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성일보(京城日報)』 일본어 문학과 근대도시 경성의 표상 :요코미쓰 리이치(横光利一)의 「순수소설론과」과 「천사(天使)」를 중심으로 (Representation of the colonial city Gyeongseong in “The Angel” by Riichi Yokomitsu)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0.08
33P 미리보기
『경성일보(京城日報)』 일본어 문학과 근대도시 경성의 표상 :요코미쓰 리이치(横光利一)의 「순수소설론과」과 「천사(天使)」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일본연구 / 34호 / 179 ~ 211페이지
    · 저자명 : 김효순

    초록

    요코미쓰의 「천사」는 총독부의 관제 강연회 외에는 금지되고 경찰에 의해 통제되던 문화정책 시기에 만철의 초대로 여행경비를 지원받고 만철 연선에서 이루어진 강연회를 배경으로, 『경성일보』에 게재된 작품이다. 동시에 이 작품은 게재 전 광고 「작자의 말」에서 요코미쓰가 천명하고 있듯이, 당시 「순수소설론」에서 밝힌 자신의 인간관과 소설의 방법론의 실천작, 즉 순문학이면서 통속소설인 순수소설의 실천작이라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천사」의 등장인물들은 「순수소설론」에서 표방한 인간관과 소설의 방법에 의해, 고정된 인격이나 개성을 가진 존재가 아니라 놓여진 환경이나 공간에 따라서 변화하는 상대적 개념의 존재로 조형되고 있다. 즉 아내 교코, 사다코, 유키코에 대한 미키오의 감정이나 심리, 아카시의 교코와 유키코에 대한 감정, 사다코와 교코의 미키오에 대한 감정은 모두 등장인물들간의 관계에 따라 계속해서 변화하고, 이들의 감정과 심리는 도쿄, 간사이, 가마쿠라, 경성, 봉천 등의 공간의 이동에 조응하는 통속적 인물로 조형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인물조형에서, ‘시간’과 ‘공간’에 지배를 받는 ‘현실적 물상(物象)’의 변화에 따라 변화한다는 인간관과 그러한 현실적 물상을 대상으로 하는 문학이 지니는 우연성과 감상성이라는 통속소설의 요소를 확인할 수 있다.
    동시에 이와 같은 인물들의 심리와 감정을 공간성과 결부짓는데 있어, 1922년과 1930년 두 번에 걸친 경성 방문 체험을 바탕으로 식민지 문화정책의 이데올로기라는 사상성을 부여함으로써 순문학으로서의 리얼리티를 확보하고 있다. 즉 두 번에 걸친 작가의 경성 체험을 반영이라도 하듯, 「천사」에서는 경성이 조화와 재결합, 화해를 표상하는 행복한 공간으로 그려지고 있다. 1922년 방문했을 때의 식민자(일본인)와 피식민자(조선인)을 구별하는 시선으로 파악된 경성은 음울하고 슬프고 냉혹한 ‘노란빛’을 띤 곳이었다 할 수 있다. 그러나 1930년 요코미쓰가 강연여행에서 경험한 조선호텔은 만철이 조선의 독립의지가 담긴 환구단을 허물고 지은 동아시아 최고의 시설을 자랑하는 호텔로, 「천사」에서는 조선의 자연과 전통, 그리고 일제의 식민정책이 조화를 이룬 근대적 공간으로 그려지고 있으며, 주인공들은 이곳을 화해와 새로운 출발을 결의하는 ‘에메랄드’ 빛을 띤 행복의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렇게 경성을 조선의 자연이나 전통과 일제의 식민정책이 조화를 이룬 행복한 공간으로 표상함으로써, 그 공간이 원래는 조선의 독립의지를 표출했던 곳이라는 사실은 은폐되고 망각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천사」의 등장인물 조형과 심리묘사, 공간설정은 당시 요코미쓰의 인간관과 소설의 방법론이 식민지 문화정책과 만나는 지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이와 같은 작품 읽기는 『경성일보』라는 발표 매체의 성격에 주목했을 때, 가능한 해석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경성일보』라는 식민지배 권력의 기관지에 작품을 발표한 일본의 주요작가들의 문학 활동에 주목하면, 일본이라는 일국 중심의 시각으로는 읽어낼 수 없는 일본어문학의 다양한 측면이 새롭게 보일 것이라 기대된다.

    영어초록

    “The Angel” by Riichi Yokomitsu was published in THE KEIJONIPP0, the official magazine of Japanese colonial Government-General Office. Yokomitsu had previously been invited by the South Manchurian Railway to attend their lecture series, which influenced the work. It is noteworthy that it was when no other public lectures were legally permitted than those approved by the government, in line with their policy to enforce Japanese culture on Chosen. At the same time, “the Angel” is a realization of his literary theory as described in his essay “Pure Fiction”.
    The characters in “the Angel” embody the view on human nature presented in his theory of “Pure Fiction”, in that they are subject to the influence of the context they live in, rather than having intrinsic personality. According to this view, humans are shaped by the spatial and temporal context and literature reflects the reality as such.
    The way the psychology of fictional characters relates to the spatial context can be understood by contrasting the author’s two visits to Kyeongseong, in 1922 and 1930. In 1922, when he visited Kyeongseong following his father’s demise, the city was seen as a cold and gloomy place. In “the Angel”, however, Kyeongseong is idealized as the place of reconciliation and reunion. This shift was possibly influenced by his positive experience in 1930, where Yokomitsu and his company were treated with the luxury of a private plane and accommodation in Chosen-hotel, one of the best in East Asia at the time. This motivated him to publish “the Angel” in Kyeonseong-Ilbo. In contrast to his image of Kyeongseong in 1922, the city in “the Angel” was described as a place where the nature and tradition of Chosen existed in harmony with the occupation policies of Japan. The protagonists recognize the city as a space of positivity where clashing values reconcile with each other. By presenting Kyeongseong as a place of idealized harmony, the identity of the space as the background of Chosen’s independence movements was neglected and forgotten. While the emotion and psychology of the characters exemplified elements of randomness and sentimentalism typically seen in a popular novel, the spatial background of the story covertly served the colonial policy of cultural propaganda and showed characteristics of polite literature.
    “The Angel” can thus be interpreted as an intersection of the literary view of Yokomistu on human nature and his advocacy of colonial policies. The interpretation is also supported by the fact that it was published in THE KEIJONIPP0. It serves as an example of how reading the works of prominent Japanese authors in THE KEIJONIPP0 within the context of colonialism can shed light to certain aspects that can easily be overlooked from a Japan-centered view poi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