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스릭의 형식주의 음악미학 (Hanslick’s Formalism Music Aesthetic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8.09
32P 미리보기
한스릭의 형식주의 음악미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융합 / 40권 / 5호 / 175 ~ 206페이지
    · 저자명 : 박영선

    초록

    본 논문은 형식주의 음악이론을 대표하는 한스릭에 대한 연구를 목표로 한다. 예술을 정의하는 이론에는 형식주의 이론과 표현이론이 있는데, 이 이론들은 주로 조형예술을 중심으로 형성된 개념이다. 형식주위 이론은 20세기 중반에 미국을 중심으로 번성한 추상주의 미술을 설명하는데 유리하며, 표현주의 이론은 르네상스 이후 모방을 추구한 회화나 20세기 초 내적 감정의 표현을 강조한 표현주의 미술을 설명하는데 유리하다. 두 이론은 모든 시대와 모든 예술장르에 타당한 보편적인 이론이 아니라 조형예술을 설명하는데 유리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예술이론이 주로 조형예술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면 음악은 과연 어떠한 이론으로 보다 적절히 설명될 수 있을까? 음악사를 보면 르네상스 음악과 바로크 음악은 성악곡이 주류를 이루었기 때문에 음악에는 고유한 언어가 있다는 생각이 저변에 깔려 있었다. 이것을 대표하는 이론이 표현주의 이론이다. 하지만 19세기에 기악곡이 음악의 패러다임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형식주의가 음악학에서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볼 수 있다.
    한스릭은 음악이 주는 효과를 음악 자체와 구별하여 순수 음악적 요소를 강조하는 절대음악을 옹호하였다. 한스릭은 ‘음악은 감정의 표현’이라는 감정미학을 비판함으로서 음악을 감정의 종속으로부터 해방시켰다. 한스릭에게 감정은 음악적 아름다움의 부수적 영향이며 이차적인 것이다. 대신 한스릭은 “음악의 내용은 음으로 울리는 움직이는 형식들이다”라고 정의한다. 음악은 특정한 정서의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이 아니라 오직 들리는 음 형식이라는 것이다.
    한스릭의 음악사상의 연구를 위해 먼저 한스릭이 비판하였던 ‘감정 미학’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첫 번째, 감정 미학이 탄생하게 된 고대 그리스의 미학사적 맥락을 살펴볼 것이다. 두 번째, 감정미학의 연장선에 있으면서도 기악 음악을 통해 예술의 자율성과 절대음악을 옹호하였던 낭만주의와 한스릭의 음악 사상에 영향을 끼쳤던 당시 비엔나에서 유행하던 대중적인 낭만적 음악들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다. 세 번째, 한스릭의 감정미학에 대한 비판과, 네 번째, 음악의 본질과 음악의 아름다움에 대한 한스릭의 음악미학을 살펴본다. 결론에서는 한스릭의 음악 사상의 긍정적인 면과 한계점을 약술하고 글을 마무리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comprehend Hanslick’s theory of music which represents formalism. There are formalism theory and expression theory that define art, and these theories are mainly formed on the basis of formative arts. Formalism theory is advantageous in explaining abstract art that flourished in the United States in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Expression theory is advantageous in explaining expressive art that emphasizes the expression of internal emotions in the early 20th century. Both theories have advantageous in explaining plastic arts, not universal theories that are valid for all art genres.
    If art theory developed mainly on the basis of plastic arts, what theory can properly explain music? In the history of music, vocal music was mainstream in Renaissance music and baroque music, so the idea that music had its own language lay underneath. Expressionism is the theory that represents this position. But in the 19th century, instrumental music takes its place as a paradigm of music, so that formalism influences musicology.
    Hanslick advocated absolute music that emphasizes pure musical elements by distinguishing the effects of music from the music itself. Hanslick liberated music from the subordination of emotion by criticizing the emotional aesthetics of music as an expression of emotion. For Hanslick, emotions are secondary effects of musical beauty. Instead, Hanslick defines that “the content of music is tonally moving forms.” Music is not the content of a particular emotion, but only the form of sound.
    In order to study Hanslick’s musical thought, one must first of all understand the emotional aesthetics that Hanslick criticized. First, I will explore the context of ancient Greek aesthetic history in which emotional aesthetics was born. Secondly, I will explore the romanticism and popular romantic music. The romanticism which was an extension of emotional aesthetics advocated artistic autonomy and absolute music through instrumental music, and popular romantic music that was popular in Vienna influenced Hanslick’s musical thought. Third, I will explore Hanslick’s criticism of emotional aesthetics. Fourth, I will explore Hanslick’s musical aesthetics about the essence of music and the beauty of music. In conclusion, I will summarize the positive aspects and limitations of Hanslick's musical thought and conclude the ess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