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靈泉寺 塔林 硏究 試論 (Burial Near the Enlightened Maste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08.12
37P 미리보기
靈泉寺 塔林 硏究 試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60권 / 260호 / 105 ~ 141페이지
    · 저자명 : 김선경

    초록

    중국 河南省 安陽 靈泉寺의 탑림에는 현재 200여 기에 달하는 묘탑부조가 밀집되어 있다. 이는 6세기 말부터 수세기에 걸쳐 만들어진 승속남녀 신자들의 매장지로서 탑, 부도, 사리 장엄구, 석굴의 함의가 모두 함께 발견되는 독특한 공간이다. 본 논문은 탑림의 역사와 전체적 성격을 개괄적으로 조망하는 동시에, 그 중심에 위치한 대주성굴이 전체 맥락에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 파악하고자 하[숨은설명:시작] 개별 부조의 명문 번역 및 세부 도상 조사, 매장자에 관한 조사와 시대별 부조 배치도 작성은 2008년 7월에 계획되어 있는 2차 현지답사 후에 진행할 예정이다.


    [숨은설명:끝] 였다. 아울러 묘탑부조의 다양한 형식과 명칭에 대한 시론적 논의를 시도하였다.
    탑림의 묘탑주와 공양주 중 일부는 수당대를 풍미했던 三階敎의 신도들이고, 묘탑부조 중에 林葬을 행한 후 건립했다는 명문이 포함된 예가 있어 특히 주목된다. 인근에 위치한 靈裕(518-605)의 대주성굴에 나타나는 刻經文과 造像이 이후 삼계교의 창시자인 信行(540-594)의 수행법과 밀접히 관련된 점에 근거해 볼 때, 대주성굴의 존재가 삼계교 신도들이 주도한 탑림 제작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다.
    묘탑부조의 형식 중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방형 단층탑의 형태는, 영천사의 道憑法師(?-559) 燒身塔을 비롯하여 북제 이후 급격히 유행한 소위 阿育王塔 형식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종래 불보살상이 안치되던 탑의 중앙감에는 대신 묘주의 초상이 자리하여 ‘특별한 死者’ 혹은 ‘개인적 신성화’를 지향했던 당시 불교도들의 바램, 그리고 普佛普敬, 當來佛 사상을 주창했던 삼계교의 지향을 엿볼 수 있다.
    명문에 제시된 묘탑부조의 명칭은 支提塔, 燒身塔, 灰身塔, 散身塔, 靈塔, 像塔 등 매우 다양하다. 이 중 특히 지제탑은 『摩訶僧祇律』, 『法苑珠林』 등에 명시된 구분법에 따르면 사리가 있는 ‘탑’과 사리가 없는 ‘지제’를 결합한 용어로 특별한 고찰을 요한다.
    묘탑의 형식과 명칭은 탑주와 공양인이 지향했던 이상이나 실제 장례법, 나아가 당시 ‘탑’과 묘장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시각적 어휘 등을 암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들은 탑림 전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뿐 아니라, 나아가 중국 불교문화의 흐름을 형성, 발전시키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북조 말기, 수대, 그리고 당대의 시각문화를 폭넓게 이해하는 기초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e "Stupa Forest," consisting of more than two hundred stupa reliefs on the hillsides surrounding the Numinous Spring Monastery in present-day Henan Province, China, was constructed to memorialize monks, nuns, and laity. Beginning in the late sixth century, the site served for several centuries as a unique mortuary space for monuments with connotations of stupas, monastic reliquaries, relic depositories, and cave sanctuaries. This study discusses the overall histor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pa Forest" with consideration of its relationship with the adjacent Great Abiding Sacred Cave. In addition, it presents a prolegomena to an iconographical exploration of the various types of mortuary reliefs and their contemporaneous designations.
    Certain honorees and dedicants at the “Stupa Forest” are identified as followers of the Three Levels Movement that flourished during the Sui and Tang dynasties. The site also reveals traces of the striking practice of "corpse exposure," which involved the offering of the deceased’s body to animals and insects for food as the ultimate act of giving and asceticism and which was mostly practiced by the movement’s followers. Lingyu’s Great Abiding Cave is also located at the site, and its perceived role as a matrix for the teaching and practice of the Three Levels Movement places it at a crucial nexus in the formation of the entire Stupa Forest.
    A large majority of the mortuary stupa reliefs show a structure of a single story with a square plan, a type that was widely popularized since the Northern Qi and best exemplified by Daoping’s ash stupa in the Numinous Spring Monastery. This type seems to have been associated with the so-called “Aśokan stupa.” In most stupa reliefs at the site, the central niche of the stupa’s main body, normally assigned to Buddha or Bodhisattva images, was replaced with a seated frontal portrait of the deceased. This feature can be interpreted as a “private deification” pursued by disciples or relatives in a compelling visual statement, with the possible incorporation of the Three Levels Movement’s idea of the “Universal Buddha.” The various designations for each relief, "cremated-body stupa," "scattered-body stupa," "spirit stupa," "shadow stupa," and "image stupa," point to a distinct desire on the part of the carver/dedicator of each work. One particularly ambiguous designation that calls for further analysis is “zhitita,” since it combines two contradictory terms of “zhiti,” a stupa without relics, and “ta,” one with relics, as addressed in the Mahāsāṃghika Vinaya and the Pearl Grove of the Dharma Garden.
    The presence of this astonishing variety among reliefs of the same general type and inscribed designations poses questions as to their implications regarding the Buddhist devotee’s ideals for life and death, the actual mortuary procedure, contemporaneous expectations for burial monuments, and related visual vocabulary and rhetoric. An elucidation of such details provides fundamental insight into medieval Chinese Buddhists’ attitudes towards death and into their visual culture, and adds pivotal information to flesh out our understanding of Chinese religious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