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섯 번째 대멸종과 동시대 예술: 마야 린의 〈듣는 원뿔〉을 중심으로 (Contemporary Art in the Age of the Sixth Extinction: The Case of Maya Lin’s The Listening Con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0.02
26P 미리보기
여섯 번째 대멸종과 동시대 예술: 마야 린의 〈듣는 원뿔〉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양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 52호 / 227 ~ 252페이지
    · 저자명 : 손정아

    초록

    본 연구는 마야 린의 〈듣는 원뿔〉을 인류세적 조건에 대응하는 예술 사례로 살펴보고, 작품이 감각을 활용하여 죽어감의 기록이라는 대안적 역사 기록을 수행하고 있음을 논의한다. 축음기 형태의작품은 멸종되었거나 멸종이 진행 중인 종의 이미지와 소리 아카이브를 활용하여 시청각적 경험을 불러일으키는데, 본 연구에서는 감각들의 상호작용이 지각되는 순간에 주목하여 린의 작품이 멸종과 생존의 역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요구하고 있음을 제시한다. 인류세로의 진입은 행성지구 현존의 물질적 위협과 자연-인간의 이원론적 사고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을 요구하고 있으며, 진보적 역사의 기록행태에 대한 동시대성의 비판적 시각은 양가적 상황이 공존하는 현재를 성찰한다는 측면에서 파괴와생존의 극단을 겪고 있는 생태 문제와 공명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고고학적 방법론을 통해 〈듣는원뿔〉의 물질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품의 청각적 요소를 기술적으로 향상된 소리와 문화적잡음이라는 모순의 충돌이자 공존으로 해석한다. 작품은 시청각적 매개 과정을 통해 여섯 번째 대멸종이 진행 중인 현재를 상기시키고, 이는 타자로 상정된 종의 현재와 관객의 시간을 혼합하는 공간을생산한다. 작품은 동시대적 성찰을 바탕으로 인간이 기록한 역사에서 누락된 종의 역사와의 얽힘이필요함을 역설하고, 이는 자연, 비인간과 같은 이면이 존재함을 일깨운다. 본 연구는 죽어감의 기록과공유를 통해 공존의 방향과 태도를 모색하는 동시대 예술 작품이 죽음으로 향하는 생태 문제에 대한저항과 연계되어 있으며, 역사에 대한 대안적 실천을 행하면서 파괴와 경계, 중첩된 현실이 혼재하는동시대의 생태학적 문제를 감각을 통해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있음을 조명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Maya Lin’s The Listening Cone (2009) as a case showing how contemporary art has responded to the Anthropocenic conditions which set off the age of the sixth extinction. The Listening Cone presents an alternative historiographical means of reflecting on the realities of extinct or endangered species by utilizing sensory media: it has the form of a phonograph and plays back sound and image clips from the media archive of extinct or endangered species in such a way to create a synesthetic experience. This synesthetic experience would awaken us to the material threats facing the planet Earth, leading us to reconsider the fundamental premise of the human-nature dualism. Lin’s work thereby prompts contemporary art to break from the complacency rooted in its progressive historical view and develop a critical discourse on exigent ecological problems. This paper uses media archaeological methodology to analyze The Listening Cone, and puts forward an interpretation that the sound of extinct or endangered species represents the coexistence – and simultaneously collision – of technically enhanced sound and cultural noise. It also argues that this work produces, through synesthetic mediation, the hybrid space where the viewer’s subjective self is no longer disparate from the extinct or endangered spec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