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金起林の「新しいことば」(새말)論に関する一考察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6.06
12P 미리보기
金起林の「新しいことば」(새말)論に関する一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언어문화 / 35호 / 181 ~ 192페이지
    · 저자명 : Higuchi Kenichiro

    초록

    This paper discusses Kim Kilim’s thoughts on “New Words” in the Korean language as part of an, attempt to re‐examine linguistic reform in South Korea after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from Japanese rule. It proceeds from the position that the existing studies on Kim and the linguistic reform in post‐liberation South Korea have not paid enough attention to the fact that Kim was emphasizing critical thinking regarding a series of linguistic reforms which were instituted under U.S. occupation. In this paper, the author summarizes Kim’s the content of “Making New Words,” an article published in 1949, and points out the following: 1) Kim considered the people (minjung in Korean) to be the appropriate core agents in South Korean society for creating “new words” for the Korean language after the Liberation, and therefore their conduct then was worthy of attention. 2) Kim criticized linguistic purism: although he basically agreed with the “Recovery of the Mother Tongue” policy, he pointed out that excessive reform would not be taking into account the social realities of the time. 3) Kim was critical of the fact that linguistic reform at that time was carried out by one individual or an organization with a small number of people, an important point when considering the linguistic reform in South Korea under the U.S. occupation. 4) Despite the above, Kim developed arguments that embraced a then‐common concept of “nation” (i.e., one with a singular “pure culture” and deserving a “pure” national language), similar to other leading linguists of that time. The paper concludes with a consideration of how Kim’s trust in minjung and his critique of linguistic purism can be characterized as a criticism of the top‐down style linguistic reform that occurred after the Liberation, and also as a demand for “pragmatism” and “liberalism” and a display of an attitude strongly favoring respect for linguistic divers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언어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