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10년대 일제강점기 민족운동 고찰 -춘원의 상하이⋅블라디보스토크⋅믈린⋅치타에서의 활동 (Exploration on National Movement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in 1910s -Chunwon's Activities in Shanghai, Vladivostok, Myln, and Chita-)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9.08
38P 미리보기
1910년대 일제강점기 민족운동 고찰 -춘원의 상하이⋅블라디보스토크⋅믈린⋅치타에서의 활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춘원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춘원연구학보 / 15호 / 167 ~ 204페이지
    · 저자명 : 민병진

    초록

    춘원이 4년여 오산학교 교사직을 떠나 해외독립지사들의 집결지인 상하이⋅블라디보스토크⋅믈린⋅치타로 가게 되는 과정은 애국지사들과 동지애를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고, 그 무렵 나라와 민족을 위한 자신의 역할과 사명을 통감하게 된다. 마침내 춘원은 그곳에서 계몽을 통한 민족교육과 자주독립을 목표로 삼아 언론활동으로 민족의식을 일깨우는데 앞장섰다. 그는 상하이에서 서세동점(西勢東漸)의 현실적 한계를 인정하면서도 중국의 신지식에 대한 ‘지식욕’과 ‘국민교육보급’ 및 ‘학문독립’에 대한 열성적인 ‘중국의 정체성’을 보고 그 가능성을 발견했다.
    춘원은 국외독립운동의 중추기지인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 방문을 시작으로 1914년 1월부터 1914년 8월 하순 귀국까지 『권업신문(勸業新聞)』과 『대한인정교보(大韓人正敎報)』에 독립정신과 민족의식을 계몽하는 많은 글로 동포들의 단결과 애국심을 고취했다. 믈린(穆陵)에서는 추정 이갑과 생활하면서 진정한 애국자로서 그를 존경하고 일생을 통해 기억하는 멘토로 삼았다.
    춘원은 특히 협동심과 단결력 부족으로 인해 잃어버린 우리 주권과 외세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참담한 현실을 보고, 비장한 결의로 독립 준비를 감행하고자 했다. 그리고 민족의 생존과 국가 경영을 위해 동포교육의 필요성과 스스로 의무를 다하며 조국의 광복을 위해 죽음까지 불사하는 민족정신을 앙양하는 선구자를 자처한 것이다.
    이와 같이 춘원은 1910년대 연해주에서의 언론활동을 시작으로 일생을 두고 민족 교육과 계몽을 위해 문학적 장르를 불문하고 민족의식을 고양하고 나아가 자주독립을 주창하는 ‘애국애족’의 수많은 글을 남겼다.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다시 읽는 춘원의 ‘애국의 글’은 우리에게는 금과옥조(金科玉條)로 명심해야 할 민족의 정신적 유산임에 틀림없다.

    영어초록

    The course of Chunwon stepping down from the teacher at Osan School and heading to Shanghai, Vladivostok, Myln, and Chita where overseas independence circles are gathered enabled to confirm companionship with patriots and they realized their roles and principle for their motherland and people. Chunwon eventually took a leading role in awakening the national consciousness through journalism aiming for national education and autonomous independence in these areas. He recognized the realistic limitations of the domination of the West over the East in Shanghai, while simultaneously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the enthusiastic “Chinese identity” on “the desire of knowledge,” “the distribution of national education,” and “academic independence” on Chinese new knowledge.
    Starting with his visit to Sinhanchon in Vladisvostok, the pivotal center of overseas independence movement, he encouraged compatriots to be solid and patriotic with his plentiful writings that focus on enlightening the independence spirit and national consciousness in Gwonup Newspaper(勸業新聞) and Daehaninjeonggybo(大韓人正敎報) by the end of his return to Korea from January to August 1914. Cohabiting with Chujeong Leegap in Myln(穆陵), he respected and remembered him as a mentor through his entire life as an authentic patriot.
    Chunwon faced the frustrating reality that the motherland's lost sovereignty and the inevitable reliance on foreign forces particularly due to lack of cooperation and solidity and dared to prepare for the independence with his solemn will. In addition, he attempted to realize the necessity of compatriot education and fulfill his obligations for the national survival and national management, acting as a pioneer for enhancing the national spirit daring to take his own risk for the sake of the country's independence.
    As shown above, he left numerous writings that raise national awareness and further claim for autonomous independence regardless of literary genres for national education and enlightenment throughout his life since he started to working in journalism in Yeonhaeju during 1910s. His “patriotic writings” having read so far are inevitably national mental heritages to be regarded as golden rule(金科玉條) in our hear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춘원연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