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재하는 실재에 관한 세일럼 사람들의 불안과 공포- 아서 밀러 각색 영화 <시련>과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라 시뮬라시옹을 중심으로 (Hysteria and Panic by the Absence of Reality in Salem - A Study on the Movie Adapted from Arthur Miller’s The crucible with Jean Baurdrillard’s Simulacra and Simulatio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8.06
38P 미리보기
부재하는 실재에 관한 세일럼 사람들의 불안과 공포- 아서 밀러 각색 영화 &lt;시련&gt;과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라 시뮬라시옹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人文學硏究 / 29권 / 37 ~ 74페이지
    · 저자명 : 이선민

    초록

    1952년 발표 된 아서 밀러 Arthur miller의 희곡 『시련 The Crucible』은 작품의 배경이 된 17세기 세일럼의 마녀사냥과 당대 매카시즘열풍이 맞물리면서 큰 주목을 받은바 있다. 특히, 이 희곡은 비평가들로부터 “개인의 저항”과 “사회적 집단광기”의 이분법적 작법 구도로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이러한 작품의 이분법적 구도에 관한 비평은 1997년 밀러의 각색에 의해 탄생한 영화 <시련>에 대한 평가에서 역시 달라지지 않았는데, 대부분의 비평가들은 이 영화가 원작의 완벽한 재현에 성공했다고 평가함으로써, 영화적 각색으로 인해 확장된 <시련>의 비평적 지평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작가인 밀러가 고백했듯, 현대에 <시련>이 주고 있는 의미는 “정의 내릴 수 없는 어떤 불안”같은 부분인데, 지금까지의 비평은 “정의내릴 수 없는 어떤 불안”이 내포하는 의미상의 모호함 때문인지, “집단광기” 이외의 다른 어떤 주제적 측면에서의 분석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밀러가 고백한 “정의내릴 수 없는 어떤 불안”을 현대적 의미에서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지에 대한 새로운 비평적 지평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의내릴 수 없는 어떤 불안에서 파생하는 집단광기의 연쇄작용을 장 보드리야르 Jean Baudrillard의 시뮬라크라 시뮬라시옹 Simulacra and Simulation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집단광기의 중심에는 부재하는 실재에 대한 불안이 존재하고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나아가 밀러가 이러한 불안을 통해 <시련>을 텍스트 고유의 지시적 사유의 범주로부터 포스트 모던적 탈 지시적 사유의 예술작품으로 새롭게 각색하고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Crucible was published in 1952 by Arthur Miller and has received attention from critics and readers because of the witch-hunt in 17th century Salem as it overlapped with the hysteria generated by Senator Joe McCarthy’s hunt for Communist. Thus, The Crucible was applauded and criticized at the same time by critics due to its dichotomous structure between individual resistance and social hysteria. When the movie, “The Crucible” was released in 1997, critics also evaluated and concluded that The Crucible showed the fidelity of film adapted which focuses on dichotomous structure between individual resistance and the social hysteria.
    However, Miller has revealed his assumption itself of his work; yet The Crucible brings about the message of indefinable personal panic or anxiety to contemporary audiences. In an interview with the Washington Post, Miller talked about the contemporary meaning of The Crucible as being: “I hard to name, but it's there — there is some apprehension that has no definition.” Nevertheless, contemporary criticism cannot suggest any new critical point of view about this indefinable apprehension that Miller mentioned. Therefore, this paper will present a new contemporary critical point of “indefinable apprehension” related to the collective hysteria of the times. Especially, adapted to film, The Crucible shows that the subjective anxiety of suspending judgement of good and evil by not only focusing on the collective hysteria, but also visualizing individual panic is destructive. Furthermore, this paper will extend critical horizons for The Crucible by analyzing a chain of collective hysteria caused by indefinable personal panic with the notion of Jean Baudrillard’s Simulacra and Simul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inexistent metaphysical value is devised in reality, The Crucible shows a Simulation, which means a chain of hyper-reality with the absence of reality such as social manipulation as a being, this is another simulation replaced within a whole other simulation.
    In conclusion, the paper will argue that through apprehension, Miller liberates The Crucible from a text in the scope of indicative thinking to a postmodern art piece in an indefinable philosophical system by suggesting Jean Francois Lyotard's theory of sublime in postmodern aesthetics reveals and stresses the absence of tru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人文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6 오후