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리질리언스 관점의 바이오필릭 공공공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iophilic Public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Resilience)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2.06
16P 미리보기
리질리언스 관점의 바이오필릭 공공공간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7권 / 4호 / 321 ~ 336페이지
    · 저자명 : 심윤서, 이현성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의 자원은 현대사회에 들어서 자원의 고갈과 지속가능성에 대하여 자원의 대체, 순환적 기능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해결책이 강구되고 있는데, 단편적인 도시 회복 기능 향상 보다 다방면의 이해관계로서 도시에서 직접적으로 체감하고 있는 사람에 대한 인과관계를 고려한 회복탄력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사회적으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회복 기능의 공간을 도시와 공공의 관점에서 마련되어 리질리언스의 체감력을 높이도록 공공공간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적용도를 향상하는 기능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의 자연 요소적 특징을 통해 회복 기능과 동시에 리질리언스 유도 효과로서 상호작용을 확인하여 도시의 취약성을 저감하고 전환능력을 높이는 공공공간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흐름은 첫 째,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리질리언스 관점을‘회복 환경’으로서 정립하고, 바이오필릭 공공공간과 리질리언스 관점의 상호작용을 사례 분석의 기준으로서 마련하였다. 둘째, 사례 연구를 통해 리질리언스 관점에서 공공공간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을 분류하였으며, 환경심리학 이론을 근거로 상호작용하여 발생되는 시점에서 작용하는 요소들을 리질리언스 도시 프레임워크로서 분류하여 관계를 검증한다. 이를 통하여 공공공간을 통한 도시와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주고받으며 도시의 리질리언스를 촉발시키고 또 지속가능한 회복 기능을 유지 시킨다는 것을 증명한다. (결과) 도시의 취약성을 진단하여 바이오필릭 접목을 통해 전환능력을 갖춘 공공공간의 사례를 통하여 리질리언스 기능으로 작용하는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을 추출하였으며 리질리언스 도시 작용 평가를 통해 종합적 분석을 진행한 결과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 중 직접적 체험과 간접적 체험으로 형성되어 있는 시각적 요인들이 단편적인 경관적 측면보다 지속적으로 사람의 행태를 유도하는 회복 기능 요소로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분석에서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면 도시 관점에서 보았을 때, 바이오필릭 공공공간은 리질리언스 기능이 무형적, 유형적 형태로 작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바이오필릭 디자인과 공공공간의 리질리언스 상호작용을 통해 도시공간구조의 기조로서 리질리언스 기능이 무형적, 유형적 형태로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여 도시 내 공간의 규모와 형태에 따라 리질리언스 작용 기능을 도출하고, 각 공공공간이 도시의 적재적소에 마련될 수 있도록 도시 취약성에 의한 리질리언스 공공공간의 역할과 디자인에 대한 구체적 검증함에 따라 리질리언스의 접근성과 체감도를 향상하는 바이오필릭 공공공간의 디자인 기초 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In modern society, solutions for resource replacement and resilience of cyclical functions in urban resources are being sought for resource depletion and sustainability. The study of resilience, considering the causal relationship to the person who is experiencing it, is emerg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applicability of resilience through the medium of public spaces to provide a space for relaxation, which is currently in high social demand to increase the sensibility of resilience. In addition, a public space is presented that reduces the vulnerability of the city and enhances the conversion ability by confirming the interaction as a recovery function and a resilience-inducing effect through the natural ele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biophilic design characteristics. (Method) The flow of this study is first,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e “recovery environment” is established from the perspective of resilienc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biophilic public space and resilience is a criterion for case analysis. Second, the biophilic design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s are classified from the resilience point of view through a case study, and the relationship is verified by classifying the elements that interact at the time of interaction based on environmental psychology theory in a resilient city framework. This is evidence that the city and humans interact with each other through public spaces, increasing the resilience of the city, and maintaining a sustainable recovery function. (Results) By diagnosing the vulnerability of the city, biophilic design characteristics acting as resilience functions were extracted through examples of public spaces with conversion ability through biophilic grafting. Visual factors formed from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occupied a high proportion as a recovery function factor that continuously induces human behavior rather than fragmentary landscape aspects. In public space,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ilience function operates in both intangible and tangible forms. (Conclusions) Resilience function acts as both an intangible and tangible form as the basis of the urban spatial structure through biophilic design and resilience interactions in the public space, and derives the resilience function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urban space. To place each public space in the right place in the city, it is intended to be used as a basic design data for biophilic public spaces, which improves accessibility and a sensibility of resilience by verifying the role and design of resilience public spaces beset by urban vulnera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