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科文選集 『儷林』을 통해 본 科試 문체로서의 銘 (Myung(銘) as a Literary Style Seen through the Late Joseon Dynasty Gwamun Collection 『Reolim(儷林)』)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4.04
48P 미리보기
조선 후기 科文選集 『儷林』을 통해 본 科試 문체로서의 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과 해석 / 42권 / 213 ~ 260페이지
    · 저자명 : 이미진

    초록

    본고는 조선 후기 科文選集 『儷林』을 소개하고, 이 자료의 가치와 그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그간 소략했던 과시 문체로서 銘에 대한 연구를 축적하고, 순조 대에 특히 출제 비중이 높아진 銘의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고려대 도서관 소장 과시 관련 자료 255종 중에서 銘이 실린 과문선집은 4종이며, 그중에서도 『儷林』(건/곤)은 비율상 ‘銘 선집’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정기 및 비정기 시험․월과․응제 등 방대한 분량의 銘 답안을 시기와 성적순으로 기재했다. 또한, 과시에서 자주 출제되었던 科文六體(사서의․오경의․시․부․표․책)를 제외한 과시 답안을 위주로 실었다는 점에서 보기 드문 과문선집이다.
    『儷林』은 두 가지 면에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첫째, 국가의 명으로 각종 시험에 제출된 답안을 종합적으로 모은 『臨軒功令』(규장각한국학연구원, 奎11437)과 함께 정조~순조 대에 출제된 銘을 시기적 공백 없이 재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儷林』이 1776년부터 1828년까지 銘 답안을 실었다면, 『臨軒功令』은 1785년부터 1875년까지 명 답안을 실었고 1776~1784년, 1800~1816년의 공백이 있다. 두 문헌을 아울러 살펴본다면 조선 후기 과시 문체로서 명 창작의 실제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시험 대비에 효율적인 구성과 편집을 한 조선 후기 과문 참고서의 사례를 보여준다는 점이다. 『儷林』은 시기별로 어떤 시제가 출제되었는지 볼 수 있도록 짝․홀수 면 맨 끝에 시험 정보와 성적, 급제자 정보를 적었다. 또한 답안이 한 면에 다 담기 어려운 분량이면 과감히 명 부분을 생략하거나, 일부만 실었다. 이처럼 『儷林』은 엄정성면에서 다소 한계가 있지만, 한편으로는 그것 자체가 이 문헌의 제작 목적은 아니었음을 보여준다.
    『儷林』에 대한 소개와 자료적 가치를 통해 순조 대 명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순조 대 명은 건물명 관련 이미지를 통해 왕의 은사를 강조하는 내용이 많았다. 다양한 장소와 건물을 명 시제로 출제한 정조대와는 달리, 순조 대에는 왕이 주로 활동했던 창덕궁과 창경궁 안 건물명으로 시제가 한정되어 있었다. 이는 곧 왕권의 강화와 수험생에게 내리는 은사를 강조하기 위함이라고 추측된다. 또한, 1811년 10~12월에는 특이하게도 의장기와 관련된 시제가 중복 출제되는데, 당대 흉년과 재변으로 인해 불안정한 민심을 잠재우기 위한 조정의 노력으로 간주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Late Joseon Dynasty Gwamun collection 『Reolim(儷林)』, and examine the value and meaning of this material. Through this, we will accumulate research on Myung(銘) as a literary style and try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Myung, whose use in examinations increased especially during the reign of King Sunjo.
    Among the 255 types of Joseon civil service exam-related materials stored in the Korea University library, there are a total of 4 types of materials containing the Myung. Among them, 『Reolim』 can be said to be a ‘Gwamun Collection’ in terms of its proportions, and contains a large amount of answers to regular and irregular exams, listed in order of time and grade. In addition, it is a rare gwamun collection in that it mainly contains answers excluding the ‘Gwamun of Six Types’ that were often asked in exams.
    『Reolim』 has material value in two aspects. First, with the 『Imheongongnyeong(臨軒功令)』, which is a comprehensive collection of answers submitted to various exams at the command of the state, it is possible to reconstruct the questions asked during the reigns of King Jeongjo and King Sunjo without any gaps in time. Second, it shows an example of an exam reference book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hat was efficiently structured and edited for exam prepara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yung of King Sunjo’s reign through the introduction and material value of 『Reolim』, many of the Myungs of King Sunjo’s reign emphasized the king’s favor through images related to the names of buildings. Unlike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which included questions on various places and buildings, during the reign of King Sunjo, questions were limited to the names of buildings within Changdeokgung Palace and Changgyeonggung Palace, where the king mainly worked. It is presumed that this was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and emphasize the favor given to prospective officials. Additionally, from October to December 1811, unusually, questions with the title of the ceremonial flag were asked repeatedly. This can be regarded as an effort to calm public sentiment that was unstable due to poor harvests and disasters at th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과 해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