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도권 노인 요양 시설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적용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iophilic Design to Nurs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3.06
16P 미리보기
수도권 노인 요양 시설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적용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4호 / 63 ~ 78페이지
    · 저자명 : 김동언, 이찬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가 초고령 사회에 접어들면서 노인들을 위한 공간들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노인요양보장제도가 시행되면서 노인요양시설이 확충되고 있지만, 질적 환경에 대한 계획 및 개선에는 미흡함을 보이고 있다. 노인요양시설은 노인이 더는 자립이 어렵고 신체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상태에서 거주하게 되는 시설인 만큼 물리적 치료뿐만 아니라 심리적 치료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고 더 나아가 감성적 측면까지 고려하여 회복을 도울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현재 많은 국가에서는 자연의 경험을 통해서 치유적 환경을 조성하고 감성적 완화를 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디자인 방법론인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요양공간에 적용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요양 시설에 필요한 환경을 바이오필릭 디자인 방법론을 통해 분석하여 노인요양시설의 환경 개선과 더 나아가 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첫째, 공식화된 문헌 고찰을 통해 연구 대상 노인 요양 시설로서 요양원 공간을 규정한다. 둘째, 문헌적 연구를 바탕으로 자연 친화적 노인 공간의 필요성을 찾아보고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치료적 특성요소를 추출하여 분석 모형의 기틀을 마련한다. 셋째, 분석 모형을 해외의 바이오필릭 디자인이 적용된 사례들에 적용하여 세부 요소를 도출한 뒤 분석 틀을 완성한다. 넷째, 수도권 시립 요양원들을 선정하고 홈페이지 자료와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사례분석과 종합 결론에 이른다. (결과) 바이오필릭 노인 공간의 특성으로 유기적 바이오필릭 공간으로는 감각적 경험, 항상성, 유동적 시간성이 나타났다. 구조적 바이오필릭 노인 공간에서는 자연의 패턴과 프로세스의 모방성, 자연의 형태적 심미성과 천연 재료 사용이 두드러졌다. 심리적 바이오필릭 노인 공간에서는 감성적 안정성, 자립적 연결성과 반려동물과 공유성이 드러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개념은 노인 요양시설에 필수적인 중요한 개념으로 인식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앞으로 노인 요양원들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통합적 표준 연구의 지속적인 필요성이 대두될 것이고, 노인들이 좀 더 편안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자연과 연결된 지속 가능한 공간으로서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그 가치와 의미가 점점 더 중요해질 것이라 판단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As Korea enter a super-aged society, the demand for spaces for the elderly is gradually increasing.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elderly care guarantee system, elderly care facilities are being expanded, but the planning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ative environment are insufficient. As elderly care facilities are the place where the elderly are no longer self-reliant and live in a physically unhealthy state, not only physical treatment but also psychological treatment should be performed, and furthermore, it should be planned as a space to help recovery in consideration of emotional aspects. Recently, various attempts are being made to apply biophilic design as a design methodology that creates a healing environment for providing emotional relief through natural experiences, to nursing sp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nvironment necessary for nursing faciliti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rough biophilic design methodology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elderly care facilities and further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ing. (Method) The study method first defines the nursing home space as a nursing facility for the elderly through a formal literature review. Secon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the need for a nature-friendly elderly space is identified, and the therapeutic characteristics of biophilic design are extracted to prepare the basis for the analysis model. Third, the analysis framework is completed after deriving detailed elements by applying the analysis model to cases where biophilic design is applied overseas. Fourth, municipal nursing hom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re selected and analyzed through website data and previous studies. Finally, case analysis and a comprehensive conclusion are reached. (Results)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iophilic space for the elderly, the organic biophilic space of the elderly showed the sensory experience, constancy, and fluid temporality of nature. In the structural biophilic space for the elderly, the imitation of natural patterns and processes, the morphological aesthetics of nature, and the use of natural materials were prominent. In the psychological biophilic space for the elderly, emotional stability, independent connectivity, and sharing with pets were revealed. (Conclus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concept of biophilic design should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concept essential for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In the future, as the demand for elderly nursing homes increases, the need for integrated standard research will continue to emerge. As a sustainable space connected to nature that creates an environment where the elderly can lead a more comfortable and healthy life, the value and meaning of biophilic design will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