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씨양웅쌍린기>에 나타난 ‘부부 관계’와 ‘결혼 생활’의 상상적 조율과 문화적 재배치 (Imaginative Tuning and Cultural Rearrangement on 'Couple's Relationships' and 'Married Life' Portrayed in )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0.06
38P 미리보기
&lt;현씨양웅쌍린기&gt;에 나타난 ‘부부 관계’와 ‘결혼 생활’의 상상적 조율과 문화적 재배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0호 / 301 ~ 338페이지
    · 저자명 : 최기숙

    초록

    <현씨양웅쌍린기>는 현씨 가문의 두 형제인 현수문과 현경문이 혼인을 통해 가족 형태를 확대해감에 따라 발생하는 다기한 갈등을 가족 서사의 중심 내용으로 상정하면서 현수문ㆍ현경문 형제의 혼인 과정과 부부 생활의 문제를 서사화한 작품이다. 특히 차자인 현경문과 주소저의 부부 불화는 이 작품의 중심 서사를 형성하면서 가족 구성원의 부부에 대한 관심이 부부 갈등의 원인이 되는 동시에 이를 조정하는 기능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들 부부를 둘러싼 결혼생활 서사는 부부간의 은밀한 사생활로서가 아니라 가족의 공동 관심사로 부각되어 박진감 있는 전개와 사실적인 서사적 설정으로 구조화되었다.
    <현씨양웅쌍린기>는 부부관계와 결혼 생활을 단지 부부만의 ‘사생활’이 아니라 ‘현씨 부중(玄府)’의 ‘공사(公事)’로서 조명했다. 현경문-주소저의 부부불화를 ‘가족스캔들(family scandal)’로 호명할 수 있는 것은 이들의 부부관계에 직계ㆍ방계가족이 총동원되어 부부생활을 ‘엿보고(窺視)’, 주시하며 ‘소문’으로 만드는 가족의 태도를 일종의 ‘포용 가능한 상황’으로 서술하는 시각과 태도에 근거해 있다. 가족의 관찰과 개입으로 부부불화가 심화되는 경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작품에서 이는 ‘문제적’인 것으로 조명되는 경우보다 웃음으로 포용할 수 있는 가족 장 안의 ‘관습’으로 용납된 경우가 우세하다. 이는 부부관계에 관심을 기울이는 직계ㆍ방계 가족들의 태도를 ‘간섭’이 아닌 ‘관심’의 표현으로 수용하던 문화 관습이 투영된 결과이자 가족의 삶을 개인적 삶과 구분하지 않던 문화 관념의 소산이다. 동시에 사생활의 영역으로 닫혀 있던 ‘부부 생활’을 소설이라는 공공의 독서물을 통해 개방하기 위해 고안된 서사적 장치라는 이중의 의미를 지닌다. 이 두 측면이 충돌 없이 공존할 수 있었던 것은 부부생활, 특히 불화하는 부부관계에 대해 사유하고 대화할 수 있는 문화적 시각이 필요하다는 요청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작품은 자신 내면을 온전히 공개하지 않는 주소저가 ‘고민’과 ‘갈등’을 안고 결혼생활을 지속하며 ‘탈주’를 꿈꾸는 태도를 주요하게 서사화함으로써, 결혼생활에 갈등을 겪는 여성 독자의 현실과 공감 형식의 연대를 취하고 있다. 작품의 마무리에서조차 현경문-주소저 의 부부 갈등은 완전한 해소로 확정되지 않은 채, 지속 가능한 잠재적 갈등을 함축하면서 화해적 관계 조절 방식과 부부생활 지속에 관한 현실적 응답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은 이 작품이 혼인 생활과 부부 관계 갈등에 관한 대중적 관심을 반영하고 추동했던 통속적 독서물이자, 혼인 이후에 비로소 전개되는 애정 문제에 관해 부부 관계 서사로 접근한 멜로드라마적 가능성을 함축하고 있음을 시사해준다.

    영어초록

    Hyunxiyangwoongxangrinki玄氏兩雄雙麟記, the 19th Century noble was lenting in some of the book-lending shops in Seoul, a story on two brothers' married life, Hyunsumoon and Hyunkyungmoon, especially a couple discord narrative as the main conflict. A younger brother Hyunkyungmoon and Lady zoo, one of his wives, are the main characters amongst several couple-units under the command of Hyun Family.
    This text dealt with the couple life, Hyunkyungmoon and Lady zoo, as not only a private life, but also a public affair which happened in each family, Hyun and Zoo, even including couple's sexual life. All the family members showed deep consideration on the couple's married life; to observe their private room, to spread the news on the couple's trouble and to meddle directly between husband and wife. Such a point makes this text understand as a family scandal, not only a couple story. Even though in some cases, such an observing and meddling made the couple's relationships worse, the narrator and all the characters regarded such interfering as acceptable attitude. Such narrative phenomenon shows that at that time some consideration of the other family members was regarded the marriage as not a private life, but a family public affair. And it also shows that the readers desired to have some common communicative media to share their own couple conflicts and discord, and by doing so they wanted to resolve their private problems. Such an analysis shows a social function of the noble; a communicative media amongst the contemporary rearers who never have any other common media to share their private and secrete conflicts.
    Lady Zoo, one of the main female characters and also one of Hyunkyungmoon's wives, never revealed her inner mind and continuously kept her own conflict and anxiety through her whole married life, and intermittently dreamt to escape from the place of Hyun family which demanded to reconcilable relationship with her husband who continuously tried to some sexual relationship without her agreement. Such narratives reflected some desires of the contemporary readers who were suffering from their married life, especially their husbands who had some over-considering attitude. Even in the conclusion of the text, the conflict between Hyunkyungmoon and Lady Zoo never resolved and ended. Rather the narrative implied their ceaseless problematic relationship. Such a narrative makes this text understand as the 19th Century melodrama which deals with the couple's love story in the contemporary cultural context.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