대를 받고 10월에는 한국전쟁 휴전 협상이 무기한 연기되는 상황이 발생하자, 11월 박헌영은 1925년 자신이 수립한 조선공산당이 조선로동당의 출발이라고 주장하며 김일성에게 도전하였다. 이때부터 「진두평」의 장르 문제는 남로당 계열 문학자의 반혁명 음모에 관한 문제로 바뀌었다. 11월 평론에서 엄호석은, 이원조가 「진두평」의 장르를 사실주의 문학으로 왜곡하여, 북한 문학자들에게 자연주의 문학의 창작을 권장했다고 비판하고 이원조에 대한 당의 판단을 요구하였다. 12월 15일, 김일성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5차 전원회의에서 박헌영과 그를 지지하는 문학자들이 미제 침략자의 반동사상을 당내에 유입하여 적과 싸우는 사상 전선에 심대한 해악을 끼쳤다고 비판하고 숙청했다. 1953년 1월부터 한효는 이원조가 공화국 영웅을 ‘사실 그대로’ 창작하라는 김일성의 지시를 왜곡하여 북한 문학자들에게 자연주의 경향의 소설 창작을 권장하였다고 비판하면서, 그를 사상 전선에 침투한 미제의 간첩으로 몰았다. 그러나 이후 「진두평」은 『유항림 단편집』(1958)에 수록되고, 『조선문학사; 조국해방전쟁시기』(1992)에서는 중편 소설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사실들은, 김일성이 1952년 12월 「진두평」의 장르 문제를 박헌영과 이원조와 같이 박헌영을 지지하는 문학자들을 ‘미제가 당에 침투시킨 반당 반혁명 분자’로 비판하고 숙청하는 데에 도구로 이용했음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In August 1951, Yu Hang-lim published a short story about one of the Heroes of the Republic, “Jin Du Pyeong.” Regarding the story, An Ham-kwang said, in a literary review on 2 January 1951, that “Jin Du Pyeong” was a ‘real story of the battle (Jeontu silgi)’ that well portrays the hero of the republic. On the contrary, Yi Won-jo classified “Jin Du Pyeong” as a short story (soseol) in a review titled “On the Literary Figuration of a Hero” in February 1952. The disagreement of these two critiques led to controversy over which genre “Jin Do Pyeong” belonged to. In July, A debate by the Korean Federation of Literature and Arts [KFLA] was held on the issue of whether “Jin Du Pyeong” was a real story or a short story. At this debate, the KFLA’s leading writers Yi Tae-jun and Kim Nam-cheon concluded that “Jin Du Pyeong” was a short story, although it had features of biography and reportage. Nevertheless, in November, Eom Ho-seok criticized Yi Won-jo for spreading the naturalist literary trend to the KFLA writers on the grounds that Yi reviewed “Jin Du Pyeong” as a short story rather than a real story. Then, on December 15th, at the 5th plenum of the Korean Workers' Party [KWP], Kim Il-sung purged Park Heon-young, Vice Chairman of the KWP, for being responsible for introducing the reactionary ideas of American invaders into the Party. Kim Il-sung followed this by also purging Park Heon-young affiliated writer Yi Won-jo and others for producing what he thought were naturalist works that undermined North Korean people's dedication to victory and for the errors that promoted sectarianism within the KWP and KFLA. In order to rationalize these purges, Han Hyo, in his January 1953 review of “Korean Literature in the Struggle with Naturalism,” criticized Yi Won-jo for promoting the creation of naturalist work by distorting the genre of “Jin Du Pyeong” into realist literature. And Han concluded that Yi was a spy of US imperialism who had penetrated the ideological front of North Korea. However, the story was included in A Collection of Yu Hang-lim’s Short Stories in 1958, and being classified a short novel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Bukhan munhaksa] in 1994. These clearly demonstrated that “Jin Du Pyeong” was used by Kim Il-sung as means of purging Park Heon-young and his affiliated writers from the KWP and the KFL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