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폭력을 동반한 훈육의 미화와 그 의미 -<현씨양웅쌍린기>와 <현몽쌍룡기>를 중심으로- (The Glorification of Violent Discipline and its Meaning -Focused on “Hyŏnssiyangungssangnin’gi” and “Hyŏnmongssangnyonggi”-)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4.11
26P 미리보기
폭력을 동반한 훈육의 미화와 그 의미 -&lt;현씨양웅쌍린기&gt;와 &lt;현몽쌍룡기&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문학연구 / 50호 / 145 ~ 170페이지
    · 저자명 : 황지현

    초록

    본 연구는 이상적인 가부장이 등장하는 국문장편소설 <현씨양웅쌍린기>와 <현몽쌍룡기>를 중심으로 폭력적인 훈육과 그 미화 과정을 통해 위계적 가부장권의 실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부모의 체벌은 사랑의 매라는 미명하에 긍정되어 왔다. 오늘날 폭력을 동반한 훈육을 긍정하는 인식이 여전히 남아있는 것을 고려하면, 조선 시대에 체벌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인 것은 당연한 일이다. 두 작품에서도 체벌은 법도에 부합하는 정당한 처벌로서 행해지며, 죄인으로 지목된 이들의 신체는 철저하게 대상화되었다. 폭력적 훈육은 여기서 나아가 다양한 장치들을 통해 올바른 자식 교육으로 미화되었다. 먼저 당사자나 주변 인물들이 처벌 행위를 긍정하는 다양한 발화를 삽입함으로써 정당화가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처벌자이자 가해자인 가부장의 존재는 자연스럽게 지워졌다. 한편 두 작품은 가부장의 자애로움을 부각시키고, 체벌이 있은 직후 희담을 삽입함으로써 유혈이 낭자한 체벌이 지닌 폭력성을 상쇄시켰다. 가부장의 엄격함과 자애로움이 상충한다는 논의가 있었으나, 두 요소가 한 인물 안에 공존할 때 비로소 정대한 가부장의 위상이 온전히 설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는 가부장권이 작동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초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미화를 통해 가혹한 체벌은 당연하고도 일상적이며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한편 자식들의 역명(逆命)과 그에 대한 혹독한 체벌 그리고 미화라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가부장의 드높은 권위는 가내 구성원들 앞에서 비로소 실체를 가질 수 있었다. 가부장의 호령하에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명령 체계, 그에 제압당하는 대상화된 신체는 질서를 지키는 수호자인 동시에 그 질서를 재배치할 수 있는 가부장의 권능을 보여주는 것이다. 폭력적 훈육은 몸의 범위를 제한하고 위치를 재확인시킨다는 점에서 질서 속에 위치한 몸을 만들어 낸다. 죄인으로서 자발적으로 그에 맞는 몸짓을 하도록 요구받는 것은 당사자가 스스로 질서에 재편입되도록 유도한다는 점에서 단순히 특정한 언행의 잘못을 따지고 그 재발을 막는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이와 대조적으로 가부장의 몸은 수직적 질서의 육화(肉化)로서 체벌의 현장에서 극적으로 팽창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grasp the reality of hierarchical patriarchy through violent discipline and its glorification process, focusing on Korean long-form novels, “Hyŏnssiyangungssangnin’gi” and “Hyŏnmongssangnyonggi”, in which ideal patriarchs appear. The physical punishment of parents has been affirmed as a hawk of love. Considering that there is still a perception that affirms violent discipline today, it is natural that corporal punishment was accepted naturally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both texts, corporal punishment is considered a legitimate punishment suitable for the procedure, and the bodies of those who were designated as sinners were thoroughly objectified. Furthermore, violent discipline was glorified as the right child education through various ways. First, justification was achieved by inserting various utterances affirming punishment behavior. Through this, the existence of the patriarch, the punishment and perpetrator, was naturally eliminated. On the other hand, the two texts highlighted the patriarch’s benevolence, and immediately after the corporal punishment, a joke was inserted to offset the violence of bloody corporal punishment. There has been a discussion that the strictness and benevolence of the patriarch conflict, but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 status of a genuine patriarch can only stand fully when the two elements coexist in one person. This can be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understanding how patriarchy works. Through this glorification, harsh corporal punishment was accepted as natural, ordinary. On the other hand,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of children’s disobedience, harsh corporal punishment, and glorification, the patriarch’s high authority was only able to become substantial in front of the family members. The command system, which moves in perfect order under the command of the patriarch, and the objectified body that is overpowered by it show the patriarch’s power to rearrange the order at the same time as a guardian of order. In terms of limiting the scope of the body and reaffirming its position, violent discipline creates a body under order. As a sinner, being asked to voluntarily make appropriate gestures is more than just blaming certain words and actions and preventing the recurrence of such actions. It encourages the person to re-enter the order on his own. In contrast, the patriarch’s body expanded dramatically at the very scene of corporal punishment as a canal of vertical or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